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센터’ 선정기준 첫 공개…어디에서 어떻게 맞나?

입력 2021.01.21 (14:16) 수정 2021.01.21 (14: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5만 명분이 다음 달 설 연휴 전에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큽니다.

백신 국내 도입 일정이 애초보다 더 빨라지는 건데,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영하 20도~영하 70도의 초저온에서 유통과 보관을 해야 합니다.

상온 보관이 가능해 일반 병원에서 접종할 수 있는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과 다르게 별도의 '접종센터'가 필요합니다.

이 접종센터가 어디에 설치되어야 하는지를 담은 선정기준과 함께 센터의 적정 인력, 센터 내 배치도 등이 오늘(21일) 처음 공개됐습니다. 자세히 전합니다.

■ ① 설치 장소 : 실내체육관·공연문화시설 등 대규모 공공시설 우선 활용

행정안전부가 오늘 오전 온라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공개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 설치기준(안)'에는 설치 장소에 관한 기준이 나와 있습니다.


▲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소유·관리하는 실내 공공시설(체육관, 문화센터 등) 우선. 다만, 관할 시군구 내 공공시설이 없는 경우 국·공립병원(보건소) 제한적으로 허용
▲ 자연환기가 가능한 지상 시설(지하 시설 금지)
▲ 대규모 접종, 생활속 거리두기를 위한 충분한 면적이 확보된 장소
▲ 접종대기자와 접종자의 동선을 구분할 수 있는 입·출구가 분리된 장소
▲ 접종대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통 편의성이 높은 장소 (접종기간 동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 셔틀버스 운영 등 가능)
▲ 자가발전시설(24시간 초저온 냉동고 운영), 전기·조명시설, 냉·난방시설, 환기시설 등 구비된 장소
▲ 장애인의 이동 편의 시설이 확보된 장소 (휠체어 이동공간, 승강기, 경사로, 장애인 화장실 등)
▲ 접종 후 이상 반응 발생을 대비해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의 접근이 쉬운 장소
▲ 대기시간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주차공간이 확보된 장소

행안부는 위의 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키는 장소 선정이 원칙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현장 상황에 따라 핵심 조건이 아니라면 일부는 충족시키지 못하더라도 선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행안부는 현재 이런 기준을 각 자치단체에 전달한 상태로, 내일(22일)까지 각 자치단체로부터 후보지를 보고 받습니다.

이후 질병관리청과 접종센터 설치 장소로 적합한지 심사한 후에 다음 주 초쯤, 최종 선정지를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접종센터 선정 목표는 전국 250곳입니다.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가 228곳인데, 시군구 당 1곳 이상을 설치해야 합니다.

만약 시군구의 총 인구수가 50만 명 이상이라면 추가로 1곳 이상을 더 마련해야 합니다. 행안부는 인구가 50만 명이 넘는 행정 지역이라면 최소 2곳을 설치해야 하고, 3곳 이상의 설치를 권장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관할 시군구 내 적절한 장소나 인력이 없는 경우(도서·벽지 등)라면 같은 시도 내의 인접 시군구와 공동설치도 가능합니다.

어제(20일) 오후 6시를 기준으로 선정된 후보지는 전국 150개로 공공시설 138곳, 의료시설 12곳(병원 8곳, 보건소 4곳) 입니다.

공공시설 중에는 실내체육관이 93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공연·문화시설 30곳, 실외 유휴지·운동장·공원 10곳, 관공서 등 5곳의 순서입니다.


■ ② 접종 관련 인력 : 하루 6백 명 접종 기준, 22명 필요

설치 장소에 이어 중요한 건 접종 관련 인력입니다. 접종 인력 비율은 의사 1명당 간호사 2명, 행정요원 2.5명입니다.

예진 의사 1명이 하루 기준 8시간 동안 150회 접종을 한다고 보고, 접종 후 이상 반응 모니터링에 30분 내외를 쓴다는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접종 관련 인력은 해당 센터의 규모 및 목표 인원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하루 6백 명 접종을 목표로 한 필요인력은 의사 4명, 간호사 8명, 행정요원 10명 등 모두 22명입니다. 이게 최소 인원입니다. 접종 목표 인원이 늘어날수록 관련 인력도 비율에 따라 늘어나야 합니다.

이는 mRNA 백신의 접종 난이도(전처리, 다인 접종), 이상 반응 발생 시 신속 대응 중요성, 행정업무 과다(시스템 입력 등) 등을 고려한 것입니다.

행안부는 접종센터에서 하루 적게는 1천 명, 많게는 하루 3천 명까지 접종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인력 기준에 따라 만약 3천 명을 접종하려면 한 센터에서만 관련 인력이 110명 필요합니다. 단순 계산을 해보면 250개(센터) X 110명(하루 3천 명 접종 기준 때의 필요 인력) = 2만 7천여 명입니다.

다만 백신 공급 물량 및 시기, 관할 시군구 내 인구수 등을 고려하여 인력 규모는 탄력적으로 결정됩니다.


■ ③ 접종센터 동선 : 신원확인→문진→예진→접종→이상 반응 모니터링 순서로 진행


접종 센터는 크게 대기, 접종, 접종 후 구역으로 구분됩니다. 센터 입구에 자리 잡을 대기 구역에서는 신원확인 후에 문진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이후 접종구역에서는 의사의 예진 후 간호사가 접종합니다.

이후 접종 후 구역에는 의자가 배치돼 약 30분 내외로 접종자를 관찰하면서 이상 반응 여부를 확인합니다. 만약을 대비해 구급차가 접종센터 출구 근처에 대기합니다.

모더나 2천만 명분은 5월부터, 화이자 1천만 명분은 7~9월에 도입될 예정인데, 코백스를 통한 화이자 물량 5만 명분이 설 전에 들어올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련 준비도 빨라졌다는 게 행안부의 설명입니다.

행안부 박종현 안전소통담당관은 "설 전에 첫 백신이 들어올 가능성 커져 모든 일정을 당겨서 준비 중"이라면서 "첫 백신이 들어오면 정부에서 정한 접종 계획에 따라서 지체 없이 우선순위에 따라 접종이 시작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신접종센터’ 선정기준 첫 공개…어디에서 어떻게 맞나?
    • 입력 2021-01-21 14:16:56
    • 수정2021-01-21 14:18:34
    취재K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5만 명분이 다음 달 설 연휴 전에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큽니다.

백신 국내 도입 일정이 애초보다 더 빨라지는 건데,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영하 20도~영하 70도의 초저온에서 유통과 보관을 해야 합니다.

상온 보관이 가능해 일반 병원에서 접종할 수 있는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과 다르게 별도의 '접종센터'가 필요합니다.

이 접종센터가 어디에 설치되어야 하는지를 담은 선정기준과 함께 센터의 적정 인력, 센터 내 배치도 등이 오늘(21일) 처음 공개됐습니다. 자세히 전합니다.

■ ① 설치 장소 : 실내체육관·공연문화시설 등 대규모 공공시설 우선 활용

행정안전부가 오늘 오전 온라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공개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 설치기준(안)'에는 설치 장소에 관한 기준이 나와 있습니다.


▲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소유·관리하는 실내 공공시설(체육관, 문화센터 등) 우선. 다만, 관할 시군구 내 공공시설이 없는 경우 국·공립병원(보건소) 제한적으로 허용
▲ 자연환기가 가능한 지상 시설(지하 시설 금지)
▲ 대규모 접종, 생활속 거리두기를 위한 충분한 면적이 확보된 장소
▲ 접종대기자와 접종자의 동선을 구분할 수 있는 입·출구가 분리된 장소
▲ 접종대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통 편의성이 높은 장소 (접종기간 동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 셔틀버스 운영 등 가능)
▲ 자가발전시설(24시간 초저온 냉동고 운영), 전기·조명시설, 냉·난방시설, 환기시설 등 구비된 장소
▲ 장애인의 이동 편의 시설이 확보된 장소 (휠체어 이동공간, 승강기, 경사로, 장애인 화장실 등)
▲ 접종 후 이상 반응 발생을 대비해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의 접근이 쉬운 장소
▲ 대기시간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주차공간이 확보된 장소

행안부는 위의 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키는 장소 선정이 원칙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현장 상황에 따라 핵심 조건이 아니라면 일부는 충족시키지 못하더라도 선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행안부는 현재 이런 기준을 각 자치단체에 전달한 상태로, 내일(22일)까지 각 자치단체로부터 후보지를 보고 받습니다.

이후 질병관리청과 접종센터 설치 장소로 적합한지 심사한 후에 다음 주 초쯤, 최종 선정지를 발표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접종센터 선정 목표는 전국 250곳입니다.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가 228곳인데, 시군구 당 1곳 이상을 설치해야 합니다.

만약 시군구의 총 인구수가 50만 명 이상이라면 추가로 1곳 이상을 더 마련해야 합니다. 행안부는 인구가 50만 명이 넘는 행정 지역이라면 최소 2곳을 설치해야 하고, 3곳 이상의 설치를 권장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관할 시군구 내 적절한 장소나 인력이 없는 경우(도서·벽지 등)라면 같은 시도 내의 인접 시군구와 공동설치도 가능합니다.

어제(20일) 오후 6시를 기준으로 선정된 후보지는 전국 150개로 공공시설 138곳, 의료시설 12곳(병원 8곳, 보건소 4곳) 입니다.

공공시설 중에는 실내체육관이 93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공연·문화시설 30곳, 실외 유휴지·운동장·공원 10곳, 관공서 등 5곳의 순서입니다.


■ ② 접종 관련 인력 : 하루 6백 명 접종 기준, 22명 필요

설치 장소에 이어 중요한 건 접종 관련 인력입니다. 접종 인력 비율은 의사 1명당 간호사 2명, 행정요원 2.5명입니다.

예진 의사 1명이 하루 기준 8시간 동안 150회 접종을 한다고 보고, 접종 후 이상 반응 모니터링에 30분 내외를 쓴다는 가정에 따른 것입니다.


접종 관련 인력은 해당 센터의 규모 및 목표 인원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하루 6백 명 접종을 목표로 한 필요인력은 의사 4명, 간호사 8명, 행정요원 10명 등 모두 22명입니다. 이게 최소 인원입니다. 접종 목표 인원이 늘어날수록 관련 인력도 비율에 따라 늘어나야 합니다.

이는 mRNA 백신의 접종 난이도(전처리, 다인 접종), 이상 반응 발생 시 신속 대응 중요성, 행정업무 과다(시스템 입력 등) 등을 고려한 것입니다.

행안부는 접종센터에서 하루 적게는 1천 명, 많게는 하루 3천 명까지 접종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인력 기준에 따라 만약 3천 명을 접종하려면 한 센터에서만 관련 인력이 110명 필요합니다. 단순 계산을 해보면 250개(센터) X 110명(하루 3천 명 접종 기준 때의 필요 인력) = 2만 7천여 명입니다.

다만 백신 공급 물량 및 시기, 관할 시군구 내 인구수 등을 고려하여 인력 규모는 탄력적으로 결정됩니다.


■ ③ 접종센터 동선 : 신원확인→문진→예진→접종→이상 반응 모니터링 순서로 진행


접종 센터는 크게 대기, 접종, 접종 후 구역으로 구분됩니다. 센터 입구에 자리 잡을 대기 구역에서는 신원확인 후에 문진표를 작성하게 됩니다.

이후 접종구역에서는 의사의 예진 후 간호사가 접종합니다.

이후 접종 후 구역에는 의자가 배치돼 약 30분 내외로 접종자를 관찰하면서 이상 반응 여부를 확인합니다. 만약을 대비해 구급차가 접종센터 출구 근처에 대기합니다.

모더나 2천만 명분은 5월부터, 화이자 1천만 명분은 7~9월에 도입될 예정인데, 코백스를 통한 화이자 물량 5만 명분이 설 전에 들어올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련 준비도 빨라졌다는 게 행안부의 설명입니다.

행안부 박종현 안전소통담당관은 "설 전에 첫 백신이 들어올 가능성 커져 모든 일정을 당겨서 준비 중"이라면서 "첫 백신이 들어오면 정부에서 정한 접종 계획에 따라서 지체 없이 우선순위에 따라 접종이 시작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