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등학교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오늘(6일) 하루 파업에 나섰습니다. 돌봄전담사 등이 포함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오늘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와 세종시 교육부, 가 시도교육청 앞에서 파업 집회를 열고 돌봄 운영 주체를 교육청에서 지방자치단체로 넘기는 법안 철회, 학교 돌봄 법제화, 단시간 돌봄 전담사의 근무시간 확대를 촉구했습니다.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조 서울 지부장은 "교육부가 추진하다가 교원단체의 반발에 폐기한 학교 돌봄 법제화를 다시 추진하고 단시간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 아이들과 학부모를 위해 온종일 돌봄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한다. 하지만 학교 돌봄을 지자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민주당의 온종일 법안은 졸속이다."라고 거리로 나선 이유를 말했습니다.
당국은 담임교사 등 정규 교원, 교장과 교감 같은 관리직 교원과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돌봄 전담사를 투입해 방과 후 돌봄교실을 정상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에 파업자제를 요청하는 한편 정부와 교육청, 돌봄 노조, 교원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신속하게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돌봄 노조 측은 앞으로 점진적 전일제 전환 등의 합의가 나오지 않는다면 2차 파업은 더 큰 규모로 하루 이상 단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돌봄전담사 총파업 현장입니다.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조 서울 지부장은 "교육부가 추진하다가 교원단체의 반발에 폐기한 학교 돌봄 법제화를 다시 추진하고 단시간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 아이들과 학부모를 위해 온종일 돌봄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한다. 하지만 학교 돌봄을 지자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민주당의 온종일 법안은 졸속이다."라고 거리로 나선 이유를 말했습니다.
당국은 담임교사 등 정규 교원, 교장과 교감 같은 관리직 교원과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돌봄 전담사를 투입해 방과 후 돌봄교실을 정상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에 파업자제를 요청하는 한편 정부와 교육청, 돌봄 노조, 교원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신속하게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돌봄 노조 측은 앞으로 점진적 전일제 전환 등의 합의가 나오지 않는다면 2차 파업은 더 큰 규모로 하루 이상 단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돌봄전담사 총파업 현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영상] ‘학교 돌봄 법제화’ 초등 돌봄전담사 총파업
-
- 입력 2020-11-06 15:44:50

전국 초등학교 돌봄 전담사 절반가량이 오늘(6일) 하루 파업에 나섰습니다. 돌봄전담사 등이 포함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오늘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와 세종시 교육부, 가 시도교육청 앞에서 파업 집회를 열고 돌봄 운영 주체를 교육청에서 지방자치단체로 넘기는 법안 철회, 학교 돌봄 법제화, 단시간 돌봄 전담사의 근무시간 확대를 촉구했습니다.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조 서울 지부장은 "교육부가 추진하다가 교원단체의 반발에 폐기한 학교 돌봄 법제화를 다시 추진하고 단시간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 아이들과 학부모를 위해 온종일 돌봄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한다. 하지만 학교 돌봄을 지자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민주당의 온종일 법안은 졸속이다."라고 거리로 나선 이유를 말했습니다.
당국은 담임교사 등 정규 교원, 교장과 교감 같은 관리직 교원과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돌봄 전담사를 투입해 방과 후 돌봄교실을 정상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에 파업자제를 요청하는 한편 정부와 교육청, 돌봄 노조, 교원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신속하게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돌봄 노조 측은 앞으로 점진적 전일제 전환 등의 합의가 나오지 않는다면 2차 파업은 더 큰 규모로 하루 이상 단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돌봄전담사 총파업 현장입니다.
이미선 전국학교비정규직조 서울 지부장은 "교육부가 추진하다가 교원단체의 반발에 폐기한 학교 돌봄 법제화를 다시 추진하고 단시간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우리 아이들과 학부모를 위해 온종일 돌봄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한다. 하지만 학교 돌봄을 지자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민주당의 온종일 법안은 졸속이다."라고 거리로 나선 이유를 말했습니다.
당국은 담임교사 등 정규 교원, 교장과 교감 같은 관리직 교원과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돌봄 전담사를 투입해 방과 후 돌봄교실을 정상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노조에 파업자제를 요청하는 한편 정부와 교육청, 돌봄 노조, 교원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신속하게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
돌봄 노조 측은 앞으로 점진적 전일제 전환 등의 합의가 나오지 않는다면 2차 파업은 더 큰 규모로 하루 이상 단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돌봄전담사 총파업 현장입니다.
-
-
이제우 기자 jewoolee@kbs.co.kr
이제우 기자의 기사 모음 -
류재현 기자 bboshoo@kbs.co.kr
류재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