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해 “고령층에는 화이자 백신을 먼저 접종하는 것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23일) 채널A에 출연해 이같이 말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5세 이상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조금 덜 돼 확인 후 접종하는 것으로 돼 있고, 그 사이 3월말~4월 초에 화이자 백신이 들어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총리는 직접 ‘1호 접종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만약 국민들이 접종을 주저한다면 책임있는 사람이 먼저 나설 필요가 있지만, 현재 봐서는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며 “오히려 저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정 총리는 정부가 화이자 백신 계약 물량 중 50만 명분을 이달 말 우선 공급받게 된 것과 관련해 국내 기업이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에 성공한 것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정 총리는 “화이자는 주사기가 필요하고, 우리는 (도입) 일정을 앞당겼으면 했다”며 “양측의 관계가 맞아떨어져 ‘윈윈’한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 총리는 오늘(23일) 채널A에 출연해 이같이 말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5세 이상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조금 덜 돼 확인 후 접종하는 것으로 돼 있고, 그 사이 3월말~4월 초에 화이자 백신이 들어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총리는 직접 ‘1호 접종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만약 국민들이 접종을 주저한다면 책임있는 사람이 먼저 나설 필요가 있지만, 현재 봐서는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며 “오히려 저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정 총리는 정부가 화이자 백신 계약 물량 중 50만 명분을 이달 말 우선 공급받게 된 것과 관련해 국내 기업이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에 성공한 것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정 총리는 “화이자는 주사기가 필요하고, 우리는 (도입) 일정을 앞당겼으면 했다”며 “양측의 관계가 맞아떨어져 ‘윈윈’한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 총리 “고령층엔 화이자 먼저 접종할 가능성 높아”
-
- 입력 2021-02-23 14:15:37
- 수정2021-02-23 14:17:16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해 “고령층에는 화이자 백신을 먼저 접종하는 것으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정 총리는 오늘(23일) 채널A에 출연해 이같이 말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5세 이상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조금 덜 돼 확인 후 접종하는 것으로 돼 있고, 그 사이 3월말~4월 초에 화이자 백신이 들어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총리는 직접 ‘1호 접종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만약 국민들이 접종을 주저한다면 책임있는 사람이 먼저 나설 필요가 있지만, 현재 봐서는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며 “오히려 저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정 총리는 정부가 화이자 백신 계약 물량 중 50만 명분을 이달 말 우선 공급받게 된 것과 관련해 국내 기업이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에 성공한 것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정 총리는 “화이자는 주사기가 필요하고, 우리는 (도입) 일정을 앞당겼으면 했다”며 “양측의 관계가 맞아떨어져 ‘윈윈’한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 총리는 오늘(23일) 채널A에 출연해 이같이 말하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65세 이상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 조금 덜 돼 확인 후 접종하는 것으로 돼 있고, 그 사이 3월말~4월 초에 화이자 백신이 들어온다”고 설명했습니다.
정 총리는 직접 ‘1호 접종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만약 국민들이 접종을 주저한다면 책임있는 사람이 먼저 나설 필요가 있지만, 현재 봐서는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며 “오히려 저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정 총리는 정부가 화이자 백신 계약 물량 중 50만 명분을 이달 말 우선 공급받게 된 것과 관련해 국내 기업이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에 성공한 것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정 총리는 “화이자는 주사기가 필요하고, 우리는 (도입) 일정을 앞당겼으면 했다”며 “양측의 관계가 맞아떨어져 ‘윈윈’한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자 정보
-
-
우수경 기자 swoo@kbs.co.kr
우수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