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2호선, 내년 3월부터 일부 구간 ‘무인열차’로 운행
입력 2021.02.03 (10:26)
수정 2021.02.03 (1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내년 3월부터 일부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합니다.
인천교통공사는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인천 2호선 아시아드경기장역에서 남동구청역까지 17개 역 지하구간에 대한 무인열차운행 시스템 보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전동차 출입문 무단개방 감시장치와 출입문 정상작동 감시카메라, 선로 출입문 안전장치 등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무인열차운행 구간 역마다 기관사 면허 소지자를 항상 배치해 비상출동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
지난 2016년 7월 개통한 인천 2호선은 애초 27개 역 전체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설계됐지만, 전동차 멈춤 사고 등이 자주 발생하자 현재까지 안전요원을 탑승시키고 있습니다.
인천교통공사가 지난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현재 운영체계로는 열차 멈춤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1.79명에 달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안전시스템 보완과 지하구간 안전대책을 시행하면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0.0033명으로 낮아지고 위험도가 5등급에서 3등급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9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인천 2호선에서 발생한 전체 열차 멈춤 사고 50건 가운데 이번에 무인열차운행을 준비하는 아시아드경기장역∼남동구청역 구간에서는 2019년 3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인천교통공사는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인천 2호선 아시아드경기장역에서 남동구청역까지 17개 역 지하구간에 대한 무인열차운행 시스템 보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전동차 출입문 무단개방 감시장치와 출입문 정상작동 감시카메라, 선로 출입문 안전장치 등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무인열차운행 구간 역마다 기관사 면허 소지자를 항상 배치해 비상출동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
지난 2016년 7월 개통한 인천 2호선은 애초 27개 역 전체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설계됐지만, 전동차 멈춤 사고 등이 자주 발생하자 현재까지 안전요원을 탑승시키고 있습니다.
인천교통공사가 지난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현재 운영체계로는 열차 멈춤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1.79명에 달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안전시스템 보완과 지하구간 안전대책을 시행하면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0.0033명으로 낮아지고 위험도가 5등급에서 3등급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9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인천 2호선에서 발생한 전체 열차 멈춤 사고 50건 가운데 이번에 무인열차운행을 준비하는 아시아드경기장역∼남동구청역 구간에서는 2019년 3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천 2호선, 내년 3월부터 일부 구간 ‘무인열차’로 운행
-
- 입력 2021-02-03 10:26:23
- 수정2021-02-03 10:46:46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내년 3월부터 일부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합니다.
인천교통공사는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인천 2호선 아시아드경기장역에서 남동구청역까지 17개 역 지하구간에 대한 무인열차운행 시스템 보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전동차 출입문 무단개방 감시장치와 출입문 정상작동 감시카메라, 선로 출입문 안전장치 등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무인열차운행 구간 역마다 기관사 면허 소지자를 항상 배치해 비상출동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
지난 2016년 7월 개통한 인천 2호선은 애초 27개 역 전체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설계됐지만, 전동차 멈춤 사고 등이 자주 발생하자 현재까지 안전요원을 탑승시키고 있습니다.
인천교통공사가 지난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현재 운영체계로는 열차 멈춤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1.79명에 달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안전시스템 보완과 지하구간 안전대책을 시행하면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0.0033명으로 낮아지고 위험도가 5등급에서 3등급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9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인천 2호선에서 발생한 전체 열차 멈춤 사고 50건 가운데 이번에 무인열차운행을 준비하는 아시아드경기장역∼남동구청역 구간에서는 2019년 3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인천교통공사는 이를 위해, 내년 2월까지 인천 2호선 아시아드경기장역에서 남동구청역까지 17개 역 지하구간에 대한 무인열차운행 시스템 보완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전동차 출입문 무단개방 감시장치와 출입문 정상작동 감시카메라, 선로 출입문 안전장치 등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무인열차운행 구간 역마다 기관사 면허 소지자를 항상 배치해 비상출동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
지난 2016년 7월 개통한 인천 2호선은 애초 27개 역 전체 구간에서 승무원이 없는 `무인열차를 운행하는 것으로 설계됐지만, 전동차 멈춤 사고 등이 자주 발생하자 현재까지 안전요원을 탑승시키고 있습니다.
인천교통공사가 지난해 실시한 연구용역 결과, 현재 운영체계로는 열차 멈춤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1.79명에 달해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안전시스템 보완과 지하구간 안전대책을 시행하면 연간 등가 사망자 수가 0.0033명으로 낮아지고 위험도가 5등급에서 3등급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9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인천 2호선에서 발생한 전체 열차 멈춤 사고 50건 가운데 이번에 무인열차운행을 준비하는 아시아드경기장역∼남동구청역 구간에서는 2019년 3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