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내 스쿠버 동호회 활동 중 물에 빠져 숨진 근로자의 유족이,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달라며 소송을 냈지만 1심에서 패소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재판장 김국현)는 숨진 A 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유족급여와 장의비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속했던 동호회의 가입·활동 절차는 근로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자유로웠고, 별도의 보고·승인 절차가 필요하지도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회원 가입 자격도 모든 직종의 근로자와 직계가족에게 부여돼, 해당 동호회가 특정 직종만의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사건 당일 A 씨가 동호회원들과 떨어져 자신의 지인과 음주 후 스노클링을 하는 등, 모임의 정상적 경로에서 벗어나 있었던 점도 언급했습니다.
A 씨는 2018년 8월 사내 스쿠버 동호회원들과 함께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을 방문해 스노클링을 하던 중 물에 빠져 숨졌습니다.
이에 A 씨의 유족은 업무상 재해였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공단 측은 A 씨의 스노클링이 사적인 행위에 해당해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족은 불복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유족 측이 패소 판결에 항소하면서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에서 다시 심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재판장 김국현)는 숨진 A 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유족급여와 장의비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속했던 동호회의 가입·활동 절차는 근로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자유로웠고, 별도의 보고·승인 절차가 필요하지도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회원 가입 자격도 모든 직종의 근로자와 직계가족에게 부여돼, 해당 동호회가 특정 직종만의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사건 당일 A 씨가 동호회원들과 떨어져 자신의 지인과 음주 후 스노클링을 하는 등, 모임의 정상적 경로에서 벗어나 있었던 점도 언급했습니다.
A 씨는 2018년 8월 사내 스쿠버 동호회원들과 함께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을 방문해 스노클링을 하던 중 물에 빠져 숨졌습니다.
이에 A 씨의 유족은 업무상 재해였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공단 측은 A 씨의 스노클링이 사적인 행위에 해당해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족은 불복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유족 측이 패소 판결에 항소하면서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에서 다시 심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내 스쿠버 동호회 활동 중 익사…법원 “업무상 재해 아냐”
-
- 입력 2021-04-12 06:01:31

사내 스쿠버 동호회 활동 중 물에 빠져 숨진 근로자의 유족이,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달라며 소송을 냈지만 1심에서 패소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재판장 김국현)는 숨진 A 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유족급여와 장의비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속했던 동호회의 가입·활동 절차는 근로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자유로웠고, 별도의 보고·승인 절차가 필요하지도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회원 가입 자격도 모든 직종의 근로자와 직계가족에게 부여돼, 해당 동호회가 특정 직종만의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사건 당일 A 씨가 동호회원들과 떨어져 자신의 지인과 음주 후 스노클링을 하는 등, 모임의 정상적 경로에서 벗어나 있었던 점도 언급했습니다.
A 씨는 2018년 8월 사내 스쿠버 동호회원들과 함께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을 방문해 스노클링을 하던 중 물에 빠져 숨졌습니다.
이에 A 씨의 유족은 업무상 재해였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공단 측은 A 씨의 스노클링이 사적인 행위에 해당해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족은 불복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유족 측이 패소 판결에 항소하면서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에서 다시 심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행정법원 행정7부(재판장 김국현)는 숨진 A 씨의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유족급여와 장의비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습니다.
재판부는 A 씨가 속했던 동호회의 가입·활동 절차는 근로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자유로웠고, 별도의 보고·승인 절차가 필요하지도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회원 가입 자격도 모든 직종의 근로자와 직계가족에게 부여돼, 해당 동호회가 특정 직종만의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사건 당일 A 씨가 동호회원들과 떨어져 자신의 지인과 음주 후 스노클링을 하는 등, 모임의 정상적 경로에서 벗어나 있었던 점도 언급했습니다.
A 씨는 2018년 8월 사내 스쿠버 동호회원들과 함께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을 방문해 스노클링을 하던 중 물에 빠져 숨졌습니다.
이에 A 씨의 유족은 업무상 재해였다며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 등을 신청했습니다.
그러나 공단 측은 A 씨의 스노클링이 사적인 행위에 해당해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받아들이지 않았고, 유족은 불복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유족 측이 패소 판결에 항소하면서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에서 다시 심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채린 기자 dig@kbs.co.kr
김채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