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입력 2021.03.14 (21:42)
수정 2021.03.19 (1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대재난과 마찬가지…'자살 생존자' 한 해 7만~14만 명
가족을 잃은 아픔을 말하지 못하고 슬픔조차 내색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가족을 자살로 떠나보낸 자살 유가족들이다. 2019년 한 해 자살 사망자는 1만 3천여 명. 이와 연관돤 자살 유가족은 최소 7만 명~14만 명으로 추정된다. 비명에 간 가족 뒤에 섬처럼 남아 애도의 시간조차 제대로 갖지 못하는 자살 유가족들은 대재난을 겪은 것과 같은 심리적 상흔으로 고통 받고 있다. 자살이라는 '재난'으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 전문가들이 자살 유가족을 '자살 생존자'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자살 생존자들의 고통과 치유의 이야기를 <시사기획 창> 제작진이 직접 들어봤다.
■ 자살생존자 10인 심층 인터뷰
딸, 남편, 어머니, 동생을 잃은 자살 유가족 10명이 <시사기획 창> 카메라 앞에 섰다. 가족이 세상을 떠난 이유가 자살이라는 것을 확인한 이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여러 문제들이 눈앞에 닥쳤다. 죽음의 이유가 자살인지를 외부에 알릴지 말지, 사회의 시선과 관계의 문제 뿐 아니라 고인이 남기고 간 채무 등 경제적 문제, 고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부딪쳐야 하는 행정처리 문제 등. 자살 생존자 10인은 초기 유가족이 겪는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유가족이 덜 아프기 위해 정부와 사회에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시사기획 창>을 통해 이야기 한다.
■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면 안 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족 뒤에 섬처럼 남겨졌던 시간들. 이를 헤쳐 나온 자살생존자 10인이 힘들었던 그때의 이야기를 다시 카메라 앞에 펼쳐낸 데는 이유가 있다. 지금도 어디엔가 숨어 자신이 겪었던 고통과 똑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자살 생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다. 비극이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라면서, 유가족도 다시 웃을 수 있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서다. 그리고 용기를 주고 싶어서다.
■ 자살 생존자들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
자살 생존자들의 우울증 위험성은 18배나 높다. 유가족의 97.5%가 생활의 변화로 힘들어하는 만큼, 신속한 위기 대처가 필요하다. 유가족들이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게 지원해주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시사기획 창>은 2019년 9월부터 인천, 강원, 광주에서 시범 실시 중인 '자살 유가족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고, 자살 유가족 중에서도 특히 더 소외된 2030 여성들을 위한 '자조 모임'의 필요성을 들어본다. 트라우마를 이겨낸 자살 유가족이 고통 속에 힘들어 하고 있는 다른 자살 유가족을 돕는 '동료지원 활동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위로와 용기의 목소리…자살예방캠페인 배우 손현주 참여
<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편에서는 2020년 자살예방 캠페인 모델인 배우 손현주 씨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손현주 씨는 드라마와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인간미 느껴지는 따뜻한 목소리로 자살 유가족들의 아픔을 말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bit.ly/39AXCbF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가족을 잃은 아픔을 말하지 못하고 슬픔조차 내색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가족을 자살로 떠나보낸 자살 유가족들이다. 2019년 한 해 자살 사망자는 1만 3천여 명. 이와 연관돤 자살 유가족은 최소 7만 명~14만 명으로 추정된다. 비명에 간 가족 뒤에 섬처럼 남아 애도의 시간조차 제대로 갖지 못하는 자살 유가족들은 대재난을 겪은 것과 같은 심리적 상흔으로 고통 받고 있다. 자살이라는 '재난'으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 전문가들이 자살 유가족을 '자살 생존자'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자살 생존자들의 고통과 치유의 이야기를 <시사기획 창> 제작진이 직접 들어봤다.
■ 자살생존자 10인 심층 인터뷰
딸, 남편, 어머니, 동생을 잃은 자살 유가족 10명이 <시사기획 창> 카메라 앞에 섰다. 가족이 세상을 떠난 이유가 자살이라는 것을 확인한 이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여러 문제들이 눈앞에 닥쳤다. 죽음의 이유가 자살인지를 외부에 알릴지 말지, 사회의 시선과 관계의 문제 뿐 아니라 고인이 남기고 간 채무 등 경제적 문제, 고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부딪쳐야 하는 행정처리 문제 등. 자살 생존자 10인은 초기 유가족이 겪는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유가족이 덜 아프기 위해 정부와 사회에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시사기획 창>을 통해 이야기 한다.
■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면 안 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족 뒤에 섬처럼 남겨졌던 시간들. 이를 헤쳐 나온 자살생존자 10인이 힘들었던 그때의 이야기를 다시 카메라 앞에 펼쳐낸 데는 이유가 있다. 지금도 어디엔가 숨어 자신이 겪었던 고통과 똑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자살 생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다. 비극이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라면서, 유가족도 다시 웃을 수 있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서다. 그리고 용기를 주고 싶어서다.
■ 자살 생존자들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
자살 생존자들의 우울증 위험성은 18배나 높다. 유가족의 97.5%가 생활의 변화로 힘들어하는 만큼, 신속한 위기 대처가 필요하다. 유가족들이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게 지원해주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시사기획 창>은 2019년 9월부터 인천, 강원, 광주에서 시범 실시 중인 '자살 유가족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고, 자살 유가족 중에서도 특히 더 소외된 2030 여성들을 위한 '자조 모임'의 필요성을 들어본다. 트라우마를 이겨낸 자살 유가족이 고통 속에 힘들어 하고 있는 다른 자살 유가족을 돕는 '동료지원 활동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위로와 용기의 목소리…자살예방캠페인 배우 손현주 참여
<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편에서는 2020년 자살예방 캠페인 모델인 배우 손현주 씨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손현주 씨는 드라마와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인간미 느껴지는 따뜻한 목소리로 자살 유가족들의 아픔을 말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자살 생존자 도움 정보]
유족 전용 홈페이지 '따뜻한 작별' www.warmdays.co.kr
[조직 및 집단 내 자살 사고 대응]
사후 대응 헬프라인 ☎1899-4567
유족 전용 홈페이지 '따뜻한 작별' www.warmdays.co.kr
[조직 및 집단 내 자살 사고 대응]
사후 대응 헬프라인 ☎1899-4567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bit.ly/39AXCbF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
- 입력 2021-03-14 21:42:41
- 수정2021-03-19 10:44:12

■ 대재난과 마찬가지…'자살 생존자' 한 해 7만~14만 명
가족을 잃은 아픔을 말하지 못하고 슬픔조차 내색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가족을 자살로 떠나보낸 자살 유가족들이다. 2019년 한 해 자살 사망자는 1만 3천여 명. 이와 연관돤 자살 유가족은 최소 7만 명~14만 명으로 추정된다. 비명에 간 가족 뒤에 섬처럼 남아 애도의 시간조차 제대로 갖지 못하는 자살 유가족들은 대재난을 겪은 것과 같은 심리적 상흔으로 고통 받고 있다. 자살이라는 '재난'으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 전문가들이 자살 유가족을 '자살 생존자'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자살 생존자들의 고통과 치유의 이야기를 <시사기획 창> 제작진이 직접 들어봤다.
■ 자살생존자 10인 심층 인터뷰
딸, 남편, 어머니, 동생을 잃은 자살 유가족 10명이 <시사기획 창> 카메라 앞에 섰다. 가족이 세상을 떠난 이유가 자살이라는 것을 확인한 이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여러 문제들이 눈앞에 닥쳤다. 죽음의 이유가 자살인지를 외부에 알릴지 말지, 사회의 시선과 관계의 문제 뿐 아니라 고인이 남기고 간 채무 등 경제적 문제, 고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부딪쳐야 하는 행정처리 문제 등. 자살 생존자 10인은 초기 유가족이 겪는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유가족이 덜 아프기 위해 정부와 사회에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시사기획 창>을 통해 이야기 한다.
■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면 안 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족 뒤에 섬처럼 남겨졌던 시간들. 이를 헤쳐 나온 자살생존자 10인이 힘들었던 그때의 이야기를 다시 카메라 앞에 펼쳐낸 데는 이유가 있다. 지금도 어디엔가 숨어 자신이 겪었던 고통과 똑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자살 생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다. 비극이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라면서, 유가족도 다시 웃을 수 있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서다. 그리고 용기를 주고 싶어서다.
■ 자살 생존자들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
자살 생존자들의 우울증 위험성은 18배나 높다. 유가족의 97.5%가 생활의 변화로 힘들어하는 만큼, 신속한 위기 대처가 필요하다. 유가족들이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게 지원해주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시사기획 창>은 2019년 9월부터 인천, 강원, 광주에서 시범 실시 중인 '자살 유가족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고, 자살 유가족 중에서도 특히 더 소외된 2030 여성들을 위한 '자조 모임'의 필요성을 들어본다. 트라우마를 이겨낸 자살 유가족이 고통 속에 힘들어 하고 있는 다른 자살 유가족을 돕는 '동료지원 활동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위로와 용기의 목소리…자살예방캠페인 배우 손현주 참여
<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편에서는 2020년 자살예방 캠페인 모델인 배우 손현주 씨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손현주 씨는 드라마와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인간미 느껴지는 따뜻한 목소리로 자살 유가족들의 아픔을 말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bit.ly/39AXCbF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가족을 잃은 아픔을 말하지 못하고 슬픔조차 내색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가족을 자살로 떠나보낸 자살 유가족들이다. 2019년 한 해 자살 사망자는 1만 3천여 명. 이와 연관돤 자살 유가족은 최소 7만 명~14만 명으로 추정된다. 비명에 간 가족 뒤에 섬처럼 남아 애도의 시간조차 제대로 갖지 못하는 자살 유가족들은 대재난을 겪은 것과 같은 심리적 상흔으로 고통 받고 있다. 자살이라는 '재난'으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 전문가들이 자살 유가족을 '자살 생존자'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자살 생존자들의 고통과 치유의 이야기를 <시사기획 창> 제작진이 직접 들어봤다.
■ 자살생존자 10인 심층 인터뷰
딸, 남편, 어머니, 동생을 잃은 자살 유가족 10명이 <시사기획 창> 카메라 앞에 섰다. 가족이 세상을 떠난 이유가 자살이라는 것을 확인한 이들.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여러 문제들이 눈앞에 닥쳤다. 죽음의 이유가 자살인지를 외부에 알릴지 말지, 사회의 시선과 관계의 문제 뿐 아니라 고인이 남기고 간 채무 등 경제적 문제, 고인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부딪쳐야 하는 행정처리 문제 등. 자살 생존자 10인은 초기 유가족이 겪는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적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유가족이 덜 아프기 위해 정부와 사회에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시사기획 창>을 통해 이야기 한다.
■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면 안 됩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족 뒤에 섬처럼 남겨졌던 시간들. 이를 헤쳐 나온 자살생존자 10인이 힘들었던 그때의 이야기를 다시 카메라 앞에 펼쳐낸 데는 이유가 있다. 지금도 어디엔가 숨어 자신이 겪었던 고통과 똑같은 고통을 겪고 있을 자살 생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서다. 비극이 또 다른 비극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바라면서, 유가족도 다시 웃을 수 있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서다. 그리고 용기를 주고 싶어서다.
■ 자살 생존자들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
자살 생존자들의 우울증 위험성은 18배나 높다. 유가족의 97.5%가 생활의 변화로 힘들어하는 만큼, 신속한 위기 대처가 필요하다. 유가족들이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다시 일상을 살 수 있게 지원해주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시사기획 창>은 2019년 9월부터 인천, 강원, 광주에서 시범 실시 중인 '자살 유가족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고, 자살 유가족 중에서도 특히 더 소외된 2030 여성들을 위한 '자조 모임'의 필요성을 들어본다. 트라우마를 이겨낸 자살 유가족이 고통 속에 힘들어 하고 있는 다른 자살 유가족을 돕는 '동료지원 활동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위로와 용기의 목소리…자살예방캠페인 배우 손현주 참여
<시사기획 창> '자살 생존자' 편에서는 2020년 자살예방 캠페인 모델인 배우 손현주 씨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손현주 씨는 드라마와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인간미 느껴지는 따뜻한 목소리로 자살 유가족들의 아픔을 말하며, 그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자살 생존자 도움 정보]
유족 전용 홈페이지 '따뜻한 작별' www.warmdays.co.kr
[조직 및 집단 내 자살 사고 대응]
사후 대응 헬프라인 ☎1899-4567
유족 전용 홈페이지 '따뜻한 작별' www.warmdays.co.kr
[조직 및 집단 내 자살 사고 대응]
사후 대응 헬프라인 ☎1899-4567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bit.ly/39AXCbF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window.sisa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