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의원·공직유관단체장 3명 중 2명은 재산 증가…평균 재산액 12억 원

입력 2021.03.25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구의원과 공직유관단체장의 지난해 평균 재산액은 12억 8백만 원으로 전년보다 1억 1천만 원 정도 늘었고, 3명 중 2명꼴로 순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특별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서울시 산하 공직유관단체장 16명, 구의원 417명 등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433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오늘(25일) 오전 9시 서울시보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재산공개 대상자의 가구당(배우자 및 부모 등 직계 존·비속 포함) 신고재산 평균 및 재산증감을 살펴보면, 지난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재산액은 12억 8백만 원으로 종전에 신고된 평균 재산액 10억 9천4백만 원보다 1억 1천4백만 원(약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재산 증가자는 286명으로 66%, 감소자는 147명으로 34%입니다.

가액 변동액은 토지·주택 공시가격, 회원권 평가액 등 가격변동에 따른 명목상 재산 증감액이고, 순재산 증감액은 예금 증감, 부동산·자동차·유가증권 등 매매에 따른 실 재산 증감액을 말합니다.

신고자별 재산규모는 ▲1억 원 미만, 27명(6.2%) ▲1억 원~5억 원, 128명(29.6%) ▲5억 원~10억 원, 104명(24%) ▲10억 원~20억 원, 106명(24.5%) ▲20억 원 이상 68명(15.7%) 등입니다.

재산(순재산) 증가자 286명(66%)의 증가액별 인원은 ▲1천만 원 미만, 20명(4.6%) ▲1천만 원~5천만 원 미만, 110명(25.4%) ▲1억 원~5억 원 미만, 78명(18%) ▲1억 원~5억 원 미만, 66명(15.3%) ▲5억 원~10억 원 미만, 11명(2.5%) ▲10억 원 이상, 1명(0.2%) 등입니다.

재산 증가요인은 전년 대비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 주택 공시가격 상승, 급여 저축, 주식가격 상승, 상속 및 증여 등이고, 재산 감소요인은 생활비 및 학자금 등 지출 증가, 자녀 결혼자금 제공, 금융채무 발생 등으로 신고됐습니다.

서울시 공직유관단체장 가운데 재산총액 신고 기준 상위 5명은 ▲최경란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71억 1,622만 원) ▲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58억 9,056만 원) ▲장영승 서울산업진흥원 대표이사(43억 3,570만 원) ▲김민영 120다산콜재단 이사장(35억 351만 원) ▲김영대 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25억 3,044만 원) 등입니다.

서울 구의원 가운데 재산총액 신고 기준 상위 5명은 ▲최남일 강남구의원(208억 1,361만 원) ▲이현미 용산구의원(80억 7,920만 원) ▲방민수 강동구의원(79억 6,752만 원) ▲황영호 강서구의원(70억 5,936만 원) ▲한상욱 송파구의원(68억 3,252만 원) 등입니다.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 말까지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며, 허위 또는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신고하거나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물 또는 재산상 이득을 취한 경우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처를 할 계획입니다.

이윤재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재산등록 및 심사제도를 엄정하게 운영하여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증식을 방지하겠다."라며 "재산취득경위 및 소득원 등 재산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 공직유관단체장, 구의원의 재산공개 내역은 서울시 홈페이지의 서울시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시장단과 1급 이상 간부, 서울시의원, 서울시립대총장, 구청장 등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할하는 146명의 재산공개 내역은 대한민국 전자관보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구의원·공직유관단체장 3명 중 2명은 재산 증가…평균 재산액 12억 원
    • 입력 2021-03-25 09:01:34
    사회
서울 지역 구의원과 공직유관단체장의 지난해 평균 재산액은 12억 8백만 원으로 전년보다 1억 1천만 원 정도 늘었고, 3명 중 2명꼴로 순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특별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서울시 산하 공직유관단체장 16명, 구의원 417명 등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433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오늘(25일) 오전 9시 서울시보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재산공개 대상자의 가구당(배우자 및 부모 등 직계 존·비속 포함) 신고재산 평균 및 재산증감을 살펴보면, 지난해 12월 31일을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재산액은 12억 8백만 원으로 종전에 신고된 평균 재산액 10억 9천4백만 원보다 1억 1천4백만 원(약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재산 증가자는 286명으로 66%, 감소자는 147명으로 34%입니다.

가액 변동액은 토지·주택 공시가격, 회원권 평가액 등 가격변동에 따른 명목상 재산 증감액이고, 순재산 증감액은 예금 증감, 부동산·자동차·유가증권 등 매매에 따른 실 재산 증감액을 말합니다.

신고자별 재산규모는 ▲1억 원 미만, 27명(6.2%) ▲1억 원~5억 원, 128명(29.6%) ▲5억 원~10억 원, 104명(24%) ▲10억 원~20억 원, 106명(24.5%) ▲20억 원 이상 68명(15.7%) 등입니다.

재산(순재산) 증가자 286명(66%)의 증가액별 인원은 ▲1천만 원 미만, 20명(4.6%) ▲1천만 원~5천만 원 미만, 110명(25.4%) ▲1억 원~5억 원 미만, 78명(18%) ▲1억 원~5억 원 미만, 66명(15.3%) ▲5억 원~10억 원 미만, 11명(2.5%) ▲10억 원 이상, 1명(0.2%) 등입니다.

재산 증가요인은 전년 대비 토지 개별공시지가 상승, 주택 공시가격 상승, 급여 저축, 주식가격 상승, 상속 및 증여 등이고, 재산 감소요인은 생활비 및 학자금 등 지출 증가, 자녀 결혼자금 제공, 금융채무 발생 등으로 신고됐습니다.

서울시 공직유관단체장 가운데 재산총액 신고 기준 상위 5명은 ▲최경란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71억 1,622만 원) ▲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58억 9,056만 원) ▲장영승 서울산업진흥원 대표이사(43억 3,570만 원) ▲김민영 120다산콜재단 이사장(35억 351만 원) ▲김영대 50플러스재단 대표이사(25억 3,044만 원) 등입니다.

서울 구의원 가운데 재산총액 신고 기준 상위 5명은 ▲최남일 강남구의원(208억 1,361만 원) ▲이현미 용산구의원(80억 7,920만 원) ▲방민수 강동구의원(79억 6,752만 원) ▲황영호 강서구의원(70억 5,936만 원) ▲한상욱 송파구의원(68억 3,252만 원) 등입니다.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 말까지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며, 허위 또는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신고하거나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물 또는 재산상 이득을 취한 경우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처를 할 계획입니다.

이윤재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재산등록 및 심사제도를 엄정하게 운영하여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증식을 방지하겠다."라며 "재산취득경위 및 소득원 등 재산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 공직유관단체장, 구의원의 재산공개 내역은 서울시 홈페이지의 서울시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을 비롯한 시장단과 1급 이상 간부, 서울시의원, 서울시립대총장, 구청장 등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할하는 146명의 재산공개 내역은 대한민국 전자관보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