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주업이 바뀌었다”…코로나19로 ‘투잡’ 뛰는 사장님들의 사연

입력 2021.01.29 (06:00) 수정 2021.01.29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으로 나온 지 1년이 지났습니다.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여러 차례 바뀌는가 하면,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강도 높은 방역 수칙들도 생겨나기도 했죠. 이에 따라 우리의 일상도 많이 변했습니다.

자영업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동안 카페 업주들은 배달과 포장만 해야했고,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은 업장을 운영하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손님이 줄어드니 매출은 적어지고, 임대료나 관리비 등 고정적으로 지출은 계속 나가다보니 경제적 부담이 생기는 건 당연할텐데요. 그래서인지 본업과는 다른 부업을 하는, 즉 '투잡'을 하는 자영업자들도 많아졌습니다.

■ 부업 나선 사장님 11만 명…부업 경험자는 60대가 가장 많아

그렇다면 실제로 부업을 하는 자영업자의 수는 얼마나 될까요.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고용동향' 에 의하면, 지난달 취업자 중 주된 일 외에 다른 부업을 한 적 있는 사람은 40만 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중 자영업자는 10만 9천명이었는데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9만 7천명으로 대부분이었고, 고용원이 있는데도 부업을 한 자영업자는 1만 2천명에 달했습니다.

연령별로도 한번 살펴볼까요. 60세 이상 부업 경험자가 12만 4천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대가 11만 2천명, 40대가 7만8천명, 30대가 6만8천 명, 20대가 2만2천 명 순이었습니다. 단정지을 순 없지만,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들이 부업에 많이 나선 것으로 추정됩니다.

■ 매출 1/10로 줄어…배달·공장에서 일하다 부상 입기도

이른바 '투잡'을 하는 사장님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이광표 씨는 경기도 부천시에서 올해로 4년째 키즈카페를 하고 있는데요. 이 씨는 "그동안은 솔직히 경기가 어렵다고 다들 말은 해도 우리는 크게 영향을 안 받았다"며 "그런데 코로나19는 달랐다. 주 고객이 아이들이다 보니 너무 (상황이) 심각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키즈카페 영업을 하지 못해 매출 총액이 0원인 모습 지난달 키즈카페 영업을 하지 못해 매출 총액이 0원인 모습

그러면 실제로 매출은 얼마나 떨어졌을까요.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 이 씨의 가게는 매출이 한 달에 천 만 원인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 매출은 그 1/10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문을 열었지만 손님이 단 한 명도 오지 않는 날도 잦아졌죠. 설상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면서 이 씨의 가게는 11월 말부터 영업을 하지 못했습니다. 지난달과 이번 달 매출은 말 그대로 '0원'입니다.

그런 이 씨에게 매달 꾸준히 나가는 돈은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임대료와 관리비 등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만 4, 5백만 원 정도. 매출은 줄어드는데, 지출은 그대로였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코로나19 특별 대출도 두 차례에 걸쳐 5천만 원 정도 받았고, 긴급재난지원금도 신청해서 지원받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경제적으로 힘든 건 똑같았고, 결국 이 씨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

시작은 택배 물류센터. 하지만 그곳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는 등 상황의 여의치 않아 지인이 하는 도금공장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그 일도 오래하지 못했습니다. 공장에서 기계 뚜껑이 발등으로 떨어져 발가락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씨는 지금 치료에만 전념 중입니다.

■ "이젠 주업이 바뀐 것 같아요"

 매트리스 공장해서 일하고 있는 기성태 씨 매트리스 공장해서 일하고 있는 기성태 씨

기성태 씨의 사정도 안 좋은 건 마찬가지입니다. 올해로 18년째 식당이나 유흥주점 등에 휴지, 방향제 등 소모품을 납품하는 일을 하는 기 씨. 강화된 방역 수칙으로 식당이나 유흥주점들이 제대로 영업을 할 수 없게 되자, 그 영향은 기 씨에게도 크게 미쳤습니다.

매출은 1/3로 줄었고, 가게에 물건을 납품해도 대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기 씨의 거래처에서 '다음에 주겠다'며 대금 지급을 미루거나, 갑자기 가게를 폐업한 뒤 사라지는 일도 있었습니다. 기 씨는 "거기(거래처)도 월세를 못 내고 있고 그러니까 그렇다고 제가 가서 나쁜 짓을 할 수도 없다"며 "거래처들도 어려운 걸 뻔히 아는데 어떻게 그러겠냐"라고 말했습니다.

거의 매일 거래처에 물건을 납품하러 다니던 기 씨는 이제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자신의 가게에 나가고 있습니다. 나머지 시간에는 일용직 등 부업을 시작했습니다. 주변 아는 사람을 통해 일을 구하거나, 인력사무소에 연락처를 등록해 하루하루 돈을 벌고 있습니다. 기 씨는 "거의 지금 주객이 전도됐다"며 " 주업이 바뀌어서 다른 일을 하고 있어요"라고 토로했습니다.

정부의 경제적인 지원도 기 씨에게는 먼 이야기입니다. 기 씨가 하는 일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업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 씨의 업종은 2차 피해, 즉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식당이나 유흥주점 등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온 경우라 소상공인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어제(28일) 중소상인단체 20곳이 손실보상 등을 정부에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청와대 앞에서 열었습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이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담은 편지를 청와대에 전달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주말,정부는 다음 달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에 나설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제 주업이 바뀌었다”…코로나19로 ‘투잡’ 뛰는 사장님들의 사연
    • 입력 2021-01-29 06:00:14
    • 수정2021-01-29 22:32:33
    취재K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으로 나온 지 1년이 지났습니다.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여러 차례 바뀌는가 하면,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강도 높은 방역 수칙들도 생겨나기도 했죠. 이에 따라 우리의 일상도 많이 변했습니다.

자영업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동안 카페 업주들은 배달과 포장만 해야했고,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은 업장을 운영하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손님이 줄어드니 매출은 적어지고, 임대료나 관리비 등 고정적으로 지출은 계속 나가다보니 경제적 부담이 생기는 건 당연할텐데요. 그래서인지 본업과는 다른 부업을 하는, 즉 '투잡'을 하는 자영업자들도 많아졌습니다.

■ 부업 나선 사장님 11만 명…부업 경험자는 60대가 가장 많아

그렇다면 실제로 부업을 하는 자영업자의 수는 얼마나 될까요.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고용동향' 에 의하면, 지난달 취업자 중 주된 일 외에 다른 부업을 한 적 있는 사람은 40만 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중 자영업자는 10만 9천명이었는데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9만 7천명으로 대부분이었고, 고용원이 있는데도 부업을 한 자영업자는 1만 2천명에 달했습니다.

연령별로도 한번 살펴볼까요. 60세 이상 부업 경험자가 12만 4천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대가 11만 2천명, 40대가 7만8천명, 30대가 6만8천 명, 20대가 2만2천 명 순이었습니다. 단정지을 순 없지만,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들이 부업에 많이 나선 것으로 추정됩니다.

■ 매출 1/10로 줄어…배달·공장에서 일하다 부상 입기도

이른바 '투잡'을 하는 사장님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이광표 씨는 경기도 부천시에서 올해로 4년째 키즈카페를 하고 있는데요. 이 씨는 "그동안은 솔직히 경기가 어렵다고 다들 말은 해도 우리는 크게 영향을 안 받았다"며 "그런데 코로나19는 달랐다. 주 고객이 아이들이다 보니 너무 (상황이) 심각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키즈카페 영업을 하지 못해 매출 총액이 0원인 모습
그러면 실제로 매출은 얼마나 떨어졌을까요.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 이 씨의 가게는 매출이 한 달에 천 만 원인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시작된 이후 매출은 그 1/10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문을 열었지만 손님이 단 한 명도 오지 않는 날도 잦아졌죠. 설상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면서 이 씨의 가게는 11월 말부터 영업을 하지 못했습니다. 지난달과 이번 달 매출은 말 그대로 '0원'입니다.

그런 이 씨에게 매달 꾸준히 나가는 돈은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임대료와 관리비 등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만 4, 5백만 원 정도. 매출은 줄어드는데, 지출은 그대로였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코로나19 특별 대출도 두 차례에 걸쳐 5천만 원 정도 받았고, 긴급재난지원금도 신청해서 지원받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경제적으로 힘든 건 똑같았고, 결국 이 씨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했습니다.

시작은 택배 물류센터. 하지만 그곳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는 등 상황의 여의치 않아 지인이 하는 도금공장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그 일도 오래하지 못했습니다. 공장에서 기계 뚜껑이 발등으로 떨어져 발가락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씨는 지금 치료에만 전념 중입니다.

■ "이젠 주업이 바뀐 것 같아요"

 매트리스 공장해서 일하고 있는 기성태 씨
기성태 씨의 사정도 안 좋은 건 마찬가지입니다. 올해로 18년째 식당이나 유흥주점 등에 휴지, 방향제 등 소모품을 납품하는 일을 하는 기 씨. 강화된 방역 수칙으로 식당이나 유흥주점들이 제대로 영업을 할 수 없게 되자, 그 영향은 기 씨에게도 크게 미쳤습니다.

매출은 1/3로 줄었고, 가게에 물건을 납품해도 대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기 씨의 거래처에서 '다음에 주겠다'며 대금 지급을 미루거나, 갑자기 가게를 폐업한 뒤 사라지는 일도 있었습니다. 기 씨는 "거기(거래처)도 월세를 못 내고 있고 그러니까 그렇다고 제가 가서 나쁜 짓을 할 수도 없다"며 "거래처들도 어려운 걸 뻔히 아는데 어떻게 그러겠냐"라고 말했습니다.

거의 매일 거래처에 물건을 납품하러 다니던 기 씨는 이제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자신의 가게에 나가고 있습니다. 나머지 시간에는 일용직 등 부업을 시작했습니다. 주변 아는 사람을 통해 일을 구하거나, 인력사무소에 연락처를 등록해 하루하루 돈을 벌고 있습니다. 기 씨는 "거의 지금 주객이 전도됐다"며 " 주업이 바뀌어서 다른 일을 하고 있어요"라고 토로했습니다.

정부의 경제적인 지원도 기 씨에게는 먼 이야기입니다. 기 씨가 하는 일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업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기 씨의 업종은 2차 피해, 즉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식당이나 유흥주점 등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온 경우라 소상공인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어제(28일) 중소상인단체 20곳이 손실보상 등을 정부에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청와대 앞에서 열었습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이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담은 편지를 청와대에 전달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주말,정부는 다음 달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