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칠장사 대형불화에 ‘배채법’ 사용…일부분 금박·금니로 채색

입력 2021.03.18 (0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 안성 칠장사에 있는 국보 제296호 오불회 괘불탱 바탕색이 조선 시대 초상화에서 주로 쓰인 회화 기법인 ‘배채법’(背彩法)으로 처리되고, 일부분이 금박과 금니(金泥)로 채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재청은 성보문화재연구원과 함께 오늘(18일) 공개한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에서 현재 전하는 괘불탱(掛佛幀) 중 바탕색이 배채법으로 처리된 건 칠장사 괘불탱이 유일하다고 밝혔습니다.

괘불탱은 야외에서 거행하는 불교 의식에 쓰려고 제작한 대형불화입니다. 종이 뒷면에 색을 칠해 은은한 느낌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기술인 배채법은 고려 불화의 특징이지만, 조선 불화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보고서는 “오불(五佛)과 관세음보살, 지장보살의 육색(肉色)을 금니로 채색한 특징이 확인된다”며 “배채법을 활용해 연백과 금박을 입히고 그 위에 금니를 채색한 것은 다른 괘불탱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채색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다른 권속(眷屬)들의 육색 대부분을 광물성 안료와 유기 염료를 혼합해 채색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며 “채색을 통해 부처와 보살, 권속과 대중의 위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누에고치에서 뽑은 가늘고 굵기가 비교적 일정한 실로 만든 평직 비단인 ‘초’를 일반적인 전통 직물의 폭보다 넓게 짜 제작하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특징을 토대로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은 17세기 불화 채색기법과 직물 제직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강조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국보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등 대형불화 7건을 정밀조사했습니다. 보물 중에는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축서사 괘불탱’, ‘오덕사 괘불탱’,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이 포함됐습니다.

보물 제2110호인 경남 고성의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에 대한 보고서는 복식(服飾) 문양을 표현할 때 17~18세기 괘불탱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고분법’(高粉法)이 사용된 것을 밝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돋음 기법 또는 살붙이 기법으로 불리는 고분법은 주로 목조 건물의 색을 칠할 때 화면이 두드러지게 보이게 그리는 방법입니다.

보물 제1257호인 경기 안성의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에 대한 보고서는 정밀 실측과 과학적 분석으로 크기와 재질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바탕재가 비단과 삼베를 혼합해 제작한 재질임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문화재청은 2015년부터 높이 10m가 넘는 국내 대형불화인 괘불을 연차 조사 중입니다. 올해는 충남 공주에 있는 국보 ‘갑사 삼신불 괘불탱’ 등 7건을 조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성 칠장사 대형불화에 ‘배채법’ 사용…일부분 금박·금니로 채색
    • 입력 2021-03-18 09:59:18
    문화
경기 안성 칠장사에 있는 국보 제296호 오불회 괘불탱 바탕색이 조선 시대 초상화에서 주로 쓰인 회화 기법인 ‘배채법’(背彩法)으로 처리되고, 일부분이 금박과 금니(金泥)로 채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재청은 성보문화재연구원과 함께 오늘(18일) 공개한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에서 현재 전하는 괘불탱(掛佛幀) 중 바탕색이 배채법으로 처리된 건 칠장사 괘불탱이 유일하다고 밝혔습니다.

괘불탱은 야외에서 거행하는 불교 의식에 쓰려고 제작한 대형불화입니다. 종이 뒷면에 색을 칠해 은은한 느낌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기술인 배채법은 고려 불화의 특징이지만, 조선 불화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보고서는 “오불(五佛)과 관세음보살, 지장보살의 육색(肉色)을 금니로 채색한 특징이 확인된다”며 “배채법을 활용해 연백과 금박을 입히고 그 위에 금니를 채색한 것은 다른 괘불탱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채색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다른 권속(眷屬)들의 육색 대부분을 광물성 안료와 유기 염료를 혼합해 채색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며 “채색을 통해 부처와 보살, 권속과 대중의 위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또 누에고치에서 뽑은 가늘고 굵기가 비교적 일정한 실로 만든 평직 비단인 ‘초’를 일반적인 전통 직물의 폭보다 넓게 짜 제작하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특징을 토대로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은 17세기 불화 채색기법과 직물 제직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강조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국보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등 대형불화 7건을 정밀조사했습니다. 보물 중에는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축서사 괘불탱’, ‘오덕사 괘불탱’,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이 포함됐습니다.

보물 제2110호인 경남 고성의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에 대한 보고서는 복식(服飾) 문양을 표현할 때 17~18세기 괘불탱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고분법’(高粉法)이 사용된 것을 밝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돋음 기법 또는 살붙이 기법으로 불리는 고분법은 주로 목조 건물의 색을 칠할 때 화면이 두드러지게 보이게 그리는 방법입니다.

보물 제1257호인 경기 안성의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에 대한 보고서는 정밀 실측과 과학적 분석으로 크기와 재질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바탕재가 비단과 삼베를 혼합해 제작한 재질임을 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문화재청은 2015년부터 높이 10m가 넘는 국내 대형불화인 괘불을 연차 조사 중입니다. 올해는 충남 공주에 있는 국보 ‘갑사 삼신불 괘불탱’ 등 7건을 조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