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컬링연맹 회장, “아내, 자식 빼고 다 바꾼다”…금메달 포상금 3억 원 이상
입력 2021.03.22 (17:40) 스포츠K
2018년 평창올림픽 ‘팀 킴’이 써내려간 기적에도 불구하고 국내 컬링계와 대한컬링경기연맹은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선수 지원은 커녕 오히려 선수들의 발목만 잡았단 비판을 받아왔다.
2018년 팀 킴의 폭로로 김경두 전 연맹 회장대행은 결국 처벌을 받게 됐지만, 컬링계는 정상화되지 않았다.
2019년 8월 김재홍 연맹 회장이 새로 취임했지만, 김 전 회장은 채용 비리와 국고보조금 위법 사용 의혹 등을 받다 지난해 5월 사퇴했다.
올해 선거를 통해 새 회장을 뽑는 과정도 시끄러웠다. 지난 1월 김용빈 대우조선해양건설 회장이 신임 회장으로 당선됐지만, 연맹 선관위는 선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당선 무효를 선언했다.
김 회장은 이후 법원의 가처분 신청 등의 과정을 거쳐 지난 9일 대의원총회를 통해 가까스로 임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선거를 둘러싼 공방 속 선수들은 뒷전이었다. 현 강릉시청 여자 컬링팀, 팀 킴은 지난해 11월 국가대표로 선발됐지만, 한동안 정식 대표 인준조차 받지 못했다. 선수 지원에 힘을 써야 할 연맹이 선거 관련 갈등에만 신경 썼기 때문이다.
팀 킴은 경북체육회와 재계약이 불발됐는데 대표 인준이 안 돼 대표팀임에도 제대로 된 훈련지원을 받지 못했다.
컬링연맹의 무능과 무책임을 극명히 보여준 사례였다.

■ ‘억대 포상금에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꾼다’…. 끝까지 초심 유지할까?
우여곡절 끝에 새로 취임한 김용빈 회장은 “컬링의 국민적 부흥을 다시금 일으키겠다”며 의욕을 드러냈다.
김 회장은 오늘(22일) 컬링연맹 미디어데이 및 국제대회(플레이어스 챔피언십 및 챔피언스컵) 출정식을 개최했다. 연맹이 국제대회를 앞두고 직접 선수들을 모아 출정식을 연 것은 지난 집행부에선 없었던 일이었다.
김용빈 회장은 미디어데이에서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꾼다는 예전 모 회장의 말처럼 연맹은 모든 걸 다 바꿀 생각이다.”라며 각오를 다졌다.
첫 단계로 연맹은 새로운 로고를 발표하고 이름도 소폭 변경했다. 기존 로고가 컬링을 바로 떠올리기 어렵다는 이유다.
연맹 명칭도 ‘대한컬링경기연맹’에서 ‘대한컬링연맹’으로 바꿨다. ‘경기’라는 단어가 엘리트 체육만을 위한 연맹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김 회장은 “엘리트 분만 아니라 컬링을 국민 생활 스포츠로 만들겠다. ”며 컬링의 생활 체육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또, 김 회장은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에 국내 동계 종목 사상 최고액의 포상금을 걸 방침이다. 김 회장은 “지금까지 최고 포상금이 롯데 그룹에서 스키에 걸었던 3억 원으로 알고 있다. 베이징 금메달에 3억 원 플러스알파를 약속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김 회장은 실업, 유소년 팀 창단 등 국내 컬링 기반을 다지기 위한 사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 새 컬링연맹의 첫 발걸음은 우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김 회장이 내세운 공약을 스스로 얼마나 지킬지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지난 회장이었던 김재홍 전 회장도 취임 당시 실업, 대학팀 창단, 컬링 전용 연습장 건립 등의 공약을 내세웠지만 대부분 지켜지지 않았다. 연맹 재정도 한 번도 탄탄했던 적 없이 늘 문제였다.
새로운 컬링 연맹도 연맹 재정 안정화, 유소년 시스템 강화, 파벌 다툼으로 인한 병폐 해소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과제들은 지난 회장들이 항상 개선했다고 약속했지만 개선되지 않았던 부분들이다.
결국, 새 컬링연맹에 대한 평가도 지금까지 선언한 공약을 얼마냐 지키느냐에 달려있다.
- 컬링연맹 회장, “아내, 자식 빼고 다 바꾼다”…금메달 포상금 3억 원 이상
-
- 입력 2021-03-22 17:40:38

2018년 평창올림픽 ‘팀 킴’이 써내려간 기적에도 불구하고 국내 컬링계와 대한컬링경기연맹은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선수 지원은 커녕 오히려 선수들의 발목만 잡았단 비판을 받아왔다.
2018년 팀 킴의 폭로로 김경두 전 연맹 회장대행은 결국 처벌을 받게 됐지만, 컬링계는 정상화되지 않았다.
2019년 8월 김재홍 연맹 회장이 새로 취임했지만, 김 전 회장은 채용 비리와 국고보조금 위법 사용 의혹 등을 받다 지난해 5월 사퇴했다.
올해 선거를 통해 새 회장을 뽑는 과정도 시끄러웠다. 지난 1월 김용빈 대우조선해양건설 회장이 신임 회장으로 당선됐지만, 연맹 선관위는 선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당선 무효를 선언했다.
김 회장은 이후 법원의 가처분 신청 등의 과정을 거쳐 지난 9일 대의원총회를 통해 가까스로 임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선거를 둘러싼 공방 속 선수들은 뒷전이었다. 현 강릉시청 여자 컬링팀, 팀 킴은 지난해 11월 국가대표로 선발됐지만, 한동안 정식 대표 인준조차 받지 못했다. 선수 지원에 힘을 써야 할 연맹이 선거 관련 갈등에만 신경 썼기 때문이다.
팀 킴은 경북체육회와 재계약이 불발됐는데 대표 인준이 안 돼 대표팀임에도 제대로 된 훈련지원을 받지 못했다.
컬링연맹의 무능과 무책임을 극명히 보여준 사례였다.

■ ‘억대 포상금에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꾼다’…. 끝까지 초심 유지할까?
우여곡절 끝에 새로 취임한 김용빈 회장은 “컬링의 국민적 부흥을 다시금 일으키겠다”며 의욕을 드러냈다.
김 회장은 오늘(22일) 컬링연맹 미디어데이 및 국제대회(플레이어스 챔피언십 및 챔피언스컵) 출정식을 개최했다. 연맹이 국제대회를 앞두고 직접 선수들을 모아 출정식을 연 것은 지난 집행부에선 없었던 일이었다.
김용빈 회장은 미디어데이에서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꾼다는 예전 모 회장의 말처럼 연맹은 모든 걸 다 바꿀 생각이다.”라며 각오를 다졌다.
첫 단계로 연맹은 새로운 로고를 발표하고 이름도 소폭 변경했다. 기존 로고가 컬링을 바로 떠올리기 어렵다는 이유다.
연맹 명칭도 ‘대한컬링경기연맹’에서 ‘대한컬링연맹’으로 바꿨다. ‘경기’라는 단어가 엘리트 체육만을 위한 연맹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김 회장은 “엘리트 분만 아니라 컬링을 국민 생활 스포츠로 만들겠다. ”며 컬링의 생활 체육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또, 김 회장은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에 국내 동계 종목 사상 최고액의 포상금을 걸 방침이다. 김 회장은 “지금까지 최고 포상금이 롯데 그룹에서 스키에 걸었던 3억 원으로 알고 있다. 베이징 금메달에 3억 원 플러스알파를 약속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김 회장은 실업, 유소년 팀 창단 등 국내 컬링 기반을 다지기 위한 사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회장 새 컬링연맹의 첫 발걸음은 우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김 회장이 내세운 공약을 스스로 얼마나 지킬지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지난 회장이었던 김재홍 전 회장도 취임 당시 실업, 대학팀 창단, 컬링 전용 연습장 건립 등의 공약을 내세웠지만 대부분 지켜지지 않았다. 연맹 재정도 한 번도 탄탄했던 적 없이 늘 문제였다.
새로운 컬링 연맹도 연맹 재정 안정화, 유소년 시스템 강화, 파벌 다툼으로 인한 병폐 해소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과제들은 지난 회장들이 항상 개선했다고 약속했지만 개선되지 않았던 부분들이다.
결국, 새 컬링연맹에 대한 평가도 지금까지 선언한 공약을 얼마냐 지키느냐에 달려있다.
- 기자 정보
-
-
문영규 기자 youngq@kbs.co.kr
문영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