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소제거장치 결함’ 국회에 엉터리 해명한 한수원

입력 2021.02.15 (21:48) 수정 2021.02.15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는 최근 폭발 사고를 막기 위해 국내 원전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의 결함 가능성과 이에 대한 한수원의 은폐 의혹을 집중적으로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보도가 나간 후, 한수원 측이 진상 조사에 나선 국회에 제출한 해명 자료를 살펴봤더니, 오류와 말 바꾸기 투성이였습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전 수소제거장치의 결함 은폐 의혹 규명을 위해 국회가 나섰습니다.

[김성환/더불어민주당 의원 : "더 불안한 것은 이 (결함) 사실을, 그것을 담당하고 있는 한수원이 사실상 감추고 있었다고 하는 사실이고…"]

한수원은 국회에 제출한 보고 자료에서 촉매 불티가 날리는 현상이 고온의 촉매에 물을 뿌리는 구매규격보다 매우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2011년 장치 도입 당시 시방서와도 맞지 않습니다.

시방서에는 수소제거장치가 정상 작동해야 하는 사고 시 격납건물 환경으로 섭씨 180도 이상, 약 5기압이 명시돼 있습니다.

결함이 관찰된 독일 실험보다 훨씬 가혹한 조건입니다.

시방서엔 장치가 물이 뿌려지는 살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이상 없이 작동해야 한다는 대목도 나와있습니다.

불티가 인 뒤에도 촉매가 건전성을 유지했다고 국회에 보고한 한수원.

하지만 해당 실험 뒤 촉매에서는 균열과 손상이 발생했습니다.

[박종운/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 : "PAR(수소제거장치)가 그렇게 손상이 됐으면 건전성이 유지 안 되는 거죠. 설계된 대로 안 되면 그건 건전성이 손상된 거죠."]

또 한수원은 수소제거율이 낮게 측정된 것도 구매규격 환경과 전혀 다른 조건에서 한 실험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구매규격 내 환경에서도 제거율은 여전히 낮았습니다.

당초 KBS에 내세웠던 반박 논리를 스스로 뒤집은 부분도 보입니다.

취재진에겐 '매우 협소한 시설'에서 '축소된 장비'로 실험했다며 신뢰성 문제를 제기했지만, 국회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시설'에서 '인허가를 획득한 상용품'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특히 한수원은 한수원 간부가 당연히 비밀이라며 실험 결과 은폐를 지시한 것에 대해선 아무런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전 수소제거장치 결함’ 국회에 엉터리 해명한 한수원
    • 입력 2021-02-15 21:48:17
    • 수정2021-02-15 21:55:06
    뉴스 9
[앵커]

KBS는 최근 폭발 사고를 막기 위해 국내 원전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의 결함 가능성과 이에 대한 한수원의 은폐 의혹을 집중적으로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보도가 나간 후, 한수원 측이 진상 조사에 나선 국회에 제출한 해명 자료를 살펴봤더니, 오류와 말 바꾸기 투성이였습니다.

이재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전 수소제거장치의 결함 은폐 의혹 규명을 위해 국회가 나섰습니다.

[김성환/더불어민주당 의원 : "더 불안한 것은 이 (결함) 사실을, 그것을 담당하고 있는 한수원이 사실상 감추고 있었다고 하는 사실이고…"]

한수원은 국회에 제출한 보고 자료에서 촉매 불티가 날리는 현상이 고온의 촉매에 물을 뿌리는 구매규격보다 매우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2011년 장치 도입 당시 시방서와도 맞지 않습니다.

시방서에는 수소제거장치가 정상 작동해야 하는 사고 시 격납건물 환경으로 섭씨 180도 이상, 약 5기압이 명시돼 있습니다.

결함이 관찰된 독일 실험보다 훨씬 가혹한 조건입니다.

시방서엔 장치가 물이 뿌려지는 살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이상 없이 작동해야 한다는 대목도 나와있습니다.

불티가 인 뒤에도 촉매가 건전성을 유지했다고 국회에 보고한 한수원.

하지만 해당 실험 뒤 촉매에서는 균열과 손상이 발생했습니다.

[박종운/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 : "PAR(수소제거장치)가 그렇게 손상이 됐으면 건전성이 유지 안 되는 거죠. 설계된 대로 안 되면 그건 건전성이 손상된 거죠."]

또 한수원은 수소제거율이 낮게 측정된 것도 구매규격 환경과 전혀 다른 조건에서 한 실험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구매규격 내 환경에서도 제거율은 여전히 낮았습니다.

당초 KBS에 내세웠던 반박 논리를 스스로 뒤집은 부분도 보입니다.

취재진에겐 '매우 협소한 시설'에서 '축소된 장비'로 실험했다며 신뢰성 문제를 제기했지만, 국회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시설'에서 '인허가를 획득한 상용품'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특히 한수원은 한수원 간부가 당연히 비밀이라며 실험 결과 은폐를 지시한 것에 대해선 아무런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