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北 당대회 대남메시지 관계개선 입장 시사한 것”
입력 2021.01.14 (18:34)
수정 2021.01.14 (1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일부는 북한이 8차 당대회를 통해 내놓은 대남 메시지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 입장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통일부는 오늘(14일) 배포한 북한 8차 당대회 분석자료에서 북한의 대남 관련 사업총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근본문제’ 해결 등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번 당대회에서 첨단군사장비 반입과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언급하며 “근본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파국에 처한 현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한 것과 관련해, ‘적극적 대책 강구’ 등의 표현이 남북관계 재개의 중요성을 피력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새로운 길’,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과 같은 표현을 쓴 것은 “우리 측 태도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대미 메시지에 대해서는 “미국을 ‘최대 주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는 등 수위를 조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제시한 ‘강대강·선대선’ 원칙은 “향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따라 북미협상 재개 또는 도발 등 강온양면 전략 대응을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이번 당대회에서 직책이 강등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에 대해서는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제외돼 표면적으로는 위상이 하락했으나 대남·대외 등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보좌역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제공]
통일부는 오늘(14일) 배포한 북한 8차 당대회 분석자료에서 북한의 대남 관련 사업총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근본문제’ 해결 등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번 당대회에서 첨단군사장비 반입과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언급하며 “근본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파국에 처한 현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한 것과 관련해, ‘적극적 대책 강구’ 등의 표현이 남북관계 재개의 중요성을 피력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새로운 길’,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과 같은 표현을 쓴 것은 “우리 측 태도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대미 메시지에 대해서는 “미국을 ‘최대 주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는 등 수위를 조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제시한 ‘강대강·선대선’ 원칙은 “향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따라 북미협상 재개 또는 도발 등 강온양면 전략 대응을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이번 당대회에서 직책이 강등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에 대해서는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제외돼 표면적으로는 위상이 하락했으나 대남·대외 등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보좌역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부 “北 당대회 대남메시지 관계개선 입장 시사한 것”
-
- 입력 2021-01-14 18:34:15
- 수정2021-01-14 19:34:30

통일부는 북한이 8차 당대회를 통해 내놓은 대남 메시지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 입장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통일부는 오늘(14일) 배포한 북한 8차 당대회 분석자료에서 북한의 대남 관련 사업총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근본문제’ 해결 등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번 당대회에서 첨단군사장비 반입과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언급하며 “근본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파국에 처한 현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한 것과 관련해, ‘적극적 대책 강구’ 등의 표현이 남북관계 재개의 중요성을 피력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새로운 길’,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과 같은 표현을 쓴 것은 “우리 측 태도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대미 메시지에 대해서는 “미국을 ‘최대 주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는 등 수위를 조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제시한 ‘강대강·선대선’ 원칙은 “향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따라 북미협상 재개 또는 도발 등 강온양면 전략 대응을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이번 당대회에서 직책이 강등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에 대해서는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제외돼 표면적으로는 위상이 하락했으나 대남·대외 등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보좌역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제공]
통일부는 오늘(14일) 배포한 북한 8차 당대회 분석자료에서 북한의 대남 관련 사업총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의 ‘근본문제’ 해결 등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 이같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번 당대회에서 첨단군사장비 반입과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언급하며 “근본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북한이 ‘파국에 처한 현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한 것과 관련해, ‘적극적 대책 강구’ 등의 표현이 남북관계 재개의 중요성을 피력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새로운 길’,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과 같은 표현을 쓴 것은 “우리 측 태도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대미 메시지에 대해서는 “미국을 ‘최대 주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는 등 수위를 조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제시한 ‘강대강·선대선’ 원칙은 “향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따라 북미협상 재개 또는 도발 등 강온양면 전략 대응을 예고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이번 당대회에서 직책이 강등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에 대해서는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제외돼 표면적으로는 위상이 하락했으나 대남·대외 등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보좌역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TV 화면 제공]
-
-
이효용 기자 utility@kbs.co.kr
이효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