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립미술관 2021년 소장품 구매…1인당 2점까지 신청
입력 2021.05.06 (10:50)
수정 2021.05.06 (1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원시립미술관이 미술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확립하고 미술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소장품을 수집하기 위한 작품 구매를 5월 7일(금)부터 5월 21일(금)까지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구매 대상은 △한국 및 수원의 근현대 미술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 작품, △현대미술의 흐름을 선도하는 역량 있는 국내 원로·중진·신진작가의 대표 작품,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여성미술의 흐름을 주도해 온 여성주의 작가의 대표 작품입니다.
1인당 2점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작품 구매 적정 여부와 가격은 수원시립미술관 작품수집심의위원회와 작품가격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됩니다.
신청은 수원시 홈페이지, 미술관 홈페이지(https://suma.suwon.go.kr)에서 양식을 내려받아 구비 서류 등과 함께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미술관 측은 새로 수집하는 소장품을 지속해서 보존·관리·연구하고, 앞으로 전시와 교육 등 관람객과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구매 대상은 △한국 및 수원의 근현대 미술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 작품, △현대미술의 흐름을 선도하는 역량 있는 국내 원로·중진·신진작가의 대표 작품,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여성미술의 흐름을 주도해 온 여성주의 작가의 대표 작품입니다.
1인당 2점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작품 구매 적정 여부와 가격은 수원시립미술관 작품수집심의위원회와 작품가격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됩니다.
신청은 수원시 홈페이지, 미술관 홈페이지(https://suma.suwon.go.kr)에서 양식을 내려받아 구비 서류 등과 함께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미술관 측은 새로 수집하는 소장품을 지속해서 보존·관리·연구하고, 앞으로 전시와 교육 등 관람객과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원시립미술관 2021년 소장품 구매…1인당 2점까지 신청
-
- 입력 2021-05-06 10:50:13
- 수정2021-05-06 10:51:25

수원시립미술관이 미술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확립하고 미술사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소장품을 수집하기 위한 작품 구매를 5월 7일(금)부터 5월 21일(금)까지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구매 대상은 △한국 및 수원의 근현대 미술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 작품, △현대미술의 흐름을 선도하는 역량 있는 국내 원로·중진·신진작가의 대표 작품,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여성미술의 흐름을 주도해 온 여성주의 작가의 대표 작품입니다.
1인당 2점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작품 구매 적정 여부와 가격은 수원시립미술관 작품수집심의위원회와 작품가격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됩니다.
신청은 수원시 홈페이지, 미술관 홈페이지(https://suma.suwon.go.kr)에서 양식을 내려받아 구비 서류 등과 함께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미술관 측은 새로 수집하는 소장품을 지속해서 보존·관리·연구하고, 앞으로 전시와 교육 등 관람객과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구매 대상은 △한국 및 수원의 근현대 미술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 작품, △현대미술의 흐름을 선도하는 역량 있는 국내 원로·중진·신진작가의 대표 작품,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여성미술의 흐름을 주도해 온 여성주의 작가의 대표 작품입니다.
1인당 2점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작품 구매 적정 여부와 가격은 수원시립미술관 작품수집심의위원회와 작품가격심의위원회를 거쳐 결정됩니다.
신청은 수원시 홈페이지, 미술관 홈페이지(https://suma.suwon.go.kr)에서 양식을 내려받아 구비 서류 등과 함께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미술관 측은 새로 수집하는 소장품을 지속해서 보존·관리·연구하고, 앞으로 전시와 교육 등 관람객과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 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