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만 붙이면 기후 교육의 미래?…텅빈 교육 콘텐츠

입력 2021.03.06 (07:31) 수정 2021.03.06 (07: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교육부는 18조 5천억을 들여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사업이 미래 학교를 위한 '교육의 대전환'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론 낡은 학교를 고치는 시설 공사일 뿐이어서, 정작 알맹이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예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학교는 2010년 4억 3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했습니다.

일 년에 35만 원어치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연간 학교가 내는 전기요금의 0.5% 수준입니다.

그나마 한쪽은 여름철 태풍에 부서져 철거했습니다.

[홍제남/오류중학교 교장 : "교육적인 목적이 사실은 큰 목적이고, 아이들한테...그런데 시설한 것에 비해서 경제적인 효과를 따진다면 너무 미미하다."]

비교적 최근인 2019년에 개축한 이 학교는 한 달 120만 원어치의 전기 생산으로 일명 '에너지 자립학교'라며, 언론 보도에도 자주 등장했습니다.

교육부가 추진 중인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의 목표는 낡은 학교를 이렇게 친환경 시설로 바꿔, 탄소 중립 정책에 기여하겠다는 겁니다.

앞으로 5년간 18조 5천억 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입니다.

[김근회/공항고등학교 교감 : "만든 취지나 방향에 대해서 학생들이 인지하고 본인들이 살아가는데 그런 걸 삶 속에 녹여서 가는 부분은 숙제고, 과제이고…."]

그런데 이런 시설 공사 외에 정작 학생들이 뭘 배울지, 교육 콘텐츠에 대한 고민이나 계획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자문위원 중에도 환경 교육 전문가는 단 한 명뿐입니다.

환경 교육 분야와는 동떨어진 정치 컨설턴트가 사업 홍보를 맡기도 했습니다.

[이재영/국가환경교육센터 센터장 : "4대강 사업을 학교에다가 하고 있는 거 아니냐. (교육은) 시설이 하는 게 아니거든요. 선생님들이 하는 것이고, 교육과정이 뒷받침돼야 하고, 프로그램이 채워져야 되고. 그게 아이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 속에서 학습의 기회로 연결돼야 하는데."]

이에 대해 교육부는 환경생태교육을 위해 특별교부금 4억 2천만 원을 별도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17개 시·도 교육청이 나누면, 한 곳당 돌아가는 액수는 대략 2천5백만 원 수준입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그린’만 붙이면 기후 교육의 미래?…텅빈 교육 콘텐츠
    • 입력 2021-03-06 07:31:18
    • 수정2021-03-06 07:40:17
    뉴스광장
[앵커]

교육부는 18조 5천억을 들여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사업이 미래 학교를 위한 '교육의 대전환'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론 낡은 학교를 고치는 시설 공사일 뿐이어서, 정작 알맹이가 빠져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예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학교는 2010년 4억 3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태양광 발전 시설을 설치했습니다.

일 년에 35만 원어치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연간 학교가 내는 전기요금의 0.5% 수준입니다.

그나마 한쪽은 여름철 태풍에 부서져 철거했습니다.

[홍제남/오류중학교 교장 : "교육적인 목적이 사실은 큰 목적이고, 아이들한테...그런데 시설한 것에 비해서 경제적인 효과를 따진다면 너무 미미하다."]

비교적 최근인 2019년에 개축한 이 학교는 한 달 120만 원어치의 전기 생산으로 일명 '에너지 자립학교'라며, 언론 보도에도 자주 등장했습니다.

교육부가 추진 중인 그린스마트 스쿨 사업의 목표는 낡은 학교를 이렇게 친환경 시설로 바꿔, 탄소 중립 정책에 기여하겠다는 겁니다.

앞으로 5년간 18조 5천억 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입니다.

[김근회/공항고등학교 교감 : "만든 취지나 방향에 대해서 학생들이 인지하고 본인들이 살아가는데 그런 걸 삶 속에 녹여서 가는 부분은 숙제고, 과제이고…."]

그런데 이런 시설 공사 외에 정작 학생들이 뭘 배울지, 교육 콘텐츠에 대한 고민이나 계획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자문위원 중에도 환경 교육 전문가는 단 한 명뿐입니다.

환경 교육 분야와는 동떨어진 정치 컨설턴트가 사업 홍보를 맡기도 했습니다.

[이재영/국가환경교육센터 센터장 : "4대강 사업을 학교에다가 하고 있는 거 아니냐. (교육은) 시설이 하는 게 아니거든요. 선생님들이 하는 것이고, 교육과정이 뒷받침돼야 하고, 프로그램이 채워져야 되고. 그게 아이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 속에서 학습의 기회로 연결돼야 하는데."]

이에 대해 교육부는 환경생태교육을 위해 특별교부금 4억 2천만 원을 별도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17개 시·도 교육청이 나누면, 한 곳당 돌아가는 액수는 대략 2천5백만 원 수준입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