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선·지선 동시에?…“지방자치 훼손 우려”
입력 2021.02.17 (19:24) 수정 2021.02.17 (20:12) 뉴스7(광주)
[앵커]
내년엔 선거가 두개 있습니다.
대선이 3월, 지방선거가 6월입니다.
6월에 있는 지방선거를 당겨 대선과 함께 치르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예산을 줄여보자는 건데, 지방자치제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안태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동시에 치르자고 제안한 건 박병석 국회의장입니다.
[박병석/국회의장/지난달 31일, KBS1 일요진단 : "내년 3월 9일 대통령 선거고, 6월 1일 지방자치 선거입니다. 불과 3개월도 지나지 않는 시점에서 전국의 선거를 두 번 치른다는 것은 국력 소모가 너무 심한 것이죠."]
지방선거를 앞당겨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투표하면 천5백억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며, 올 상반기안에 국회가 결론을 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공론화 과정과 선거법 개정 등 넘어야 할 난관이 많지만, 동시 선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지방선거가 대선에 가려 지방자치제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음성변조 : "대선하고 지선이 같이 되면 대선으로 전체 유권자들의 눈이 쏠릴 것이고, 지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들도 정책을 검증받지 못하고 홍보에 한계를 분명히 느낄 겁니다."]
분권의 가치는 뒤로한 채 비용 측면에서 바라본 중앙 정치권의 인식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방선거 비용은 직접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가 부담해야 할 당연한 비용인 것이고, 국력의 낭비라고 하는 인식 자체가 국가주의 중심적 사고가 낳은, 그런 인식적 출발에서 기인한 게 아니냐."]
국회 수장이 꺼내 든 내년 동시 선거.
논란 속에,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내년엔 선거가 두개 있습니다.
대선이 3월, 지방선거가 6월입니다.
6월에 있는 지방선거를 당겨 대선과 함께 치르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예산을 줄여보자는 건데, 지방자치제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안태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동시에 치르자고 제안한 건 박병석 국회의장입니다.
[박병석/국회의장/지난달 31일, KBS1 일요진단 : "내년 3월 9일 대통령 선거고, 6월 1일 지방자치 선거입니다. 불과 3개월도 지나지 않는 시점에서 전국의 선거를 두 번 치른다는 것은 국력 소모가 너무 심한 것이죠."]
지방선거를 앞당겨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투표하면 천5백억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며, 올 상반기안에 국회가 결론을 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공론화 과정과 선거법 개정 등 넘어야 할 난관이 많지만, 동시 선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지방선거가 대선에 가려 지방자치제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음성변조 : "대선하고 지선이 같이 되면 대선으로 전체 유권자들의 눈이 쏠릴 것이고, 지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들도 정책을 검증받지 못하고 홍보에 한계를 분명히 느낄 겁니다."]
분권의 가치는 뒤로한 채 비용 측면에서 바라본 중앙 정치권의 인식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방선거 비용은 직접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가 부담해야 할 당연한 비용인 것이고, 국력의 낭비라고 하는 인식 자체가 국가주의 중심적 사고가 낳은, 그런 인식적 출발에서 기인한 게 아니냐."]
국회 수장이 꺼내 든 내년 동시 선거.
논란 속에,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대선·지선 동시에?…“지방자치 훼손 우려”
-
- 입력 2021-02-17 19:24:41
- 수정2021-02-17 20:12:49

[앵커]
내년엔 선거가 두개 있습니다.
대선이 3월, 지방선거가 6월입니다.
6월에 있는 지방선거를 당겨 대선과 함께 치르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예산을 줄여보자는 건데, 지방자치제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안태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동시에 치르자고 제안한 건 박병석 국회의장입니다.
[박병석/국회의장/지난달 31일, KBS1 일요진단 : "내년 3월 9일 대통령 선거고, 6월 1일 지방자치 선거입니다. 불과 3개월도 지나지 않는 시점에서 전국의 선거를 두 번 치른다는 것은 국력 소모가 너무 심한 것이죠."]
지방선거를 앞당겨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투표하면 천5백억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며, 올 상반기안에 국회가 결론을 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공론화 과정과 선거법 개정 등 넘어야 할 난관이 많지만, 동시 선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지방선거가 대선에 가려 지방자치제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음성변조 : "대선하고 지선이 같이 되면 대선으로 전체 유권자들의 눈이 쏠릴 것이고, 지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들도 정책을 검증받지 못하고 홍보에 한계를 분명히 느낄 겁니다."]
분권의 가치는 뒤로한 채 비용 측면에서 바라본 중앙 정치권의 인식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방선거 비용은 직접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가 부담해야 할 당연한 비용인 것이고, 국력의 낭비라고 하는 인식 자체가 국가주의 중심적 사고가 낳은, 그런 인식적 출발에서 기인한 게 아니냐."]
국회 수장이 꺼내 든 내년 동시 선거.
논란 속에,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내년엔 선거가 두개 있습니다.
대선이 3월, 지방선거가 6월입니다.
6월에 있는 지방선거를 당겨 대선과 함께 치르자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예산을 줄여보자는 건데, 지방자치제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안태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를 동시에 치르자고 제안한 건 박병석 국회의장입니다.
[박병석/국회의장/지난달 31일, KBS1 일요진단 : "내년 3월 9일 대통령 선거고, 6월 1일 지방자치 선거입니다. 불과 3개월도 지나지 않는 시점에서 전국의 선거를 두 번 치른다는 것은 국력 소모가 너무 심한 것이죠."]
지방선거를 앞당겨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투표하면 천5백억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며, 올 상반기안에 국회가 결론을 내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공론화 과정과 선거법 개정 등 넘어야 할 난관이 많지만, 동시 선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지방선거가 대선에 가려 지방자치제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음성변조 : "대선하고 지선이 같이 되면 대선으로 전체 유권자들의 눈이 쏠릴 것이고, 지선에 출마하는 후보자들도 정책을 검증받지 못하고 홍보에 한계를 분명히 느낄 겁니다."]
분권의 가치는 뒤로한 채 비용 측면에서 바라본 중앙 정치권의 인식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이상민/익산참여연대 사무처장 : "지방선거 비용은 직접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가 부담해야 할 당연한 비용인 것이고, 국력의 낭비라고 하는 인식 자체가 국가주의 중심적 사고가 낳은, 그런 인식적 출발에서 기인한 게 아니냐."]
국회 수장이 꺼내 든 내년 동시 선거.
논란 속에, 어떻게 결론이 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뉴스7(광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안태성 기자 tsahn@kbs.co.kr
안태성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