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삼 국산화 시동…“국산 한약재 확보·농가소득 증대”

입력 2021.05.17 (19:28) 수정 2021.05.17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약이나 건강기능식품 주원료로 쓰는 한약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기술실용화 재단이 국산화를 시도하고 있어, 국산 한약재 확보와 농가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실 안에서 한약재이자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쓰는 '단삼'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습니다.

인삼, 고삼 등과 함께 오삼의 하나로 꼽히는데 혈압을 낮추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소비량의 91퍼센트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유은정/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대표 : "수입산은 우선 믿을 수가 없었고요. 그리고 품질이 일정치 않고 저장성에 있어서도 유통을 하는 과정 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했는지 저희는 확인할 수가 없었어요."]

밭에서 단삼 종묘를 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자체 개발한 신품종 '다산' 9만 그루를 농가에 보급한 겁니다.

이 지역 재배 면적만 1.3헥타르.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50퍼센트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홍기표/단삼 재배 농민 : "소득이 한 배는 될 것 같습니다, 다른 작물에 비해. 농촌이 이대로만 갈 수는 없고 뭔가 변화를 줘야겠다 그래서 새로운 작물을 찾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는 약용작물은 서른두 종에 백 한 개 품목, 하지만 70퍼센트 이상이 외국산으로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김병운/농업기술실용화재단 총괄본부장 : "반하, 작약, 삽주도 현재 외국에서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국내 품종들이 한약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올해 국내 시장규모만 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약용작물,

국산 약재를 확보하고 농가 소득도 올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삼 국산화 시동…“국산 한약재 확보·농가소득 증대”
    • 입력 2021-05-17 19:28:09
    • 수정2021-05-17 19:51:06
    뉴스7(전주)
[앵커]

보약이나 건강기능식품 주원료로 쓰는 한약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기술실용화 재단이 국산화를 시도하고 있어, 국산 한약재 확보와 농가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실 안에서 한약재이자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쓰는 '단삼'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습니다.

인삼, 고삼 등과 함께 오삼의 하나로 꼽히는데 혈압을 낮추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소비량의 91퍼센트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유은정/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대표 : "수입산은 우선 믿을 수가 없었고요. 그리고 품질이 일정치 않고 저장성에 있어서도 유통을 하는 과정 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했는지 저희는 확인할 수가 없었어요."]

밭에서 단삼 종묘를 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자체 개발한 신품종 '다산' 9만 그루를 농가에 보급한 겁니다.

이 지역 재배 면적만 1.3헥타르.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50퍼센트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홍기표/단삼 재배 농민 : "소득이 한 배는 될 것 같습니다, 다른 작물에 비해. 농촌이 이대로만 갈 수는 없고 뭔가 변화를 줘야겠다 그래서 새로운 작물을 찾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는 약용작물은 서른두 종에 백 한 개 품목, 하지만 70퍼센트 이상이 외국산으로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김병운/농업기술실용화재단 총괄본부장 : "반하, 작약, 삽주도 현재 외국에서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국내 품종들이 한약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더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올해 국내 시장규모만 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약용작물,

국산 약재를 확보하고 농가 소득도 올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