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정책 용어’에 도 넘은 외래어…이해 못해 혜택 못 받기도
입력 2020.10.09 (21:39) 수정 2020.10.09 (22:34)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정부와 자치단체가 만드는 정책 용어에 어려운 외국어가 많아서 얼핏 들어서는 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민들이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정책의 혜택을 못 받아 허비되는 불편 비용이 해마다 280억 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박기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만드는 정책 용어에 어려운 외국어가 많아서 얼핏 들어서는 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민들이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정책의 혜택을 못 받아 허비되는 불편 비용이 해마다 280억 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박기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 ‘정책 용어’에 도 넘은 외래어…이해 못해 혜택 못 받기도
-
- 입력 2020-10-09 21:39:33
- 수정2020-10-09 22:34:11

[앵커]
정부와 자치단체가 만드는 정책 용어에 어려운 외국어가 많아서 얼핏 들어서는 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민들이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정책의 혜택을 못 받아 허비되는 불편 비용이 해마다 280억 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박기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만드는 정책 용어에 어려운 외국어가 많아서 얼핏 들어서는 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민들이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정책의 혜택을 못 받아 허비되는 불편 비용이 해마다 280억 원이 넘는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박기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기원 기자 pray@kbs.co.kr
박기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