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로 GDP 대비 부가세 비중 감소 가능성…증세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입력 2021.01.05 (09:03) 수정 2021.01.05 (09: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가 계속되면 부가가치세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서 부가세 세율 인상 등 증세를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성명재 홍익대 교수는 오늘(5일) 한국재정학회 재정학연구에 투고한 ‘부가가치세 세수의 소득 탄성치 퍼즐: 원인 분석과 전망’ 논문에서 고령화가 부가세 세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성 교수는 우선 한국의 평균 소비성향(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소비지출)이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인데도 민간소비지출에 과세하는 부가세의 GDP 대비 비중은 거꾸로 상승하는 ‘세수 퍼즐’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국민 계정상 소비성향은 1978년 59.7%에서 2018년 48.0%로 하락했으나 같은 기간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은 3.3%에서 4.1%로 상승했습니다.

성 교수는 한국의 부가세가 소득탄력성이 낮은 생활필수품에 대해서는 폭넓게 면세하고 소득탄력성이 높은 품목을 주로 과세대상으로 삼고 있어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봤습니다.

부가세 세수는 과세소비에 의존하는데, 경제 성장에 따라 소득이 증가하면 탄력성이 높은 과세소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어납니다. 이 때문에 소비성향이 하락해도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은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성 교수는 만약 생필품 등에 대한 면세 없이 민간소비지출 전체에 부가세를 과세했다면 소비성향이 하락하면서 GDP 대비 부가세 비중도 함께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는 인구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부가세의 세원 전망이 밝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고령자 가구일수록 과세소비 성향이 작아지기에 고령화는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을 하락시킵니다.

소득 증가에 따른 성장이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앞으로 성장 효과는 둔화하는 반면 고령화는 더욱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이 줄면서 부가세의 재정 기여도가 위축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성 교수는 “한국은 통일 재원, 복지재정 소요 등의 측면에서 재정 소요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부가세가 담당해야 할 영역도 작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성장 효과가 둔화하고 고령화 효과가 빠르게 진전되는 현실을 고려하면 부가세의 세율 인상 또는 면세 축소 등 증세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화로 GDP 대비 부가세 비중 감소 가능성…증세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 입력 2021-01-05 09:03:57
    • 수정2021-01-05 09:07:22
    경제
인구 고령화가 계속되면 부가가치세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서 부가세 세율 인상 등 증세를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성명재 홍익대 교수는 오늘(5일) 한국재정학회 재정학연구에 투고한 ‘부가가치세 세수의 소득 탄성치 퍼즐: 원인 분석과 전망’ 논문에서 고령화가 부가세 세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성 교수는 우선 한국의 평균 소비성향(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소비지출)이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인데도 민간소비지출에 과세하는 부가세의 GDP 대비 비중은 거꾸로 상승하는 ‘세수 퍼즐’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국민 계정상 소비성향은 1978년 59.7%에서 2018년 48.0%로 하락했으나 같은 기간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은 3.3%에서 4.1%로 상승했습니다.

성 교수는 한국의 부가세가 소득탄력성이 낮은 생활필수품에 대해서는 폭넓게 면세하고 소득탄력성이 높은 품목을 주로 과세대상으로 삼고 있어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봤습니다.

부가세 세수는 과세소비에 의존하는데, 경제 성장에 따라 소득이 증가하면 탄력성이 높은 과세소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어납니다. 이 때문에 소비성향이 하락해도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은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성 교수는 만약 생필품 등에 대한 면세 없이 민간소비지출 전체에 부가세를 과세했다면 소비성향이 하락하면서 GDP 대비 부가세 비중도 함께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는 인구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부가세의 세원 전망이 밝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고령자 가구일수록 과세소비 성향이 작아지기에 고령화는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을 하락시킵니다.

소득 증가에 따른 성장이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앞으로 성장 효과는 둔화하는 반면 고령화는 더욱 빠르게 진전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GDP 대비 부가세 비중이 줄면서 부가세의 재정 기여도가 위축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성 교수는 “한국은 통일 재원, 복지재정 소요 등의 측면에서 재정 소요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부가세가 담당해야 할 영역도 작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성장 효과가 둔화하고 고령화 효과가 빠르게 진전되는 현실을 고려하면 부가세의 세율 인상 또는 면세 축소 등 증세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