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만 거리두기 2단계 ‘완화’…우려 속 ‘속사정’은?

입력 2021.01.25 (15:41) 수정 2021.01.25 (16: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40일 넘게 자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시행해 온 부산시가 오늘(25일)부터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로 한 단계 내리기로 결정했습니다. 부산시 기획조정실장이 주말에 직접 브리핑까지 주관해 단계 완화를 발표했는데요. 때마침 그날, 부산의 한 요양병원에서 새로운 집단감염이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이튿날인 오늘, 해당 요양병원에서의 집단감염은 확산하는 양상인데요. 거리두기 단계 완화와 동시에 발생한 집단감염에 부산시 표정 관리가 어렵게 됐습니다.


■ 거리두기 ‘격상’ 때도 그러더니…‘완화’도 부산만?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15일 0시를 기준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들어갔습니다.

수도권에서만 적용되어오던 2.5단계를 비수도권에서는 처음으로 시행한 겁니다. 많게는 하루에 80명, 평균적으로 하루 30명 안팎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던 시기였지요.

하지만 반드시 2.5단계를 해야 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단계 격상 당시, 왜 부산만 유난스럽게 2.5단계를 적용하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40여 일이 흘렀습니다. 거리두기 단계 조정 여부만 놓고 보면,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이 ‘완화 결정’을 내린 셈이어서 이목을 끌었는데요.

명목은 물론 ‘감염확산의 둔화’입니다.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일일 평균 확진자 수가 19명으로 그 전 일주일과 비교해 2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는 설명입니다. 감염확산의 정도를 의미하는 ‘감염재생산 지수’가 1.08에서 0.48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부산시는 “전체적인 확진자 수가 점차 감소추세에 있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감염상황이 관리되고 있다”며 단계 완화를 결정했습니다.


■ 부산만 ‘2.5단계’…부담 느꼈나?

하지만 최근 계속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생계 대책 마련 요구 기자회견’과 같은 반발 움직임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2.5단계를 시행하는 부산시에 부담을 줬을 거란 시각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주 매일 같이 부산시청 광장에서는 ‘영업 제한으로 피해가 막대하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집회가 이어졌는데요.

이에 대해 부산시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박탈감이 실제로 매우 컸다. 형평성 차원에서 문제 제기를 하신 것이고, 일리 있는 목소리다. 다만 그들의 요구 때문에 단계 조정을 했다기보다는 비수도권 거리두기 단계와 맞춰 가자는 내부 의견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 단계 ‘완화’ 하자마자 또 ‘요양병원’ 집단감염…시기상조 우려도

전국에서 처음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한 부산시의 조치가 전국권으로 확대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부산만 해도 거리두기 완화 발표 당일, 금정구 부곡요양병원에서 한꺼번에 확진자 10여 명이 발생했고, 이튿날 16명이 또 추가됐습니다. 새로운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겁니다.

전국적으로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되는 건 사실이지만, 설 명절을 앞두고 이동량 증가에 따른 확진자 발생을 우려하는 방역당국 역시 거리두기 단계 완화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거리두기 장기화로 벼랑 끝에 선 사람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고, 동시에 방역 관리의 최전선을 지켜야 하는 당국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을 겁니다.

부산시로서는 거리두기를 2단계로 완화한 이번 주, 코로나19 일일 평균 확진자가 줄어들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습니다.

2.5단계 강화도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적용하고, 마찬가지로 2단계 완화 조치 카드 역시 처음 꺼내든 부산시의 방역 행정이 ‘선제적’인 것이었는지 ‘튀는’ 것이었는지는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겠습니다.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만 거리두기 2단계 ‘완화’…우려 속 ‘속사정’은?
    • 입력 2021-01-25 15:41:10
    • 수정2021-01-25 16:31:43
    취재K
40일 넘게 자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시행해 온 부산시가 오늘(25일)부터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로 한 단계 내리기로 결정했습니다. 부산시 기획조정실장이 주말에 직접 브리핑까지 주관해 단계 완화를 발표했는데요. 때마침 그날, 부산의 한 요양병원에서 새로운 집단감염이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이튿날인 오늘, 해당 요양병원에서의 집단감염은 확산하는 양상인데요. 거리두기 단계 완화와 동시에 발생한 집단감염에 부산시 표정 관리가 어렵게 됐습니다.

■ 거리두기 ‘격상’ 때도 그러더니…‘완화’도 부산만?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15일 0시를 기준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들어갔습니다.

수도권에서만 적용되어오던 2.5단계를 비수도권에서는 처음으로 시행한 겁니다. 많게는 하루에 80명, 평균적으로 하루 30명 안팎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던 시기였지요.

하지만 반드시 2.5단계를 해야 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단계 격상 당시, 왜 부산만 유난스럽게 2.5단계를 적용하냐는 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로부터 40여 일이 흘렀습니다. 거리두기 단계 조정 여부만 놓고 보면,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이 ‘완화 결정’을 내린 셈이어서 이목을 끌었는데요.

명목은 물론 ‘감염확산의 둔화’입니다.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일일 평균 확진자 수가 19명으로 그 전 일주일과 비교해 2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는 설명입니다. 감염확산의 정도를 의미하는 ‘감염재생산 지수’가 1.08에서 0.48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부산시는 “전체적인 확진자 수가 점차 감소추세에 있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감염상황이 관리되고 있다”며 단계 완화를 결정했습니다.


■ 부산만 ‘2.5단계’…부담 느꼈나?

하지만 최근 계속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생계 대책 마련 요구 기자회견’과 같은 반발 움직임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2.5단계를 시행하는 부산시에 부담을 줬을 거란 시각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주 매일 같이 부산시청 광장에서는 ‘영업 제한으로 피해가 막대하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집회가 이어졌는데요.

이에 대해 부산시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박탈감이 실제로 매우 컸다. 형평성 차원에서 문제 제기를 하신 것이고, 일리 있는 목소리다. 다만 그들의 요구 때문에 단계 조정을 했다기보다는 비수도권 거리두기 단계와 맞춰 가자는 내부 의견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 단계 ‘완화’ 하자마자 또 ‘요양병원’ 집단감염…시기상조 우려도

전국에서 처음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한 부산시의 조치가 전국권으로 확대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부산만 해도 거리두기 완화 발표 당일, 금정구 부곡요양병원에서 한꺼번에 확진자 10여 명이 발생했고, 이튿날 16명이 또 추가됐습니다. 새로운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겁니다.

전국적으로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되는 건 사실이지만, 설 명절을 앞두고 이동량 증가에 따른 확진자 발생을 우려하는 방역당국 역시 거리두기 단계 완화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거리두기 장기화로 벼랑 끝에 선 사람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고, 동시에 방역 관리의 최전선을 지켜야 하는 당국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을 겁니다.

부산시로서는 거리두기를 2단계로 완화한 이번 주, 코로나19 일일 평균 확진자가 줄어들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습니다.

2.5단계 강화도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적용하고, 마찬가지로 2단계 완화 조치 카드 역시 처음 꺼내든 부산시의 방역 행정이 ‘선제적’인 것이었는지 ‘튀는’ 것이었는지는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겠습니다.

▶ '코로나19 3차 대유행 특집' 바로가기
http://news.kbs.co.kr/special/coronaSpecialMain.html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