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구-인천, 감염병 전문병원 다시 유치전…“총력 대응”
입력 2021.02.17 (10:26) 수정 2021.02.17 (11:02) 930뉴스(대구)
[앵커]
지난 해 대구경북은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서 양산 부산대병원에 고배를 마셨는데요,
올해 정부가 추가로 권역별 전문병원을 선정하기로 하면서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인천과 대구가 경쟁하고 있는데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비 409억 원을 투입해 36병상의 감염병 전용병동을 건립하는 감염병 전문병원 사업,
대구시는 지난해 말, 지역 정치권이 관련예산을 확보했다며 유치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이 정해진 곳은 없다고 밝혀 사정이 좀 복잡해졌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음성변조 : "어디 지역의 감염병 전문 병원이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없는 상황이고… 대구, 인천의 당위성이 우선 높구요. 다른 지역도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정되는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우선 권역을 선정한 뒤 병원을 공모하기로 하고, 최근 권역 선정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다음달이면 추가로 선정되는 감염병전문병원의 입지가 결정됩니다.
이 때문에 물밑 유치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인천은 호남과 영남, 중부권이 선정된만큼 이번에는 인천이 선정돼야 한다며 해외입국자 방역을 위해서라도 인천이 최적지라는 입장입니다.
대구시는 천 3백만 인구의 영남권에서 양산 전문 병원 하나로는 부족하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해낸 대구의 방역역량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 안된 곳이 유일하게 경북권역 하나 밖에 없다. 그래서 경북권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서야 된다."]
지난해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구시, 이번에도 막판까지 병원 유치를 장담할 수 없게 된 만큼 총력 대응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지난 해 대구경북은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서 양산 부산대병원에 고배를 마셨는데요,
올해 정부가 추가로 권역별 전문병원을 선정하기로 하면서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인천과 대구가 경쟁하고 있는데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비 409억 원을 투입해 36병상의 감염병 전용병동을 건립하는 감염병 전문병원 사업,
대구시는 지난해 말, 지역 정치권이 관련예산을 확보했다며 유치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이 정해진 곳은 없다고 밝혀 사정이 좀 복잡해졌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음성변조 : "어디 지역의 감염병 전문 병원이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없는 상황이고… 대구, 인천의 당위성이 우선 높구요. 다른 지역도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정되는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우선 권역을 선정한 뒤 병원을 공모하기로 하고, 최근 권역 선정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다음달이면 추가로 선정되는 감염병전문병원의 입지가 결정됩니다.
이 때문에 물밑 유치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인천은 호남과 영남, 중부권이 선정된만큼 이번에는 인천이 선정돼야 한다며 해외입국자 방역을 위해서라도 인천이 최적지라는 입장입니다.
대구시는 천 3백만 인구의 영남권에서 양산 전문 병원 하나로는 부족하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해낸 대구의 방역역량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 안된 곳이 유일하게 경북권역 하나 밖에 없다. 그래서 경북권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서야 된다."]
지난해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구시, 이번에도 막판까지 병원 유치를 장담할 수 없게 된 만큼 총력 대응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대구-인천, 감염병 전문병원 다시 유치전…“총력 대응”
-
- 입력 2021-02-17 10:26:33
- 수정2021-02-17 11:02:17

[앵커]
지난 해 대구경북은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서 양산 부산대병원에 고배를 마셨는데요,
올해 정부가 추가로 권역별 전문병원을 선정하기로 하면서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인천과 대구가 경쟁하고 있는데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비 409억 원을 투입해 36병상의 감염병 전용병동을 건립하는 감염병 전문병원 사업,
대구시는 지난해 말, 지역 정치권이 관련예산을 확보했다며 유치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이 정해진 곳은 없다고 밝혀 사정이 좀 복잡해졌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음성변조 : "어디 지역의 감염병 전문 병원이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없는 상황이고… 대구, 인천의 당위성이 우선 높구요. 다른 지역도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정되는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우선 권역을 선정한 뒤 병원을 공모하기로 하고, 최근 권역 선정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다음달이면 추가로 선정되는 감염병전문병원의 입지가 결정됩니다.
이 때문에 물밑 유치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인천은 호남과 영남, 중부권이 선정된만큼 이번에는 인천이 선정돼야 한다며 해외입국자 방역을 위해서라도 인천이 최적지라는 입장입니다.
대구시는 천 3백만 인구의 영남권에서 양산 전문 병원 하나로는 부족하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해낸 대구의 방역역량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 안된 곳이 유일하게 경북권역 하나 밖에 없다. 그래서 경북권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서야 된다."]
지난해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구시, 이번에도 막판까지 병원 유치를 장담할 수 없게 된 만큼 총력 대응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지난 해 대구경북은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서 양산 부산대병원에 고배를 마셨는데요,
올해 정부가 추가로 권역별 전문병원을 선정하기로 하면서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인천과 대구가 경쟁하고 있는데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비 409억 원을 투입해 36병상의 감염병 전용병동을 건립하는 감염병 전문병원 사업,
대구시는 지난해 말, 지역 정치권이 관련예산을 확보했다며 유치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이 정해진 곳은 없다고 밝혀 사정이 좀 복잡해졌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음성변조 : "어디 지역의 감염병 전문 병원이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없는 상황이고… 대구, 인천의 당위성이 우선 높구요. 다른 지역도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정되는 (상황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우선 권역을 선정한 뒤 병원을 공모하기로 하고, 최근 권역 선정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다음달이면 추가로 선정되는 감염병전문병원의 입지가 결정됩니다.
이 때문에 물밑 유치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인천은 호남과 영남, 중부권이 선정된만큼 이번에는 인천이 선정돼야 한다며 해외입국자 방역을 위해서라도 인천이 최적지라는 입장입니다.
대구시는 천 3백만 인구의 영남권에서 양산 전문 병원 하나로는 부족하다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해낸 대구의 방역역량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권역별로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 안된 곳이 유일하게 경북권역 하나 밖에 없다. 그래서 경북권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서야 된다."]
지난해 영남권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구시, 이번에도 막판까지 병원 유치를 장담할 수 없게 된 만큼 총력 대응이 시급해보입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930뉴스(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종영 기자 myshk@kbs.co.kr
이종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