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권이 빼앗은 첫 5.18 영화…31년 만에 관객들 만난다!

입력 2020.10.26 (21:48) 수정 2020.10.26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80년 5월의 광주는, 한동안 금기의 영역이었습니다.

말할 수 없었고, 말해서는 안 될 감춰진 역사였죠.

그날로부터 16년이 지나 1996년 개봉한 영화 <꽃잎>.

한 소녀의 눈으로 본 도청 앞 집단 발포와 고통의 순간을 정면으로 담았습니다.

5.18을 본격적으로 다뤄 널리 알려진 대중영화의 시작이었죠.

이후 진압군의 눈으로 광주를 바라본 <박하사탕>과 시민군 최후의 순간까지를 담아낸 <화려한 휴가>, <26년>, <택시운전사>, <김군>까지...

그날을 기억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이 31년 만에 복원돼 이번 주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80년대 5.18 민주화운동을 처음으로 다뤘다 상영 금지처분을 받고 필름을 빼앗겼던 영화,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태극기를 들고 알 수 없는 말을 하는 이상한 청년.

["줄, 줄을 잘 서야 해. 본인은 대통령이다!"]

매일 같은 시간에 나타나다보니 '칸트'라는 별명까지 붙었습니다.

["매일 이맘때쯤이면 나한테 와서 보고를 해."]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시위에 참여했다 고문을 당해 미쳐버린 시민군의 모습입니다.

진압군에게도 그날의 기억은 참혹한 상흔으로 남았습니다.

["전... 명령에 따랐을 뿐입니다."]

군의 명령을 받고 소녀를 죽인 죄책감에 시달리다 탈영한 병사도 삶이 송두리째 바뀝니다.

["죽음으로 당신들의 영전에서 사죄하나이다."]

서슬 퍼런 군사정권 시절, 극장에 걸리지도 못하고 상영이 금지됐던 이 영화가 드디어 관객들을 만납니다.

당시 20대 청년이었던 배우가 흰머리가 내려 앉은 중년이 된 세월, 31년 만입니다.

[조선묵/배우 : "제 스물여섯, 스물여덟일 때의 얼굴을 (보게돼서) 감개가 무량하고..."]

기지촌 여성들에게 미군이 저지른 만행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전두환 정권에 대한 비판도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던 문제작입니다.

["만날 저 면상을 보려니 에휴 지겨워. (비극이죠)."]

역사적 비극을 피해자와 가해자 시선으로 그린 영화 두 편을 하나로 묶고, 올해 광주 망월동 모습까지 담아 완결성을 높였습니다.

감독은 이제야 빛을 보게 된 이 영화의 책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김태영/감독 : "내가 총을 쏴서 죽였습니다. (이런) 양심선언은 하나도 없었어요 지금까지. 해야 된다는 거죠, 그 분들이..."]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촬영기자:김종우 임동수/영상편집:안영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사정권이 빼앗은 첫 5.18 영화…31년 만에 관객들 만난다!
    • 입력 2020-10-26 21:48:12
    • 수정2020-10-26 22:07:20
    뉴스 9
[앵커]

80년 5월의 광주는, 한동안 금기의 영역이었습니다.

말할 수 없었고, 말해서는 안 될 감춰진 역사였죠.

그날로부터 16년이 지나 1996년 개봉한 영화 <꽃잎>.

한 소녀의 눈으로 본 도청 앞 집단 발포와 고통의 순간을 정면으로 담았습니다.

5.18을 본격적으로 다뤄 널리 알려진 대중영화의 시작이었죠.

이후 진압군의 눈으로 광주를 바라본 <박하사탕>과 시민군 최후의 순간까지를 담아낸 <화려한 휴가>, <26년>, <택시운전사>, <김군>까지...

그날을 기억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이 31년 만에 복원돼 이번 주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80년대 5.18 민주화운동을 처음으로 다뤘다 상영 금지처분을 받고 필름을 빼앗겼던 영화,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태극기를 들고 알 수 없는 말을 하는 이상한 청년.

["줄, 줄을 잘 서야 해. 본인은 대통령이다!"]

매일 같은 시간에 나타나다보니 '칸트'라는 별명까지 붙었습니다.

["매일 이맘때쯤이면 나한테 와서 보고를 해."]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시위에 참여했다 고문을 당해 미쳐버린 시민군의 모습입니다.

진압군에게도 그날의 기억은 참혹한 상흔으로 남았습니다.

["전... 명령에 따랐을 뿐입니다."]

군의 명령을 받고 소녀를 죽인 죄책감에 시달리다 탈영한 병사도 삶이 송두리째 바뀝니다.

["죽음으로 당신들의 영전에서 사죄하나이다."]

서슬 퍼런 군사정권 시절, 극장에 걸리지도 못하고 상영이 금지됐던 이 영화가 드디어 관객들을 만납니다.

당시 20대 청년이었던 배우가 흰머리가 내려 앉은 중년이 된 세월, 31년 만입니다.

[조선묵/배우 : "제 스물여섯, 스물여덟일 때의 얼굴을 (보게돼서) 감개가 무량하고..."]

기지촌 여성들에게 미군이 저지른 만행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전두환 정권에 대한 비판도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던 문제작입니다.

["만날 저 면상을 보려니 에휴 지겨워. (비극이죠)."]

역사적 비극을 피해자와 가해자 시선으로 그린 영화 두 편을 하나로 묶고, 올해 광주 망월동 모습까지 담아 완결성을 높였습니다.

감독은 이제야 빛을 보게 된 이 영화의 책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김태영/감독 : "내가 총을 쏴서 죽였습니다. (이런) 양심선언은 하나도 없었어요 지금까지. 해야 된다는 거죠, 그 분들이..."]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촬영기자:김종우 임동수/영상편집:안영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