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쓰레기 처리 발등의 불…신도시에는 안되나?

입력 2021.01.12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세종시 인구 느니 생활폐기물 처리 골머리

세종시의 지난해 인구는 35만여 명 정도, 시 출범 8년을 넘으며 인구가 3배 이상 급증했는데 도시성장이라는 기대감만 있는 게 아니라 새로운 골칫거리도 등장했다.

바로 급격히 늘고 있는 생활폐기물 처리 문제다.

2016년에는 음식물을 포함한 각종 생활폐기물이 하루 99톤 가량 발생했다. 하지만, 4년만인 지난해에는 하루 188톤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2030년에는 하루 338톤, 인구 규모가 6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세종시에서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은 2009년 충남 연기군 당시 지어진 종합폐기물 시설인데, 현재 매립은 중단되고 45톤 규모에서 소각만 가능하다. 또 신도시에 폐기물연료화시설이 있지만 이곳의 처리 용량 역시 과부족한 상태다.

결국 발생량의 68% 는 위탁업체에 맡겨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처리비용도 해마다 증가해 2016년 5억 원 가량에서 지난해에는 음식물 폐기물 포함 85억 원에 달했다.

올해는 택배와 배달음식 등이 늘면서 생활폐기물도 더 늘고 위탁처리 단가도 인상돼 위탁비용이 100억 안팎까지 늘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일 년에 백억 넘는 예산이 쓰레기 위탁처리비용으로만 사라지는 셈이다.


■ 친환경 종합타운 부각했지만 원도심 주민 피해의식에 좌초

이에 따라 세종시가 지난해 소각시설 4백 톤/일, 음식물 자원화시설 80톤/일, 규모의 친환경 종합타운을 건설하기로 하고 1차 신청지역 공모를 받았다.

아산시와 경기도 하남시, 전북 익산시, 경북 안동시처럼 첨단 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소각장과 음식물 자원화시설을 짓고 주변은 공원처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또 수영장과 목욕탕,헬스장 등 주민편의시설에 120억 원에서 240억 원을 투입하고 마을기업과 주민지원 사업 등에도 5억 원에서 10억 원을 조성하기로 하는 등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다짐도 했다.

때마침 기존 폐기물종합처리시설이 있는 인근 지역에서 신청을 했지만, 주민 동의를 철회하면서 전면 무산됐다. 세종 신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원도심에 있던 공공기관이 신도시로 이전해 가뜩이나 소외감이 큰 마당에 소각장마저 또 짓는 것은 용인할 수 없다는 반대의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또다시 다음달까지 2차 공모에 나서는 상황에 처했다.


■ 그렇다면 신도심 중앙공원 활용방안은 어떤가요?

원도심 주민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세종시 쓰레기 소각장 구도심 이전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대안으로 세종정부청사 인근에 조성된 중앙공원 부지 안에 친환경 종합타운을 건설하자고 제안했다.

비대위는 이미 준공된 1단계가 아닌 2단계 공원 부지 면적의 4분1 정도만 활용하면 초고층 굴뚝 타워를 갖춘 친환경시설을 지하에 넣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지상에는 인근 지역에 짓기로 한 종합운동장을 이곳에 추가하면 연계효과까지 더해 그 자체가 관광자원이 되면서 초고층 타워 전망대 관람이나 각종 행사, 축제로 랜드마크 기능을 해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그야말로 친환경 종합타운이 될 것이란 기대감도 밝혔다.

특히, LH에서 이미 부지를 조성한 공원인 만큼 부지 구입비가 따로 필요없고 주민 동의 등 민원발생도 적어 적지라는 분석이다.

이미 외국에서도 도심지 한복판에 폐기물 처리시설이 최첨단 친환경시설로 들어서고 있어 세종시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들 비대위는 현재 SNS와 문자메시지 등 비대면 형태로 동의를 받아 조만간 세종시와 LH 등에 이같은 방안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쓰레기 등 생활폐기물 시설이 요즘에는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정도가 약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님비현상도 엄연한 현실, 새로운 생활폐기물 시설을 짓는데 적정성과 타당성 검토, 실제 공사 등
모든 절차를 거쳐 준공되는 데 걸리는 기간만 5~6년 정도다.

그만큼 생활폐기물은 늘어가고 시 재정 부담을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쓰레기 처리 단가가 마냥 오르고 만에 하나 위탁처리가 지연될 수 있을 때를 가정하면 쓰레기 대란도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비상한 대비가 요구되는 이유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종시 쓰레기 처리 발등의 불…신도시에는 안되나?
    • 입력 2021-01-12 19:50:28
    취재K

■ 세종시 인구 느니 생활폐기물 처리 골머리

세종시의 지난해 인구는 35만여 명 정도, 시 출범 8년을 넘으며 인구가 3배 이상 급증했는데 도시성장이라는 기대감만 있는 게 아니라 새로운 골칫거리도 등장했다.

바로 급격히 늘고 있는 생활폐기물 처리 문제다.

2016년에는 음식물을 포함한 각종 생활폐기물이 하루 99톤 가량 발생했다. 하지만, 4년만인 지난해에는 하루 188톤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2030년에는 하루 338톤, 인구 규모가 6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세종시에서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은 2009년 충남 연기군 당시 지어진 종합폐기물 시설인데, 현재 매립은 중단되고 45톤 규모에서 소각만 가능하다. 또 신도시에 폐기물연료화시설이 있지만 이곳의 처리 용량 역시 과부족한 상태다.

결국 발생량의 68% 는 위탁업체에 맡겨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처리비용도 해마다 증가해 2016년 5억 원 가량에서 지난해에는 음식물 폐기물 포함 85억 원에 달했다.

올해는 택배와 배달음식 등이 늘면서 생활폐기물도 더 늘고 위탁처리 단가도 인상돼 위탁비용이 100억 안팎까지 늘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일 년에 백억 넘는 예산이 쓰레기 위탁처리비용으로만 사라지는 셈이다.


■ 친환경 종합타운 부각했지만 원도심 주민 피해의식에 좌초

이에 따라 세종시가 지난해 소각시설 4백 톤/일, 음식물 자원화시설 80톤/일, 규모의 친환경 종합타운을 건설하기로 하고 1차 신청지역 공모를 받았다.

아산시와 경기도 하남시, 전북 익산시, 경북 안동시처럼 첨단 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소각장과 음식물 자원화시설을 짓고 주변은 공원처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또 수영장과 목욕탕,헬스장 등 주민편의시설에 120억 원에서 240억 원을 투입하고 마을기업과 주민지원 사업 등에도 5억 원에서 10억 원을 조성하기로 하는 등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다짐도 했다.

때마침 기존 폐기물종합처리시설이 있는 인근 지역에서 신청을 했지만, 주민 동의를 철회하면서 전면 무산됐다. 세종 신도시가 만들어지면서 원도심에 있던 공공기관이 신도시로 이전해 가뜩이나 소외감이 큰 마당에 소각장마저 또 짓는 것은 용인할 수 없다는 반대의견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또다시 다음달까지 2차 공모에 나서는 상황에 처했다.


■ 그렇다면 신도심 중앙공원 활용방안은 어떤가요?

원도심 주민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세종시 쓰레기 소각장 구도심 이전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대안으로 세종정부청사 인근에 조성된 중앙공원 부지 안에 친환경 종합타운을 건설하자고 제안했다.

비대위는 이미 준공된 1단계가 아닌 2단계 공원 부지 면적의 4분1 정도만 활용하면 초고층 굴뚝 타워를 갖춘 친환경시설을 지하에 넣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지상에는 인근 지역에 짓기로 한 종합운동장을 이곳에 추가하면 연계효과까지 더해 그 자체가 관광자원이 되면서 초고층 타워 전망대 관람이나 각종 행사, 축제로 랜드마크 기능을 해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그야말로 친환경 종합타운이 될 것이란 기대감도 밝혔다.

특히, LH에서 이미 부지를 조성한 공원인 만큼 부지 구입비가 따로 필요없고 주민 동의 등 민원발생도 적어 적지라는 분석이다.

이미 외국에서도 도심지 한복판에 폐기물 처리시설이 최첨단 친환경시설로 들어서고 있어 세종시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들 비대위는 현재 SNS와 문자메시지 등 비대면 형태로 동의를 받아 조만간 세종시와 LH 등에 이같은 방안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쓰레기 등 생활폐기물 시설이 요즘에는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정도가 약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님비현상도 엄연한 현실, 새로운 생활폐기물 시설을 짓는데 적정성과 타당성 검토, 실제 공사 등
모든 절차를 거쳐 준공되는 데 걸리는 기간만 5~6년 정도다.

그만큼 생활폐기물은 늘어가고 시 재정 부담을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쓰레기 처리 단가가 마냥 오르고 만에 하나 위탁처리가 지연될 수 있을 때를 가정하면 쓰레기 대란도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비상한 대비가 요구되는 이유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