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영상] 독일 노동자들에게 우리나라 산재사고 보여줬더니 〈시사기획 창〉
입력 2021.03.12 (09:00) 사회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최상위권입니다.
진통 끝에 1월 8일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에서 통과됐지만 "노동계의 요구에 비해 큰 폭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반면 재계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기업에 무거운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 공장들의 안전 환경은 어떨까요. 유독 우리나라에서 노동자들의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게 아닐까요.
<시사기획 창>이 제조업 강국 독일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한국의 사망 사고 영상을 보여준 뒤 그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진통 끝에 1월 8일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에서 통과됐지만 "노동계의 요구에 비해 큰 폭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반면 재계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기업에 무거운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 공장들의 안전 환경은 어떨까요. 유독 우리나라에서 노동자들의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게 아닐까요.
<시사기획 창>이 제조업 강국 독일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한국의 사망 사고 영상을 보여준 뒤 그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 [영상] 독일 노동자들에게 우리나라 산재사고 보여줬더니 〈시사기획 창〉
-
- 입력 2021-03-12 09:00:53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최상위권입니다.
진통 끝에 1월 8일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에서 통과됐지만 "노동계의 요구에 비해 큰 폭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반면 재계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기업에 무거운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 공장들의 안전 환경은 어떨까요. 유독 우리나라에서 노동자들의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게 아닐까요.
<시사기획 창>이 제조업 강국 독일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한국의 사망 사고 영상을 보여준 뒤 그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진통 끝에 1월 8일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에서 통과됐지만 "노동계의 요구에 비해 큰 폭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반면 재계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기업에 무거운 책임을 지우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실제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 공장들의 안전 환경은 어떨까요. 유독 우리나라에서 노동자들의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게 아닐까요.
<시사기획 창>이 제조업 강국 독일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한국의 사망 사고 영상을 보여준 뒤 그들의 생각을 물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