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간 문화재 도난 1만 3천 건…회수율 15.5%에 그쳐
입력 2020.10.10 (10:07)
수정 2020.10.10 (1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도난 당한 문화재가 만 3천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문화재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도난된 문화재는 만 2천749건이었습니다.
이 기간 도난된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가 9건, 시도지정문화재가 329건이었고, 나머지는 비지정문화재였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도로 찾은 문화재는 천972건으로, 회수율은 15.5%에 불과했습니다.
임오경 의원은 "세종대왕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글씨인 '소원화개첩'(국보 제238호)은 2001년, 강화 백련사 철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4호)은 1989년에 각각 사라져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도난되는 것도 문제지만, 도난되면 오랫동안 찾기 어렵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임 의원은 아울러 현재 문화재청에 문화재 사범 전담 단속반은 3명뿐이라면서 "저조한 도난 문화재 회수 문제는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문화재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도난된 문화재는 만 2천749건이었습니다.
이 기간 도난된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가 9건, 시도지정문화재가 329건이었고, 나머지는 비지정문화재였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도로 찾은 문화재는 천972건으로, 회수율은 15.5%에 불과했습니다.
임오경 의원은 "세종대왕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글씨인 '소원화개첩'(국보 제238호)은 2001년, 강화 백련사 철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4호)은 1989년에 각각 사라져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도난되는 것도 문제지만, 도난되면 오랫동안 찾기 어렵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임 의원은 아울러 현재 문화재청에 문화재 사범 전담 단속반은 3명뿐이라면서 "저조한 도난 문화재 회수 문제는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근 10년 간 문화재 도난 1만 3천 건…회수율 15.5%에 그쳐
-
- 입력 2020-10-10 10:07:55
- 수정2020-10-10 10:21:27

최근 10년 동안 도난 당한 문화재가 만 3천 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문화재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도난된 문화재는 만 2천749건이었습니다.
이 기간 도난된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가 9건, 시도지정문화재가 329건이었고, 나머지는 비지정문화재였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도로 찾은 문화재는 천972건으로, 회수율은 15.5%에 불과했습니다.
임오경 의원은 "세종대왕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글씨인 '소원화개첩'(국보 제238호)은 2001년, 강화 백련사 철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4호)은 1989년에 각각 사라져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도난되는 것도 문제지만, 도난되면 오랫동안 찾기 어렵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임 의원은 아울러 현재 문화재청에 문화재 사범 전담 단속반은 3명뿐이라면서 "저조한 도난 문화재 회수 문제는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이 문화재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도난된 문화재는 만 2천749건이었습니다.
이 기간 도난된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가 9건, 시도지정문화재가 329건이었고, 나머지는 비지정문화재였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도로 찾은 문화재는 천972건으로, 회수율은 15.5%에 불과했습니다.
임오경 의원은 "세종대왕 셋째 아들 안평대군의 글씨인 '소원화개첩'(국보 제238호)은 2001년, 강화 백련사 철아미타불좌상(보물 제994호)은 1989년에 각각 사라져 아직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도난되는 것도 문제지만, 도난되면 오랫동안 찾기 어렵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임 의원은 아울러 현재 문화재청에 문화재 사범 전담 단속반은 3명뿐이라면서 "저조한 도난 문화재 회수 문제는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문종 기자 mjchoi@kbs.co.kr
최문종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