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여성과 저임금 노동자의 수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노동기구(ILO)가 밝혔습니다.
ILO는 현재시간 2일 ‘2020/21 전 세계 임금 보고서’를 내고, 올해 2분기 유럽 28개국의 여성 노동자 수입이 보조금을 제외하고 8.1%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기간 남성 노동자 수입은 5.4% 줄었습니다.
전체 직군의 수입은 보조금을 제외하고 6.5% 감소했으나 최저 임금을 받는 노동자만 살펴보면 이 중 절반은 수입이 17.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숙련도가 낮은 노동자의 근로 시간도 고소득 전문직 노동자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ILO에 자료를 제공한 국가들의 3분의 1은 평균 임금이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임금 노동자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으면서 집계에서 제외돼 평균치가 상승한 것이라고 ILO는 설명했습니다. 가이 라이더 IL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불평등이 빈곤과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면서 “일자리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임금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ILO는 현재시간 2일 ‘2020/21 전 세계 임금 보고서’를 내고, 올해 2분기 유럽 28개국의 여성 노동자 수입이 보조금을 제외하고 8.1%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기간 남성 노동자 수입은 5.4% 줄었습니다.
전체 직군의 수입은 보조금을 제외하고 6.5% 감소했으나 최저 임금을 받는 노동자만 살펴보면 이 중 절반은 수입이 17.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숙련도가 낮은 노동자의 근로 시간도 고소득 전문직 노동자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ILO에 자료를 제공한 국가들의 3분의 1은 평균 임금이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임금 노동자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으면서 집계에서 제외돼 평균치가 상승한 것이라고 ILO는 설명했습니다. 가이 라이더 IL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불평등이 빈곤과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면서 “일자리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임금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로 여성·저임금 노동자가 직격탄 맞아”
-
- 입력 2020-12-03 11:06:25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여성과 저임금 노동자의 수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제노동기구(ILO)가 밝혔습니다.
ILO는 현재시간 2일 ‘2020/21 전 세계 임금 보고서’를 내고, 올해 2분기 유럽 28개국의 여성 노동자 수입이 보조금을 제외하고 8.1%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기간 남성 노동자 수입은 5.4% 줄었습니다.
전체 직군의 수입은 보조금을 제외하고 6.5% 감소했으나 최저 임금을 받는 노동자만 살펴보면 이 중 절반은 수입이 17.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숙련도가 낮은 노동자의 근로 시간도 고소득 전문직 노동자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ILO에 자료를 제공한 국가들의 3분의 1은 평균 임금이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임금 노동자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으면서 집계에서 제외돼 평균치가 상승한 것이라고 ILO는 설명했습니다. 가이 라이더 IL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불평등이 빈곤과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면서 “일자리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임금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ILO는 현재시간 2일 ‘2020/21 전 세계 임금 보고서’를 내고, 올해 2분기 유럽 28개국의 여성 노동자 수입이 보조금을 제외하고 8.1%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같은 기간 남성 노동자 수입은 5.4% 줄었습니다.
전체 직군의 수입은 보조금을 제외하고 6.5% 감소했으나 최저 임금을 받는 노동자만 살펴보면 이 중 절반은 수입이 17.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숙련도가 낮은 노동자의 근로 시간도 고소득 전문직 노동자보다 더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ILO에 자료를 제공한 국가들의 3분의 1은 평균 임금이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임금 노동자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으면서 집계에서 제외돼 평균치가 상승한 것이라고 ILO는 설명했습니다. 가이 라이더 IL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불평등이 빈곤과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더욱 위협하고 있다”면서 “일자리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임금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