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이제 고작 12일 남았지만, 미국에선 탄핵론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분열을 조장한 대통령, 단 하루도 더 있게 해선 안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공화당 지지자들의 절반 정도가 이번 사태에 동조한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도 있고, 시위대가 흑인이었어도 경찰의 대응이 이렇게 허술했을까하는 의심도 제기됩니다.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위태로워질 수 있는지 우리는 똑똑히 목격하고 있습니다.
뉴스라인 시작합니다.
법원 “日, 위안부 피해자에 배상해야”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일억 원씩을 배상하라는 국내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본은, 한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닷새 만에 6백 명대…‘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출범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육백 명대로 떨어지는 등 확산세는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범정부 차원의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도 출범했습니다.
‘중대재해법’ 국회 통과…“실효성 낮아”
산업재해에 대한 경영자의 책임과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오인 미만 사업장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분열을 조장한 대통령, 단 하루도 더 있게 해선 안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공화당 지지자들의 절반 정도가 이번 사태에 동조한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도 있고, 시위대가 흑인이었어도 경찰의 대응이 이렇게 허술했을까하는 의심도 제기됩니다.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위태로워질 수 있는지 우리는 똑똑히 목격하고 있습니다.
뉴스라인 시작합니다.
법원 “日, 위안부 피해자에 배상해야”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일억 원씩을 배상하라는 국내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본은, 한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닷새 만에 6백 명대…‘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출범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육백 명대로 떨어지는 등 확산세는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범정부 차원의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도 출범했습니다.
‘중대재해법’ 국회 통과…“실효성 낮아”
산업재해에 대한 경영자의 책임과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오인 미만 사업장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라인 헤드라인]
-
- 입력 2021-01-08 23:40:33
- 수정2021-01-08 23:46:15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1/01/08/10_5090875.jpg)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이제 고작 12일 남았지만, 미국에선 탄핵론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분열을 조장한 대통령, 단 하루도 더 있게 해선 안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공화당 지지자들의 절반 정도가 이번 사태에 동조한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도 있고, 시위대가 흑인이었어도 경찰의 대응이 이렇게 허술했을까하는 의심도 제기됩니다.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위태로워질 수 있는지 우리는 똑똑히 목격하고 있습니다.
뉴스라인 시작합니다.
법원 “日, 위안부 피해자에 배상해야”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일억 원씩을 배상하라는 국내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본은, 한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닷새 만에 6백 명대…‘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출범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육백 명대로 떨어지는 등 확산세는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범정부 차원의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도 출범했습니다.
‘중대재해법’ 국회 통과…“실효성 낮아”
산업재해에 대한 경영자의 책임과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오인 미만 사업장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분열을 조장한 대통령, 단 하루도 더 있게 해선 안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공화당 지지자들의 절반 정도가 이번 사태에 동조한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도 있고, 시위대가 흑인이었어도 경찰의 대응이 이렇게 허술했을까하는 의심도 제기됩니다.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위태로워질 수 있는지 우리는 똑똑히 목격하고 있습니다.
뉴스라인 시작합니다.
법원 “日, 위안부 피해자에 배상해야”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일억 원씩을 배상하라는 국내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습니다.
일본은, 한국이 국제법을 어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닷새 만에 6백 명대…‘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출범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육백 명대로 떨어지는 등 확산세는 정점을 지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범정부 차원의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도 출범했습니다.
‘중대재해법’ 국회 통과…“실효성 낮아”
산업재해에 대한 경영자의 책임과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오인 미만 사업장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