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난해 유럽의약품청(EMA)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은 러시아 정보기관과 중국 첩보원들의 소행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일간지 '폴크스크란트(De Volkskrant)' 보도를 인용해, EMA가 지난해 상반기 중국 스파이들의 공격 대상이 됐으며 같은 해 말에는 러시아 정보 요원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폴크스크란트는 중국 해커들이 한 독일 대학의 시스템을 해킹해 EMA 네트워크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었고, 러시아 해커들은 EMA의 2단계 인증 로그인 보안의 결함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EMA는 지난해 12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해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EMA는 이후 이 공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평가 절차 관련 내부·기밀 이메일 일부가 인터넷에 유출됐다고 했으나 사건이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누구의 소행으로 추정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EMA가 사이버 공격 사실을 공개한 직후,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EMA 사이버 공격 과정에서 이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서류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로이터 통신은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일간지 '폴크스크란트(De Volkskrant)' 보도를 인용해, EMA가 지난해 상반기 중국 스파이들의 공격 대상이 됐으며 같은 해 말에는 러시아 정보 요원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폴크스크란트는 중국 해커들이 한 독일 대학의 시스템을 해킹해 EMA 네트워크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었고, 러시아 해커들은 EMA의 2단계 인증 로그인 보안의 결함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EMA는 지난해 12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해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EMA는 이후 이 공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평가 절차 관련 내부·기밀 이메일 일부가 인터넷에 유출됐다고 했으나 사건이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누구의 소행으로 추정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EMA가 사이버 공격 사실을 공개한 직후,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EMA 사이버 공격 과정에서 이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서류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유럽의약품청 사이버공격, 러시아·중국 해커 소행”
-
- 입력 2021-03-07 04:01:48
- 수정2021-03-07 04:02:35

지난해 유럽의약품청(EMA)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은 러시아 정보기관과 중국 첩보원들의 소행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일간지 '폴크스크란트(De Volkskrant)' 보도를 인용해, EMA가 지난해 상반기 중국 스파이들의 공격 대상이 됐으며 같은 해 말에는 러시아 정보 요원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폴크스크란트는 중국 해커들이 한 독일 대학의 시스템을 해킹해 EMA 네트워크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었고, 러시아 해커들은 EMA의 2단계 인증 로그인 보안의 결함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EMA는 지난해 12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해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EMA는 이후 이 공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평가 절차 관련 내부·기밀 이메일 일부가 인터넷에 유출됐다고 했으나 사건이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누구의 소행으로 추정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EMA가 사이버 공격 사실을 공개한 직후,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EMA 사이버 공격 과정에서 이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서류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로이터 통신은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일간지 '폴크스크란트(De Volkskrant)' 보도를 인용해, EMA가 지난해 상반기 중국 스파이들의 공격 대상이 됐으며 같은 해 말에는 러시아 정보 요원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폴크스크란트는 중국 해커들이 한 독일 대학의 시스템을 해킹해 EMA 네트워크 접근권을 확보할 수 있었고, 러시아 해커들은 EMA의 2단계 인증 로그인 보안의 결함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EMA는 지난해 12월 사이버 공격이 발생해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EMA는 이후 이 공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평가 절차 관련 내부·기밀 이메일 일부가 인터넷에 유출됐다고 했으나 사건이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누구의 소행으로 추정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EMA가 사이버 공격 사실을 공개한 직후,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EMA 사이버 공격 과정에서 이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서류에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신지원 기자 4you@kbs.co.kr
신지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