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도시에 ‘버스’가 없어서 공공형 택시를?
입력 2021.03.22 (10:25) 수정 2021.03.22 (11:02) 930뉴스(대전)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 대도시에 ‘버스’가 없어서 공공형 택시를?
    • 입력 2021-03-22 10:25:15
    • 수정2021-03-22 11:02:36
    930뉴스(대전)
[앵커]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