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3D프린터…밀폐 교실서 암 발병 영향?

입력 2020.10.27 (18:02) 수정 2020.10.27 (1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표 기술중 하나가 바로 3D프린팅이죠.

자동차와 선박 등 산업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부문까지 전방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3D프린터, 마냥 안심하고 써도 되는걸까요?

최근 연구와 동아리 활동으로 3D프린터를 많이 사용해 온 한 30대 교사가 희귀병으로 투병하다 숨졌고, 다른 교사도 같은 병을 앓고 있습니다.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소재에서 나오는 유해물질과의 연관성을 의심하고 있는데요.

허효진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허 기자, 우선 이 3D프린터 국내외 시장 규모,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지난해 세계시장 규모는 118억 달러가 넘습니다.

우리 돈으로 13조 4천억 원에 육박하는데요.

자동차 부문 비중이 가장 크고, 소비재나 전기전자, 항공 우주 분야가 뒤를 바짝 좇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부터 연평균 23.3%씩 성장해 고속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4천2백여억 원 규모입니다.

2017년부터 연평균 12.6%씩 성장한 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자동차 부문, 공공기관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앵커]

국내 시장 비중에서 볼 수 있듯이 전국 학교에도 3D프린터가 많이 보급됐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2014년부터 정부 차원에서 3D프린팅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왔는데요.

지난달 기준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만 8천 대가 넘게 보급됐습니다.

전체 학교 10곳 중에 4곳 정도가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얘깁니다.

[앵커]

허 기자가 이번에 취재한 건 3D프린터의 위험성 부분이라고요?

[기자]

네, 제가 취재를 시작한 건 한 30대 교사가 휘귀병인 육종암을 앓다 숨졌다는 소식을 알고 난 뒤인데요.

다른 지역의 교사도 육종암 투병 중이라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이 두 교사의 공통점은 바로 이 학교현장에 보급된 3D프린터를 아주 많이, 또 오래 사용해 왔다는 겁니다.

27제곱미터 크기의 좁은 실험실에서 몇년 동안 거의 매일 최대 5대에서 8대를 동시에 작동시켜 연구나 동아리활동을 해 왔다고 합니다.

유족이나 선생님들로선 3D프린터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게 아니냐 의심하고 있는거죠.

의학계 자문을 받아보니 두 선생님이 진단받은 병이 육종암 중에서도 매우 드문 악성 종양이고, 질환이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3D프린터와의 연관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는 답변이 나왔습니다.

[앵커]

3D프린터가 암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하는 건 어떤 부분 때문인가요?

[기자]

바로, 3D프린터에 사용하는 소재 때문입니다.

이 소재가 유해하다는 건 이미 국내외 많은 논문들이 보여주고 있는데요.

가정이나 학교에서 흔히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가느다란 소재를 고열로 녹인 뒤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물건을 만듭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흔히 쓰이는 소재 2종류를 녹였을 때 나오는 연기를 분석해 봤는데요.

발암성 물질과 생식능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이 검출됐습니다.

3D프린터를 쓰는 산업현장에서도 이런 물질이 아주 미량이지만 검출됐다는 보고서도 있습니다.

초기에 작품이 잘 나오는지 가까이서 지켜봐야 하고 고온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환기는 꿈도 못꿨다는게 교사들의 증언입니다.

물론 '이 3D프린팅 소재가 암을 일으켰다' 이렇게 단언할 순 없지만 역학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앞으로 제도적으로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3D프린팅 소재 안정성에 관해서는 국내외 어디에서도 기준이나 인증 절차가 마련된 게 없었는데요.

여기에다 선생님이 숨진 뒤 석달 만인 지난달 말에서야 3D프린터 작업 환경 지침이 배포됐습니다.

3D프린터 내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거나 환기 주기, 보호구 착용 등을 설명해 놓은건데요.

이 지침, 강제력은 없습니다.

3D프린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업장이 대부분 규모가 작은 영세사업장이어서 환경 기준을 규제하게 되면 그만큼 3D프린팅 산업이 축소될 수 있다고 정부는 우려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선생님들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사용하는 교육현장에서는 이 지침이 제대로 지켜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산재를 신청하기로 한 선생님들도 교육환경에 쓰는 3D 프린터, 그리고 소재에 대해서 엄격한 기준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앵커]

정부가 최근 3D프린터 실태 조사를 벌였는데 그 결과도 지켜볼 필요가 있겠네요.

허효진 기자였습니다.

오늘 소식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3D프린터…밀폐 교실서 암 발병 영향?
    • 입력 2020-10-27 18:02:35
    • 수정2020-10-27 18:30:36
    통합뉴스룸ET
[앵커]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표 기술중 하나가 바로 3D프린팅이죠.

자동차와 선박 등 산업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부문까지 전방위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3D프린터, 마냥 안심하고 써도 되는걸까요?

최근 연구와 동아리 활동으로 3D프린터를 많이 사용해 온 한 30대 교사가 희귀병으로 투병하다 숨졌고, 다른 교사도 같은 병을 앓고 있습니다.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소재에서 나오는 유해물질과의 연관성을 의심하고 있는데요.

허효진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허 기자, 우선 이 3D프린터 국내외 시장 규모,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지난해 세계시장 규모는 118억 달러가 넘습니다.

우리 돈으로 13조 4천억 원에 육박하는데요.

자동차 부문 비중이 가장 크고, 소비재나 전기전자, 항공 우주 분야가 뒤를 바짝 좇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부터 연평균 23.3%씩 성장해 고속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4천2백여억 원 규모입니다.

2017년부터 연평균 12.6%씩 성장한 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자동차 부문, 공공기관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앵커]

국내 시장 비중에서 볼 수 있듯이 전국 학교에도 3D프린터가 많이 보급됐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2014년부터 정부 차원에서 3D프린팅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왔는데요.

지난달 기준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만 8천 대가 넘게 보급됐습니다.

전체 학교 10곳 중에 4곳 정도가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얘깁니다.

[앵커]

허 기자가 이번에 취재한 건 3D프린터의 위험성 부분이라고요?

[기자]

네, 제가 취재를 시작한 건 한 30대 교사가 휘귀병인 육종암을 앓다 숨졌다는 소식을 알고 난 뒤인데요.

다른 지역의 교사도 육종암 투병 중이라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이 두 교사의 공통점은 바로 이 학교현장에 보급된 3D프린터를 아주 많이, 또 오래 사용해 왔다는 겁니다.

27제곱미터 크기의 좁은 실험실에서 몇년 동안 거의 매일 최대 5대에서 8대를 동시에 작동시켜 연구나 동아리활동을 해 왔다고 합니다.

유족이나 선생님들로선 3D프린터가 건강에 영향을 미친게 아니냐 의심하고 있는거죠.

의학계 자문을 받아보니 두 선생님이 진단받은 병이 육종암 중에서도 매우 드문 악성 종양이고, 질환이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3D프린터와의 연관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는 답변이 나왔습니다.

[앵커]

3D프린터가 암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하는 건 어떤 부분 때문인가요?

[기자]

바로, 3D프린터에 사용하는 소재 때문입니다.

이 소재가 유해하다는 건 이미 국내외 많은 논문들이 보여주고 있는데요.

가정이나 학교에서 흔히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가느다란 소재를 고열로 녹인 뒤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물건을 만듭니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흔히 쓰이는 소재 2종류를 녹였을 때 나오는 연기를 분석해 봤는데요.

발암성 물질과 생식능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이 검출됐습니다.

3D프린터를 쓰는 산업현장에서도 이런 물질이 아주 미량이지만 검출됐다는 보고서도 있습니다.

초기에 작품이 잘 나오는지 가까이서 지켜봐야 하고 고온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환기는 꿈도 못꿨다는게 교사들의 증언입니다.

물론 '이 3D프린팅 소재가 암을 일으켰다' 이렇게 단언할 순 없지만 역학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앞으로 제도적으로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3D프린팅 소재 안정성에 관해서는 국내외 어디에서도 기준이나 인증 절차가 마련된 게 없었는데요.

여기에다 선생님이 숨진 뒤 석달 만인 지난달 말에서야 3D프린터 작업 환경 지침이 배포됐습니다.

3D프린터 내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거나 환기 주기, 보호구 착용 등을 설명해 놓은건데요.

이 지침, 강제력은 없습니다.

3D프린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업장이 대부분 규모가 작은 영세사업장이어서 환경 기준을 규제하게 되면 그만큼 3D프린팅 산업이 축소될 수 있다고 정부는 우려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선생님들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사용하는 교육현장에서는 이 지침이 제대로 지켜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산재를 신청하기로 한 선생님들도 교육환경에 쓰는 3D 프린터, 그리고 소재에 대해서 엄격한 기준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앵커]

정부가 최근 3D프린터 실태 조사를 벌였는데 그 결과도 지켜볼 필요가 있겠네요.

허효진 기자였습니다.

오늘 소식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