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란 억류 선박 억류 사유 등 파악 중”
입력 2021.01.05 (19:59)
수정 2021.01.05 (2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이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된 것과 관련해, 해양수산부가 관계기관 등과 함께 선박 억류 사유와 승선원들의 안전 여부 등을 파악 중이라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해수부는 이란 당국이 우리 선박을 억류한 사유로 제시하고 있는 ‘해양 환경 오염’과 관련해 해당 선박이 지난해 11월 한국선급의 검사를 완료하는 등 선체 결함으로 인한 해양 오염 발생 문제는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억류된 선박과 관련해 새롭게 확인되는 상황을 관계기관 등에 전파하고, 선원 가족들을 실시간 지원할 수 있는 연락체계를 선사와 함께 가동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호르무즈 해협을 운항하는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선박 장거리 위치추적시스템(LRIT)을 활용한 선박 위치 수신 주기를 6시간에서 1시간으로 단축하고, 호르무즈 해협 진입 24시간 전 선박 보안경보장치(SSAS)를 사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선사와의 실시간 연락체계 유지 등 중동지역 항해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어제(4일) 오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돼 이란 항만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선사로부터 전달받은 해수부는 외교부와 청해부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우리 선원 5명의 가족에게 사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또 호르무즈 해협 인근을 항해 중인 한국 국적 선박 5척에 관련 상황을 전파하고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안전 항해를 유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수부는 이란 당국이 우리 선박을 억류한 사유로 제시하고 있는 ‘해양 환경 오염’과 관련해 해당 선박이 지난해 11월 한국선급의 검사를 완료하는 등 선체 결함으로 인한 해양 오염 발생 문제는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억류된 선박과 관련해 새롭게 확인되는 상황을 관계기관 등에 전파하고, 선원 가족들을 실시간 지원할 수 있는 연락체계를 선사와 함께 가동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호르무즈 해협을 운항하는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선박 장거리 위치추적시스템(LRIT)을 활용한 선박 위치 수신 주기를 6시간에서 1시간으로 단축하고, 호르무즈 해협 진입 24시간 전 선박 보안경보장치(SSAS)를 사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선사와의 실시간 연락체계 유지 등 중동지역 항해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어제(4일) 오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돼 이란 항만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선사로부터 전달받은 해수부는 외교부와 청해부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우리 선원 5명의 가족에게 사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또 호르무즈 해협 인근을 항해 중인 한국 국적 선박 5척에 관련 상황을 전파하고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안전 항해를 유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수부 “이란 억류 선박 억류 사유 등 파악 중”
-
- 입력 2021-01-05 19:59:06
- 수정2021-01-05 20:09:01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이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된 것과 관련해, 해양수산부가 관계기관 등과 함께 선박 억류 사유와 승선원들의 안전 여부 등을 파악 중이라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해수부는 이란 당국이 우리 선박을 억류한 사유로 제시하고 있는 ‘해양 환경 오염’과 관련해 해당 선박이 지난해 11월 한국선급의 검사를 완료하는 등 선체 결함으로 인한 해양 오염 발생 문제는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억류된 선박과 관련해 새롭게 확인되는 상황을 관계기관 등에 전파하고, 선원 가족들을 실시간 지원할 수 있는 연락체계를 선사와 함께 가동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호르무즈 해협을 운항하는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선박 장거리 위치추적시스템(LRIT)을 활용한 선박 위치 수신 주기를 6시간에서 1시간으로 단축하고, 호르무즈 해협 진입 24시간 전 선박 보안경보장치(SSAS)를 사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선사와의 실시간 연락체계 유지 등 중동지역 항해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어제(4일) 오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돼 이란 항만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선사로부터 전달받은 해수부는 외교부와 청해부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우리 선원 5명의 가족에게 사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또 호르무즈 해협 인근을 항해 중인 한국 국적 선박 5척에 관련 상황을 전파하고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안전 항해를 유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수부는 이란 당국이 우리 선박을 억류한 사유로 제시하고 있는 ‘해양 환경 오염’과 관련해 해당 선박이 지난해 11월 한국선급의 검사를 완료하는 등 선체 결함으로 인한 해양 오염 발생 문제는 없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억류된 선박과 관련해 새롭게 확인되는 상황을 관계기관 등에 전파하고, 선원 가족들을 실시간 지원할 수 있는 연락체계를 선사와 함께 가동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호르무즈 해협을 운항하는 우리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선박 장거리 위치추적시스템(LRIT)을 활용한 선박 위치 수신 주기를 6시간에서 1시간으로 단축하고, 호르무즈 해협 진입 24시간 전 선박 보안경보장치(SSAS)를 사전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선사와의 실시간 연락체계 유지 등 중동지역 항해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체계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앞서 어제(4일) 오후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이던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억류돼 이란 항만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선사로부터 전달받은 해수부는 외교부와 청해부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하고, 우리 선원 5명의 가족에게 사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또 호르무즈 해협 인근을 항해 중인 한국 국적 선박 5척에 관련 상황을 전파하고 경계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안전 항해를 유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지은 기자 written@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