비대면·디지털·그린 벤처 키운다…‘스마트 펀드’ 6조 조성

입력 2020.10.06 (13:51) 수정 2020.10.06 (1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비대면과 디지털, 그린 분야의 유망 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2022년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3년마다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중기부는 앞으로 3년간 정책 방향으로 ▲ 중소·벤처·소상공인의 디지털화 촉진 ▲ 전통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전통시장 맞춤형 지원 ▲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재기 안전망 및 보호기반 확충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비대면·디지털·그린 분야의 유망 벤처를 키우기 위해 2021년까지 비대면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또, 오는 2025년까지 6조 원 규모의 ‘스마트 펀드’를 조성해 투자할 방침입니다.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벤처기업을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체계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비대면 중소벤처기업 육성법’ 제정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중소제조업을 위한 인공지능(AI) 플랫폼과 2022년까지 5G와 AI를 활용하는 스마트공장 300개를 구축하는 한편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법 제정도 추진합니다.

사물인터넷(IoT), AR·VR(증강·가상현실)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상점 5만 개와 디지털 배송·결제·판매 등을 도입한 디지털 전통시장 200개를 만들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전통적인 제조공장의 혁신을 위해 2022년까지 3만 개의 스마트공장과 1만6천 개의 스마트공방, 100개의 친환경 스마트생태공장을 보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어려움에 부닥친 소상공인을 위해 새희망자금을 상설화해 지원하고 재도전 장려금을 지급하는 한편 임대료와 전기요금 감면 등도 추진합니다.

위기 중소기업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중소기업 밀집 지역 위기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의무휴업일 적용 대상을 현행 대형마트와 준대규모 점포에서 복합쇼핑몰까지 넓히는 등 골목상권 보호제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대면·디지털·그린 벤처 키운다…‘스마트 펀드’ 6조 조성
    • 입력 2020-10-06 13:51:53
    • 수정2020-10-06 13:52:22
    사회
정부가 비대면과 디지털, 그린 분야의 유망 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늘(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2022년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3년마다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중기부는 앞으로 3년간 정책 방향으로 ▲ 중소·벤처·소상공인의 디지털화 촉진 ▲ 전통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전통시장 맞춤형 지원 ▲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재기 안전망 및 보호기반 확충을 제시했습니다.

우선 비대면·디지털·그린 분야의 유망 벤처를 키우기 위해 2021년까지 비대면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또, 오는 2025년까지 6조 원 규모의 ‘스마트 펀드’를 조성해 투자할 방침입니다.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벤처기업을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체계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비대면 중소벤처기업 육성법’ 제정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중소제조업을 위한 인공지능(AI) 플랫폼과 2022년까지 5G와 AI를 활용하는 스마트공장 300개를 구축하는 한편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법 제정도 추진합니다.

사물인터넷(IoT), AR·VR(증강·가상현실)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상점 5만 개와 디지털 배송·결제·판매 등을 도입한 디지털 전통시장 200개를 만들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전통적인 제조공장의 혁신을 위해 2022년까지 3만 개의 스마트공장과 1만6천 개의 스마트공방, 100개의 친환경 스마트생태공장을 보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중기부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어려움에 부닥친 소상공인을 위해 새희망자금을 상설화해 지원하고 재도전 장려금을 지급하는 한편 임대료와 전기요금 감면 등도 추진합니다.

위기 중소기업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중소기업 밀집 지역 위기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의무휴업일 적용 대상을 현행 대형마트와 준대규모 점포에서 복합쇼핑몰까지 넓히는 등 골목상권 보호제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