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도시에 ‘버스’가 없어서 공공형 택시를?
입력 2021.03.22 (10:25) 수정 2021.03.22 (11:02) 930뉴스(대전)
[앵커]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 대도시에 ‘버스’가 없어서 공공형 택시를?
-
- 입력 2021-03-22 10:25:15
- 수정2021-03-22 11:02:36

[앵커]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자치단체마다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정류장이 먼 농어촌 주민들을 위해 공공형 택시, 이른바 '100원 택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전국 6대 광역시인 대전에도 시내버스 요금 수준의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조정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전 유성구 끝자락에 있는 한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은 1.3km가량 떨어진 큰 도로변 정류장.
젊은 사람이 걸었을 때도 30분 이상 걸리는 거리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마을 노인들은 외출을 포기하거나 이웃 차량을 얻어탄 지 오랩니다.
[마을 주민 : "걸어다니는 게 힘들지. 여기서 진잠(정류장)까지 걸어가야 돼."]
[마을 주민 : "차가 한 대 나가면 그 차를 얻어타고, 나이 드신 어르신들은 그 차를 타고 같이 나가고 아니면 힘들어서 못 나가요…."]
이처럼 대전에서 버스정류장과 1km 이상 떨어진 대중교통 소외지역 거주 가구는 모두 134가구.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 도로 상황도 온전하지 않아 시내버스가 들어오지 못 하는 겁니다.
대전시는 이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내버스 요금 수준인 1250원만 내면 어디든 갈 수 있는 '공공형 택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빠르면 7월 말부터 시범운영 될 예정입니다.
[이옥선/대전시 운송주차과장 :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지 않은 외곽 지역이다 보니까 필요할 때 수요 응답형으로 하는 게 훨씬 시 예산 차원에서도 좋고 주민들도 편리하고…."]
하지만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인 대도시에서 여전히 교통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대중 교통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섭/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가 :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과 버스 증차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고요, 그것이 이뤄진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형태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는 것이…."]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복지정책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광역시'가 내놓은 대책이라기엔 아쉽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930뉴스(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조정아 기자 right@kbs.co.kr
조정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