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코로나 때문에 올 초부터 일본 도쿄도 등에 발령됐던 긴급사태가 오늘(22일) 모두 해제됐습니다.
그럼, 한 동안 확산세가 심각했던 상황이 괜찮아진 것인지, 또 올림픽 준비엔 어떤 영향이 있는 건지 도쿄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박원기 특파원! 일본의 긴급사태가 꽤 오래 이어졌어요?
[기자]
네, 지난 1월 8일 발령됐다가 오늘 0시에 해제됐으니까, 73일 동안 이어진 셈입니다.
도쿄도 등 4개 지역을 시작으로 한때 11개 지역까지 늘어났다가 이번에 완전히 해제됐습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18일 : "목표했던 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시켜 해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번 해제로 도쿄도 수도권 음식점 영업시간은 오후 8시에서 9시로 한 시간 늘었고요.
스포츠 경기 등 대규모 행사의 인원 제한도 완화됐습니다.
정원 50% 이내에서 5천 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앵커]
그럼 해제해도 괜찮은 상황인건가요?
아니면 올림픽 때문에 서두른건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단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일주일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하루 천 명 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한 신문이 여론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번 긴급사태 발령 해제가 너무 빨랐다고 응답했습니다.
사흘 뒤인 25일엔 후쿠시마 J빌리지에서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이 시작되는데요.
성화 봉송이 만약 긴급사태가 안 끝난 상황에서 시작되면, 올림픽 개최에 대한 회의론을 떨쳐내기 어려우니까 이런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도쿄올림픽조직위는 해외 관중은 받지 않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하시모토 세이코/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 회장 :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해외 관객은 수용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에 보고했습니다."]
이럴 경우 입장권 환불 등에 따른 손실이 17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돼, 올림픽 개최를 이른바 '실적'으로 삼으려던 스가 정권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긴 모양새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고석훈

코로나 때문에 올 초부터 일본 도쿄도 등에 발령됐던 긴급사태가 오늘(22일) 모두 해제됐습니다.
그럼, 한 동안 확산세가 심각했던 상황이 괜찮아진 것인지, 또 올림픽 준비엔 어떤 영향이 있는 건지 도쿄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박원기 특파원! 일본의 긴급사태가 꽤 오래 이어졌어요?
[기자]
네, 지난 1월 8일 발령됐다가 오늘 0시에 해제됐으니까, 73일 동안 이어진 셈입니다.
도쿄도 등 4개 지역을 시작으로 한때 11개 지역까지 늘어났다가 이번에 완전히 해제됐습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18일 : "목표했던 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시켜 해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번 해제로 도쿄도 수도권 음식점 영업시간은 오후 8시에서 9시로 한 시간 늘었고요.
스포츠 경기 등 대규모 행사의 인원 제한도 완화됐습니다.
정원 50% 이내에서 5천 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앵커]
그럼 해제해도 괜찮은 상황인건가요?
아니면 올림픽 때문에 서두른건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단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일주일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하루 천 명 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한 신문이 여론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번 긴급사태 발령 해제가 너무 빨랐다고 응답했습니다.
사흘 뒤인 25일엔 후쿠시마 J빌리지에서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이 시작되는데요.
성화 봉송이 만약 긴급사태가 안 끝난 상황에서 시작되면, 올림픽 개최에 대한 회의론을 떨쳐내기 어려우니까 이런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도쿄올림픽조직위는 해외 관중은 받지 않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하시모토 세이코/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 회장 :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해외 관객은 수용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에 보고했습니다."]
이럴 경우 입장권 환불 등에 따른 손실이 17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돼, 올림픽 개최를 이른바 '실적'으로 삼으려던 스가 정권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긴 모양새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고석훈

- 일본 긴급사태 전면 해제…도쿄올림픽 위한 ‘무리수’?
-
- 입력 2021-03-22 21:35:10
- 수정2021-03-22 22:02:55

[앵커]
코로나 때문에 올 초부터 일본 도쿄도 등에 발령됐던 긴급사태가 오늘(22일) 모두 해제됐습니다.
그럼, 한 동안 확산세가 심각했던 상황이 괜찮아진 것인지, 또 올림픽 준비엔 어떤 영향이 있는 건지 도쿄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박원기 특파원! 일본의 긴급사태가 꽤 오래 이어졌어요?
[기자]
네, 지난 1월 8일 발령됐다가 오늘 0시에 해제됐으니까, 73일 동안 이어진 셈입니다.
도쿄도 등 4개 지역을 시작으로 한때 11개 지역까지 늘어났다가 이번에 완전히 해제됐습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18일 : "목표했던 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시켜 해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번 해제로 도쿄도 수도권 음식점 영업시간은 오후 8시에서 9시로 한 시간 늘었고요.
스포츠 경기 등 대규모 행사의 인원 제한도 완화됐습니다.
정원 50% 이내에서 5천 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앵커]
그럼 해제해도 괜찮은 상황인건가요?
아니면 올림픽 때문에 서두른건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단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일주일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하루 천 명 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한 신문이 여론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번 긴급사태 발령 해제가 너무 빨랐다고 응답했습니다.
사흘 뒤인 25일엔 후쿠시마 J빌리지에서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이 시작되는데요.
성화 봉송이 만약 긴급사태가 안 끝난 상황에서 시작되면, 올림픽 개최에 대한 회의론을 떨쳐내기 어려우니까 이런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도쿄올림픽조직위는 해외 관중은 받지 않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하시모토 세이코/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 회장 :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해외 관객은 수용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에 보고했습니다."]
이럴 경우 입장권 환불 등에 따른 손실이 17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돼, 올림픽 개최를 이른바 '실적'으로 삼으려던 스가 정권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긴 모양새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고석훈

코로나 때문에 올 초부터 일본 도쿄도 등에 발령됐던 긴급사태가 오늘(22일) 모두 해제됐습니다.
그럼, 한 동안 확산세가 심각했던 상황이 괜찮아진 것인지, 또 올림픽 준비엔 어떤 영향이 있는 건지 도쿄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박원기 특파원! 일본의 긴급사태가 꽤 오래 이어졌어요?
[기자]
네, 지난 1월 8일 발령됐다가 오늘 0시에 해제됐으니까, 73일 동안 이어진 셈입니다.
도쿄도 등 4개 지역을 시작으로 한때 11개 지역까지 늘어났다가 이번에 완전히 해제됐습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18일 : "목표했던 기준을 안정적으로 만족시켜 해제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번 해제로 도쿄도 수도권 음식점 영업시간은 오후 8시에서 9시로 한 시간 늘었고요.
스포츠 경기 등 대규모 행사의 인원 제한도 완화됐습니다.
정원 50% 이내에서 5천 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이, 이제는 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앵커]
그럼 해제해도 괜찮은 상황인건가요?
아니면 올림픽 때문에 서두른건가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일단 일본 내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일주일 가까이 신규 확진자가 하루 천 명 대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한 신문이 여론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번 긴급사태 발령 해제가 너무 빨랐다고 응답했습니다.
사흘 뒤인 25일엔 후쿠시마 J빌리지에서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이 시작되는데요.
성화 봉송이 만약 긴급사태가 안 끝난 상황에서 시작되면, 올림픽 개최에 대한 회의론을 떨쳐내기 어려우니까 이런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도쿄올림픽조직위는 해외 관중은 받지 않겠다고도 발표했습니다.
들어보시죠.
[하시모토 세이코/도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 회장 :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해외 관객은 수용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국제올림픽위원회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에 보고했습니다."]
이럴 경우 입장권 환불 등에 따른 손실이 17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돼, 올림픽 개최를 이른바 '실적'으로 삼으려던 스가 정권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긴 모양새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고석훈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원기 기자 remember@kbs.co.kr
박원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