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램지어 파면” 촉구…하버드대 앞 장외 집회
입력 2021.03.07 (05:48) 수정 2021.03.07 (07:02) 국제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논문으로 물의를 빚은 마크 램지어 교수를 규탄하는 장외집회가 하버드대 앞에서 개최됐습니다.
미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현지시간 6일(한국 시간 7일) 오후 보스턴시 하버드대 존스턴 게이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마크 램지어 교수의 파면과 하버드 대학 측의 책임 있는 조치, 그리고 논문 철회 등을 촉구했습니다.
서영애 매사추세츠한인회 회장은 집회에서 낭독한 성명을 통해 "이것은 명백히, 분명한 전쟁 범죄, 성적 인신매매, 성노예, 그리고 아동학대"라며 "우리의 목소리가 램지어와 하버드대와 출판사와 일본의 문제점을 전 세계에 알려 왜곡된 논문을 지우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영 부회장은 램지어 교수가 증거 자료와 피해자 증언 청취 없이 논문을 썼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로서 거짓과 진실조차도 구분하지 못하고 학자로서 연구 진실성을 가진 제대로 된 논문도 못 쓰는데 어떻게 강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신세준 버몬트한인회 회장은 로런스 배카우 총장을 향해 "학문의 자유라는 적절치 못한 입장을 내세우며 인권을 짓밟는 왜곡된 논문을 지지하는가"라고 되물으며 램지어 교수 파면을 촉구했습니다.
조원경 로드아일랜드한인회 회장은 논문 출판사를 향해 "진실을 왜곡하고 거짓으로 쓰여진 논문을 인정, 출판하겠다는 엘스비어는 램지어와 다를 바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주최 측이 백여 명으로 추산한 집회 참석자들은 대다수 한인이었지만 미국인 참석자들과 하버드대 학생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한국계 아내와 함께 집회에 참석한 키어 실렌 씨는 기자들에게 "위안부가 매춘부라는 주장은 완전한 거짓이자 쓰레기이기 때문에 논문을 당장 내리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고통을 겪은 한국 등 피해 여성을 지지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 격인 하버드대 앞에서 항의 시위가 열린 것은 문제의 논문이 지난달 초 일반에 처음 알려진 지 한 달여 만에 처음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현지시간 6일(한국 시간 7일) 오후 보스턴시 하버드대 존스턴 게이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마크 램지어 교수의 파면과 하버드 대학 측의 책임 있는 조치, 그리고 논문 철회 등을 촉구했습니다.
서영애 매사추세츠한인회 회장은 집회에서 낭독한 성명을 통해 "이것은 명백히, 분명한 전쟁 범죄, 성적 인신매매, 성노예, 그리고 아동학대"라며 "우리의 목소리가 램지어와 하버드대와 출판사와 일본의 문제점을 전 세계에 알려 왜곡된 논문을 지우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영 부회장은 램지어 교수가 증거 자료와 피해자 증언 청취 없이 논문을 썼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로서 거짓과 진실조차도 구분하지 못하고 학자로서 연구 진실성을 가진 제대로 된 논문도 못 쓰는데 어떻게 강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신세준 버몬트한인회 회장은 로런스 배카우 총장을 향해 "학문의 자유라는 적절치 못한 입장을 내세우며 인권을 짓밟는 왜곡된 논문을 지지하는가"라고 되물으며 램지어 교수 파면을 촉구했습니다.
조원경 로드아일랜드한인회 회장은 논문 출판사를 향해 "진실을 왜곡하고 거짓으로 쓰여진 논문을 인정, 출판하겠다는 엘스비어는 램지어와 다를 바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주최 측이 백여 명으로 추산한 집회 참석자들은 대다수 한인이었지만 미국인 참석자들과 하버드대 학생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한국계 아내와 함께 집회에 참석한 키어 실렌 씨는 기자들에게 "위안부가 매춘부라는 주장은 완전한 거짓이자 쓰레기이기 때문에 논문을 당장 내리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고통을 겪은 한국 등 피해 여성을 지지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 격인 하버드대 앞에서 항의 시위가 열린 것은 문제의 논문이 지난달 초 일반에 처음 알려진 지 한 달여 만에 처음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램지어 파면” 촉구…하버드대 앞 장외 집회
-
- 입력 2021-03-07 05:48:20
- 수정2021-03-07 07:02:34

일본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논문으로 물의를 빚은 마크 램지어 교수를 규탄하는 장외집회가 하버드대 앞에서 개최됐습니다.
미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현지시간 6일(한국 시간 7일) 오후 보스턴시 하버드대 존스턴 게이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마크 램지어 교수의 파면과 하버드 대학 측의 책임 있는 조치, 그리고 논문 철회 등을 촉구했습니다.
서영애 매사추세츠한인회 회장은 집회에서 낭독한 성명을 통해 "이것은 명백히, 분명한 전쟁 범죄, 성적 인신매매, 성노예, 그리고 아동학대"라며 "우리의 목소리가 램지어와 하버드대와 출판사와 일본의 문제점을 전 세계에 알려 왜곡된 논문을 지우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영 부회장은 램지어 교수가 증거 자료와 피해자 증언 청취 없이 논문을 썼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로서 거짓과 진실조차도 구분하지 못하고 학자로서 연구 진실성을 가진 제대로 된 논문도 못 쓰는데 어떻게 강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신세준 버몬트한인회 회장은 로런스 배카우 총장을 향해 "학문의 자유라는 적절치 못한 입장을 내세우며 인권을 짓밟는 왜곡된 논문을 지지하는가"라고 되물으며 램지어 교수 파면을 촉구했습니다.
조원경 로드아일랜드한인회 회장은 논문 출판사를 향해 "진실을 왜곡하고 거짓으로 쓰여진 논문을 인정, 출판하겠다는 엘스비어는 램지어와 다를 바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주최 측이 백여 명으로 추산한 집회 참석자들은 대다수 한인이었지만 미국인 참석자들과 하버드대 학생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한국계 아내와 함께 집회에 참석한 키어 실렌 씨는 기자들에게 "위안부가 매춘부라는 주장은 완전한 거짓이자 쓰레기이기 때문에 논문을 당장 내리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고통을 겪은 한국 등 피해 여성을 지지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 격인 하버드대 앞에서 항의 시위가 열린 것은 문제의 논문이 지난달 초 일반에 처음 알려진 지 한 달여 만에 처음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현지시간 6일(한국 시간 7일) 오후 보스턴시 하버드대 존스턴 게이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마크 램지어 교수의 파면과 하버드 대학 측의 책임 있는 조치, 그리고 논문 철회 등을 촉구했습니다.
서영애 매사추세츠한인회 회장은 집회에서 낭독한 성명을 통해 "이것은 명백히, 분명한 전쟁 범죄, 성적 인신매매, 성노예, 그리고 아동학대"라며 "우리의 목소리가 램지어와 하버드대와 출판사와 일본의 문제점을 전 세계에 알려 왜곡된 논문을 지우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신영 부회장은 램지어 교수가 증거 자료와 피해자 증언 청취 없이 논문을 썼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로서 거짓과 진실조차도 구분하지 못하고 학자로서 연구 진실성을 가진 제대로 된 논문도 못 쓰는데 어떻게 강단에 서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신세준 버몬트한인회 회장은 로런스 배카우 총장을 향해 "학문의 자유라는 적절치 못한 입장을 내세우며 인권을 짓밟는 왜곡된 논문을 지지하는가"라고 되물으며 램지어 교수 파면을 촉구했습니다.
조원경 로드아일랜드한인회 회장은 논문 출판사를 향해 "진실을 왜곡하고 거짓으로 쓰여진 논문을 인정, 출판하겠다는 엘스비어는 램지어와 다를 바 없다"며 논문이 철회되지 않으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주최 측이 백여 명으로 추산한 집회 참석자들은 대다수 한인이었지만 미국인 참석자들과 하버드대 학생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한국계 아내와 함께 집회에 참석한 키어 실렌 씨는 기자들에게 "위안부가 매춘부라는 주장은 완전한 거짓이자 쓰레기이기 때문에 논문을 당장 내리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고통을 겪은 한국 등 피해 여성을 지지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 격인 하버드대 앞에서 항의 시위가 열린 것은 문제의 논문이 지난달 초 일반에 처음 알려진 지 한 달여 만에 처음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김기현 기자 kimkh@kbs.co.kr
김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