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이상반응 인과관계 사망자 없어…사망 평균 연령 75.9세”

입력 2021.05.06 (15:06) 수정 2021.05.06 (15: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을 신고한 사망자 사례 중 백신 접종과 이상반응의 인과관계가 인정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고 정부가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은 “지난달 30일까지 총 10차례 위원회를 열고 124건의 신고 사례 중 사망 67건, 중증 57건을 심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반은 사망 사례 67건 중 65건은 “고령과 기저질환, 패혈증과 심근경색 등의 상태에서 기인해 숨졌을 가능성이 높아 사망과 예방접종의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나머지 2건은 부검 결과를 확인 후 재심의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부검이 진행 중인 17건 역시 부검 결과가 나오면 재평가하기로 했습니다.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5.9세였고 접종 후 사망까지 평균 4.5일이 걸렸다고 조사반은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은 폐혈증과 심근경색, 뇌출혈, 뇌경색, 흡인성 폐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증 사례 57건의 평균 연령은 62.8세(범위 22세~94세)였고 고혈압과 치매, 당뇨, 뇌경색 등 기저질환이 있는 비율은 80.7%였습니다. 접종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평균 3.6일(최대 26.6일)이 걸렸습니다.

조사반은 “중증사례 중에선 이상반응과 백신 접종의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는 2건”이라고 밝혔습니다. 뇌정맥동혈전증을 진단받은 1건과 발열, 경련이 동반된 1건입니다.

중증사례 중 53건은 기저질환 등을 고려할 때 인과성을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조사반은 아나필락시스 쇼크에 폐렴과 심부전이 동반된 것으로 의심되는 건 등 2건은 심의를 보류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신 접종-이상반응 인과관계 사망자 없어…사망 평균 연령 75.9세”
    • 입력 2021-05-06 15:06:57
    • 수정2021-05-06 15:14:18
    사회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을 신고한 사망자 사례 중 백신 접종과 이상반응의 인과관계가 인정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고 정부가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은 “지난달 30일까지 총 10차례 위원회를 열고 124건의 신고 사례 중 사망 67건, 중증 57건을 심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반은 사망 사례 67건 중 65건은 “고령과 기저질환, 패혈증과 심근경색 등의 상태에서 기인해 숨졌을 가능성이 높아 사망과 예방접종의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나머지 2건은 부검 결과를 확인 후 재심의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부검이 진행 중인 17건 역시 부검 결과가 나오면 재평가하기로 했습니다.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5.9세였고 접종 후 사망까지 평균 4.5일이 걸렸다고 조사반은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은 폐혈증과 심근경색, 뇌출혈, 뇌경색, 흡인성 폐렴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증 사례 57건의 평균 연령은 62.8세(범위 22세~94세)였고 고혈압과 치매, 당뇨, 뇌경색 등 기저질환이 있는 비율은 80.7%였습니다. 접종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평균 3.6일(최대 26.6일)이 걸렸습니다.

조사반은 “중증사례 중에선 이상반응과 백신 접종의 인과성이 인정된 사례는 2건”이라고 밝혔습니다. 뇌정맥동혈전증을 진단받은 1건과 발열, 경련이 동반된 1건입니다.

중증사례 중 53건은 기저질환 등을 고려할 때 인과성을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조사반은 아나필락시스 쇼크에 폐렴과 심부전이 동반된 것으로 의심되는 건 등 2건은 심의를 보류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