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리모델링 추진 반발…사업 난항 예고
입력 2021.03.22 (19:45) 수정 2021.03.22 (20:09) 뉴스7(대전)
[앵커]
대전 둔산동 아파트에서 재건축 대안으로 추진되는 리모델링 사업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도 불투명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해도 가구 별로 적지 않은 분담금이 예상돼, 일부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입주한 지 30년 된 대전 둔산동 국화아파트입니다.
5개 단지, 2천9백 가구를 대상으로 리모델링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는 재건축과 달리, 골조를 유지하면서 면적을 넓히거나 2~3개 층을 증축하는 방식입니다.
안전등급 B등급 이상이면 추진할 수 있고, 초과이익 환수도 없어 재건축보다 사업 추진이 수월합니다.
추진위는 최근 정비사업 전문 관리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화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음성변조 : "4월 초에 설계업체 선정 후에 하반기 정도에 조합 설립하고 시공사 선정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수직 증축에 따른 안전성 문제 등으로 전국적으로 아직 리모델링 사례가 없어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3.3㎡당 5백만 원가량의 분담금도 큰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이순희/입주민 : "'큰돈을 들여서 리모델링을 할 필요가 있느냐?' 그러니까 주민들은 이대로 사는 걸 원해요."]
조합을 설립하려면 66.7%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일부 단지는 동의율이 2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장재국/국화우성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 : "찬성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렇죠. (그럼 반대쪽이 더 많은 건가요?) 그렇죠. 반대쪽이 많지요."]
이런 가운데 사업 발표 이후 해당 아파트 매매가가 들썩이고 있어, 리모델링보다는 집값을 띄우기 위한 것 아니냐는 투기세력 개입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추진위는 다음 달 사업 설명회를 열겠다고 밝혀 반대 측 주민들과의 충돌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대전 둔산동 아파트에서 재건축 대안으로 추진되는 리모델링 사업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도 불투명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해도 가구 별로 적지 않은 분담금이 예상돼, 일부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입주한 지 30년 된 대전 둔산동 국화아파트입니다.
5개 단지, 2천9백 가구를 대상으로 리모델링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는 재건축과 달리, 골조를 유지하면서 면적을 넓히거나 2~3개 층을 증축하는 방식입니다.
안전등급 B등급 이상이면 추진할 수 있고, 초과이익 환수도 없어 재건축보다 사업 추진이 수월합니다.
추진위는 최근 정비사업 전문 관리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화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음성변조 : "4월 초에 설계업체 선정 후에 하반기 정도에 조합 설립하고 시공사 선정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수직 증축에 따른 안전성 문제 등으로 전국적으로 아직 리모델링 사례가 없어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3.3㎡당 5백만 원가량의 분담금도 큰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이순희/입주민 : "'큰돈을 들여서 리모델링을 할 필요가 있느냐?' 그러니까 주민들은 이대로 사는 걸 원해요."]
조합을 설립하려면 66.7%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일부 단지는 동의율이 2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장재국/국화우성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 : "찬성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렇죠. (그럼 반대쪽이 더 많은 건가요?) 그렇죠. 반대쪽이 많지요."]
이런 가운데 사업 발표 이후 해당 아파트 매매가가 들썩이고 있어, 리모델링보다는 집값을 띄우기 위한 것 아니냐는 투기세력 개입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추진위는 다음 달 사업 설명회를 열겠다고 밝혀 반대 측 주민들과의 충돌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리모델링 추진 반발…사업 난항 예고
-
- 입력 2021-03-22 19:45:19
- 수정2021-03-22 20:09:28

[앵커]
대전 둔산동 아파트에서 재건축 대안으로 추진되는 리모델링 사업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도 불투명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해도 가구 별로 적지 않은 분담금이 예상돼, 일부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입주한 지 30년 된 대전 둔산동 국화아파트입니다.
5개 단지, 2천9백 가구를 대상으로 리모델링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는 재건축과 달리, 골조를 유지하면서 면적을 넓히거나 2~3개 층을 증축하는 방식입니다.
안전등급 B등급 이상이면 추진할 수 있고, 초과이익 환수도 없어 재건축보다 사업 추진이 수월합니다.
추진위는 최근 정비사업 전문 관리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화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음성변조 : "4월 초에 설계업체 선정 후에 하반기 정도에 조합 설립하고 시공사 선정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수직 증축에 따른 안전성 문제 등으로 전국적으로 아직 리모델링 사례가 없어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3.3㎡당 5백만 원가량의 분담금도 큰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이순희/입주민 : "'큰돈을 들여서 리모델링을 할 필요가 있느냐?' 그러니까 주민들은 이대로 사는 걸 원해요."]
조합을 설립하려면 66.7%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일부 단지는 동의율이 2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장재국/국화우성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 : "찬성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렇죠. (그럼 반대쪽이 더 많은 건가요?) 그렇죠. 반대쪽이 많지요."]
이런 가운데 사업 발표 이후 해당 아파트 매매가가 들썩이고 있어, 리모델링보다는 집값을 띄우기 위한 것 아니냐는 투기세력 개입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추진위는 다음 달 사업 설명회를 열겠다고 밝혀 반대 측 주민들과의 충돌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대전 둔산동 아파트에서 재건축 대안으로 추진되는 리모델링 사업을 둘러싸고 잡음이 일고 있습니다.
실현 가능성도 불투명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해도 가구 별로 적지 않은 분담금이 예상돼, 일부에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입주한 지 30년 된 대전 둔산동 국화아파트입니다.
5개 단지, 2천9백 가구를 대상으로 리모델링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허물고 새로 짓는 재건축과 달리, 골조를 유지하면서 면적을 넓히거나 2~3개 층을 증축하는 방식입니다.
안전등급 B등급 이상이면 추진할 수 있고, 초과이익 환수도 없어 재건축보다 사업 추진이 수월합니다.
추진위는 최근 정비사업 전문 관리업체를 선정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화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음성변조 : "4월 초에 설계업체 선정 후에 하반기 정도에 조합 설립하고 시공사 선정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수직 증축에 따른 안전성 문제 등으로 전국적으로 아직 리모델링 사례가 없어 실현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3.3㎡당 5백만 원가량의 분담금도 큰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이순희/입주민 : "'큰돈을 들여서 리모델링을 할 필요가 있느냐?' 그러니까 주민들은 이대로 사는 걸 원해요."]
조합을 설립하려면 66.7%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일부 단지는 동의율이 2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장재국/국화우성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 : "찬성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렇죠. (그럼 반대쪽이 더 많은 건가요?) 그렇죠. 반대쪽이 많지요."]
이런 가운데 사업 발표 이후 해당 아파트 매매가가 들썩이고 있어, 리모델링보다는 집값을 띄우기 위한 것 아니냐는 투기세력 개입 의혹도 나오고 있습니다.
추진위는 다음 달 사업 설명회를 열겠다고 밝혀 반대 측 주민들과의 충돌도 우려됩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뉴스7(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