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중 봄철 화재 가장 많아…담배꽁초·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 탓

입력 2021.02.23 (1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계절 중 봄철(3~5월)화재가 가장 많은 가운데 소방청이 다음 달부터 3개월간 봄철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합니다.

소방청은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화재 가운데 봄철 화재가 5만 9,653건, 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봄철 주요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58.4%), 전기적 이유(18.2%), 기계적 이유(8.9%), 방화(2.1%) 등의 순서로 많았습니다.

부주의 사유로는 담배꽁초(32.2%), 쓰레기 소각(16.8%), 음식물 조리(13.1%), 불씨·불꽃 방치(12.6%) 등의 순서였습니다.

장소별 화재 건수는 주거시설 1만 4,161건(23.7%), 야외·도로 1만 2,768건(21.4%), 산업시설 7,749건(13%) 등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인명피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최근 5년간 봄철 화재로 인한 사망자 453명 중 260명(57.4%)이 주거시설에서 발생했습니다.

이에 소방청은 봄철 계절적 특성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취약계층 화재인명피해 줄이기, 건축물 안전, 산림화재 신속 대응 등의 안전대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먼저 주거시설 화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택용 화재경보기 홍보 집중의 해’를 지정·운영하고, 쪽방촌·소규모 숙박시설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해 전기·가스 등의 안전한 사용과 화재 시 행동 요령을 교육할 예정입니다.

또한, 인명피해 발생 위험이 큰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예방을 위해 관계인 중심의 자율안전관리를 지도하고 화재안전정보조사를 시행합니다. 소방시설 차단,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신고포상제와 집중 단속기간을 운영합니다.

아울러 석가탄신일에 대비해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해 전통사찰과 목조문화재 사전 안전점검과 소방력 근접배치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산림은 산불위험등급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의용소방대를 활용해 쓰레기 소각, 논·밭두렁 태우기 등 화재 유발행위에 대한 예방 및 감시활동 강화합니다.

또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보관시설은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화재안전컨설팅(월 1회 이상)을 실시하고 취약시간대에 안전순찰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계절 중 봄철 화재 가장 많아…담배꽁초·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 탓
    • 입력 2021-02-23 12:00:36
    사회
사계절 중 봄철(3~5월)화재가 가장 많은 가운데 소방청이 다음 달부터 3개월간 봄철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합니다.

소방청은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화재 가운데 봄철 화재가 5만 9,653건, 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봄철 주요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58.4%), 전기적 이유(18.2%), 기계적 이유(8.9%), 방화(2.1%) 등의 순서로 많았습니다.

부주의 사유로는 담배꽁초(32.2%), 쓰레기 소각(16.8%), 음식물 조리(13.1%), 불씨·불꽃 방치(12.6%) 등의 순서였습니다.

장소별 화재 건수는 주거시설 1만 4,161건(23.7%), 야외·도로 1만 2,768건(21.4%), 산업시설 7,749건(13%) 등의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인명피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최근 5년간 봄철 화재로 인한 사망자 453명 중 260명(57.4%)이 주거시설에서 발생했습니다.

이에 소방청은 봄철 계절적 특성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취약계층 화재인명피해 줄이기, 건축물 안전, 산림화재 신속 대응 등의 안전대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먼저 주거시설 화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택용 화재경보기 홍보 집중의 해’를 지정·운영하고, 쪽방촌·소규모 숙박시설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해 전기·가스 등의 안전한 사용과 화재 시 행동 요령을 교육할 예정입니다.

또한, 인명피해 발생 위험이 큰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예방을 위해 관계인 중심의 자율안전관리를 지도하고 화재안전정보조사를 시행합니다. 소방시설 차단,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신고포상제와 집중 단속기간을 운영합니다.

아울러 석가탄신일에 대비해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해 전통사찰과 목조문화재 사전 안전점검과 소방력 근접배치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산림은 산불위험등급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의용소방대를 활용해 쓰레기 소각, 논·밭두렁 태우기 등 화재 유발행위에 대한 예방 및 감시활동 강화합니다.

또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보관시설은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화재안전컨설팅(월 1회 이상)을 실시하고 취약시간대에 안전순찰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