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산불 위험기간’ 빨라졌다…인명피해 최소화 주력해야

입력 2021.02.23 (07:46) 수정 2021.02.23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상용 해설위원

최근 강원도 영동에 이어 지난 주말엔 경북 안동을 포함해 전국 5곳에서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빠른 대피로 다행히 인명피해는 막았지만,한때 민가는 물론 소중한 문화재까지 위협하는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100헥타르 이상의 대형산불은 보통 봄철에 많이 발생하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2월에, 그것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게 특징입니다. 작은 불씨도 순식간에 큰 화마로 돌변할 만큼, 대형 산불이 날 환경이 이미 조성돼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

먼저 강원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누적강수량이 예년보다 적습니다. 또 2월이지만 기온이 높아져 초봄의 날씨를 보였고 바람까지 거셌습니다. 강원 영동지역의 경우엔 양간지풍, 경북내륙에도 강풍이 불어 산불을 더 키웠습니다. 동해안 지역과 중부내륙지역은 산불 위험지역으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해보입니다. 빨라진 산불 위험은세계적인 이상기후 영향이 큽니다. 산림과학원 분석결과 기온 상승으로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산불위험지수는 뚜렷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산불위험 기간도 더 앞당겨지고 길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1, 2월 산불 발생이 예년 10년 평균 63건에서, 2018년에는 152건으로 2배 이상 늘었습니다. 봄, 가을철 산불 조심 기간 외에 발생하는 산불도 예년보다 8배 가까이 증가해 이른바 산불의 연중화 현상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산불은 그야말로 산불의 위험기간이 따로 있지 않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빈도도 잦아지는 만큼 피해 최소화 대책을 서둘러 보완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효율적인 진화 체계, 그리고 주민 대피 체계로 인명피해를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산불 대부분이 입산자의 실화나 소각행위 같은 부주의로 발생하는 만큼 산불 안전 수칙을 지키는 일은 기본 중의 기본일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산불 위험기간’ 빨라졌다…인명피해 최소화 주력해야
    • 입력 2021-02-23 07:46:21
    • 수정2021-02-23 07:50:34
    뉴스광장
박상용 해설위원

최근 강원도 영동에 이어 지난 주말엔 경북 안동을 포함해 전국 5곳에서 대형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빠른 대피로 다행히 인명피해는 막았지만,한때 민가는 물론 소중한 문화재까지 위협하는 아찔한 순간이었습니다. 100헥타르 이상의 대형산불은 보통 봄철에 많이 발생하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2월에, 그것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게 특징입니다. 작은 불씨도 순식간에 큰 화마로 돌변할 만큼, 대형 산불이 날 환경이 이미 조성돼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입니다.

먼저 강원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누적강수량이 예년보다 적습니다. 또 2월이지만 기온이 높아져 초봄의 날씨를 보였고 바람까지 거셌습니다. 강원 영동지역의 경우엔 양간지풍, 경북내륙에도 강풍이 불어 산불을 더 키웠습니다. 동해안 지역과 중부내륙지역은 산불 위험지역으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해보입니다. 빨라진 산불 위험은세계적인 이상기후 영향이 큽니다. 산림과학원 분석결과 기온 상승으로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산불위험지수는 뚜렷하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산불위험 기간도 더 앞당겨지고 길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1, 2월 산불 발생이 예년 10년 평균 63건에서, 2018년에는 152건으로 2배 이상 늘었습니다. 봄, 가을철 산불 조심 기간 외에 발생하는 산불도 예년보다 8배 가까이 증가해 이른바 산불의 연중화 현상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최근의 산불은 그야말로 산불의 위험기간이 따로 있지 않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빈도도 잦아지는 만큼 피해 최소화 대책을 서둘러 보완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효율적인 진화 체계, 그리고 주민 대피 체계로 인명피해를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산불 대부분이 입산자의 실화나 소각행위 같은 부주의로 발생하는 만큼 산불 안전 수칙을 지키는 일은 기본 중의 기본일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