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구당 연소득 96만 원 늘 때 빚은 346만 원 늘었다

입력 2020.12.17 (12:04) 수정 2020.12.17 (1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 국민의 가구당 연 소득이 평균 96만 원 늘 때 빚은 346만 원 늘어, 소득보다 빚이 더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오늘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2019년 가구당 평균소득은 전년 대비 96만 원(1.7%) 오른 5천924만 원이었고, 평균 부채는 346만 원(4.4%) 늘어난 8천25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가구당의 자산은 3.1% 올라 4억 4543만 원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가구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 자산은 3억 6,287만 원(2.9%)을 기록했습니다.

자산과 부채 변동 요인을 보면 부동산 가격 상승과 이에 따른 주택 구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자산 가격의 경우 금융자산은 감소(-0.6%)했지만,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 가격 상승(4.3%)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는 증가했고, 부채 역시 담보대출 등 금융부채 증가액이 전체의 85%를 차지했습니다.

통계청은 "담보대출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나타났다"며, "별도의 부채 목적 조사 결과를 보면 주택구입이나 전·월세 보증금 비율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젊은 연령의 부동산 구입 비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득분배지표는 대체로 개선됐습니다.

대표적인 소득불평등도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9로 전년 대비 0.006% 감소해 개선됐으며, 소득 상위 20% 평균 대비 하위 20%의 비율인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0.29배 p 감소한 6.25배가 됐습니다.

다만 가처분소득이 아닌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불평등도를 측정하면 지니계수는 0.404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높아졌고(0.002), 5분위 배율 역시 11.56으로 전년보다 0.41배 p 높아졌습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하위 소득 가구인 1, 2분위의 근로소득 감소가 영향을 미쳐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분배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하는 형태를 보였다"면서도 "공적 이전소득의 증가로 인해 가처분소득 기준 불평등도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면서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공적 이전소득은 기초연금이나 실업급여 등 정부의 역할에 따라 가구로 이전되는 소득으로 국가의 복지 역량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성을 띕니다.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전국의 2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별 면접과 인터넷 조사를 바탕으로 한 설문조사 통계입니다.

또 조사 기준시점은 자산과 부채, 가구구성의 경우는 올해 3월 31일이고, 소득과 지출,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지난해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의 소득과 지출, 대출 변동 등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가계금융복지조사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가구당 연소득 96만 원 늘 때 빚은 346만 원 늘었다
    • 입력 2020-12-17 12:04:31
    • 수정2020-12-17 13:08:26
    경제
지난해 우리 국민의 가구당 연 소득이 평균 96만 원 늘 때 빚은 346만 원 늘어, 소득보다 빚이 더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이 오늘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2019년 가구당 평균소득은 전년 대비 96만 원(1.7%) 오른 5천924만 원이었고, 평균 부채는 346만 원(4.4%) 늘어난 8천25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가구당의 자산은 3.1% 올라 4억 4543만 원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가구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 자산은 3억 6,287만 원(2.9%)을 기록했습니다.

자산과 부채 변동 요인을 보면 부동산 가격 상승과 이에 따른 주택 구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자산 가격의 경우 금융자산은 감소(-0.6%)했지만,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 가격 상승(4.3%)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는 증가했고, 부채 역시 담보대출 등 금융부채 증가액이 전체의 85%를 차지했습니다.

통계청은 "담보대출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나타났다"며, "별도의 부채 목적 조사 결과를 보면 주택구입이나 전·월세 보증금 비율이 가장 높았고, 비교적 젊은 연령의 부동산 구입 비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득분배지표는 대체로 개선됐습니다.

대표적인 소득불평등도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39로 전년 대비 0.006% 감소해 개선됐으며, 소득 상위 20% 평균 대비 하위 20%의 비율인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0.29배 p 감소한 6.25배가 됐습니다.

다만 가처분소득이 아닌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불평등도를 측정하면 지니계수는 0.404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높아졌고(0.002), 5분위 배율 역시 11.56으로 전년보다 0.41배 p 높아졌습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하위 소득 가구인 1, 2분위의 근로소득 감소가 영향을 미쳐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분배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하는 형태를 보였다"면서도 "공적 이전소득의 증가로 인해 가처분소득 기준 불평등도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면서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공적 이전소득은 기초연금이나 실업급여 등 정부의 역할에 따라 가구로 이전되는 소득으로 국가의 복지 역량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성을 띕니다.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전국의 2만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별 면접과 인터넷 조사를 바탕으로 한 설문조사 통계입니다.

또 조사 기준시점은 자산과 부채, 가구구성의 경우는 올해 3월 31일이고, 소득과 지출,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지난해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의 소득과 지출, 대출 변동 등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가계금융복지조사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