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 4관왕에 오른 봉준호 감독이 미국 영화인들에게 '아시안 증오범죄에 대해 맞서달라'고 촉구했습니다.
ABC 방송과 dpa 통신 등은 현지시간 13일 봉 감독이 지난주 미국 캘리포니아주 채프먼 대학의 영화·미디어 예술 칼리지가 마련한 온라인 마스터클래스 수업에 객원 강사로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증오 범죄,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두려운 일"이라며 "지금 영화 산업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화를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영화는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서도 "영화인들은 이 문제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봉 감독은 영화인들이 사회적 이슈에 맞서 역할을 한 사례로 인종 차별을 주제로 다룬 영화 '똑바로 살아라'(원제 'Do The Right Thing'·1989년)를 꼽았습니다.
그는 "아시아계 증오 범죄에 맞서는 것은 사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 표면 아래에서 끓어오르는 문제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분의 통찰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나에게 '기생충'은 그런 접근 방식을 취하려고 했던 영화였다"며 "창작자와 아티스트로서 여러분은 우리 사회의 본질과 중심이 되는 질문을 꿰뚫어 봐야 하고, 작품을 통해 그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ABC 방송과 dpa 통신 등은 현지시간 13일 봉 감독이 지난주 미국 캘리포니아주 채프먼 대학의 영화·미디어 예술 칼리지가 마련한 온라인 마스터클래스 수업에 객원 강사로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증오 범죄,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두려운 일"이라며 "지금 영화 산업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화를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영화는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서도 "영화인들은 이 문제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봉 감독은 영화인들이 사회적 이슈에 맞서 역할을 한 사례로 인종 차별을 주제로 다룬 영화 '똑바로 살아라'(원제 'Do The Right Thing'·1989년)를 꼽았습니다.
그는 "아시아계 증오 범죄에 맞서는 것은 사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 표면 아래에서 끓어오르는 문제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분의 통찰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나에게 '기생충'은 그런 접근 방식을 취하려고 했던 영화였다"며 "창작자와 아티스트로서 여러분은 우리 사회의 본질과 중심이 되는 질문을 꿰뚫어 봐야 하고, 작품을 통해 그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봉준호 감독, 미 영화인에 “아시안 증오범죄 맞서달라” 촉구
-
- 입력 2021-04-14 05:18:40

영화 '기생충'으로 아카데미상 4관왕에 오른 봉준호 감독이 미국 영화인들에게 '아시안 증오범죄에 대해 맞서달라'고 촉구했습니다.
ABC 방송과 dpa 통신 등은 현지시간 13일 봉 감독이 지난주 미국 캘리포니아주 채프먼 대학의 영화·미디어 예술 칼리지가 마련한 온라인 마스터클래스 수업에 객원 강사로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증오 범죄,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두려운 일"이라며 "지금 영화 산업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화를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영화는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서도 "영화인들은 이 문제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봉 감독은 영화인들이 사회적 이슈에 맞서 역할을 한 사례로 인종 차별을 주제로 다룬 영화 '똑바로 살아라'(원제 'Do The Right Thing'·1989년)를 꼽았습니다.
그는 "아시아계 증오 범죄에 맞서는 것은 사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 표면 아래에서 끓어오르는 문제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분의 통찰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나에게 '기생충'은 그런 접근 방식을 취하려고 했던 영화였다"며 "창작자와 아티스트로서 여러분은 우리 사회의 본질과 중심이 되는 질문을 꿰뚫어 봐야 하고, 작품을 통해 그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ABC 방송과 dpa 통신 등은 현지시간 13일 봉 감독이 지난주 미국 캘리포니아주 채프먼 대학의 영화·미디어 예술 칼리지가 마련한 온라인 마스터클래스 수업에 객원 강사로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증오 범죄,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두려운 일"이라며 "지금 영화 산업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화를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영화는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서도 "영화인들은 이 문제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봉 감독은 영화인들이 사회적 이슈에 맞서 역할을 한 사례로 인종 차별을 주제로 다룬 영화 '똑바로 살아라'(원제 'Do The Right Thing'·1989년)를 꼽았습니다.
그는 "아시아계 증오 범죄에 맞서는 것은 사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 표면 아래에서 끓어오르는 문제를 묘사하기 위해 여러분의 통찰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나에게 '기생충'은 그런 접근 방식을 취하려고 했던 영화였다"며 "창작자와 아티스트로서 여러분은 우리 사회의 본질과 중심이 되는 질문을 꿰뚫어 봐야 하고, 작품을 통해 그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윤나경 기자 bellenk@kbs.co.kr
윤나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