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가구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1년 전보다 모두 줄었습니다. 대신 정부의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이전 소득이 크게 늘어 총소득이 감소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277만 8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또 사업소득은 1.6% 줄어든 76만 7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가계 전체 소득의 약 81%를 차지합니다.
이자나 배당 수입을 포함하는 재산소득 역시 14.4% 줄어든 3만 3천 원이었습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음식, 숙박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데다 자영업 업황이 부진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해석했습니다.
가계의 근로와 사업, 재산 소득이 모두 감소했지만 이전소득은 16.5% 증가해 72만 3천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계소득 가운데 16.5%를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특히 정부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공적 이전소득은 27.9%나 증가해 49만 7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적 이전 소득은 1년 전보다 2.4% 감소했습니다.
가계가 직접 벌어들이는 돈이 줄었지만 이전 소득이 늘면서, 총소득은 0.4% 증가한 438만 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즉 2, 3, 4분위에서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었습니다. 2분위는 37%, 3분위는 29.5%, 4분위는 48.2%씩 각각 늘었습니다.
통계청은 "3, 4차 재난지원금이 소상공인 중심으로 지급되면서 자영업자 가구 비중이 높은 2·3·4분위의 공적 이전소득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상위 20%(-3.9%)와 하위 20%(-3.2%)에서 공통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도 특징적입니다. 상위 20%인 5분위의 경우 재산소득도 -28.8%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1분기 우리 가계의 소득은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지출은 다소 증가했습니다.
가계지출은 329만 2천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0.8% 증가했고, 특히 소비지출은 1.6% 늘어난 241만 9천 원이었습니다. 올해 초 내수가 개선되고 소비심리가 회복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7.3% 증가했습니다. 또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14.1% 늘어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가구 및 조명 항목이 48%나 늘며 오름세를 주도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생활이 늘면서 나타난 변화로 보입니다.
반면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모임 등이 줄면서 오락·문화는 1년 전보다 9.4% 감소했고, 교통 항목도 2.9% 줄었습니다. 음식·숙박 소비도 2.4% 감소했지만 지난 분기에 비해 감소 폭은 다소 둔화됐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7만 3천 원으로 1.3% 감소했습니다.
비소비지출이 줄면서 1분기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 1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8%, 소폭 증가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은 109만 2천 원으로 0.9% 감소했고, 흑자율도 31.1%로 2020년 1분기보다 0.5%p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를 미루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늘었을 거라는 일부의 예상과는 다소 다른 통계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통계청이 오늘(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277만 8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또 사업소득은 1.6% 줄어든 76만 7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가계 전체 소득의 약 81%를 차지합니다.
이자나 배당 수입을 포함하는 재산소득 역시 14.4% 줄어든 3만 3천 원이었습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음식, 숙박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데다 자영업 업황이 부진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해석했습니다.
가계의 근로와 사업, 재산 소득이 모두 감소했지만 이전소득은 16.5% 증가해 72만 3천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계소득 가운데 16.5%를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특히 정부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공적 이전소득은 27.9%나 증가해 49만 7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적 이전 소득은 1년 전보다 2.4% 감소했습니다.
가계가 직접 벌어들이는 돈이 줄었지만 이전 소득이 늘면서, 총소득은 0.4% 증가한 438만 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즉 2, 3, 4분위에서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었습니다. 2분위는 37%, 3분위는 29.5%, 4분위는 48.2%씩 각각 늘었습니다.
통계청은 "3, 4차 재난지원금이 소상공인 중심으로 지급되면서 자영업자 가구 비중이 높은 2·3·4분위의 공적 이전소득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상위 20%(-3.9%)와 하위 20%(-3.2%)에서 공통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도 특징적입니다. 상위 20%인 5분위의 경우 재산소득도 -28.8%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1분기 우리 가계의 소득은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지출은 다소 증가했습니다.
가계지출은 329만 2천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0.8% 증가했고, 특히 소비지출은 1.6% 늘어난 241만 9천 원이었습니다. 올해 초 내수가 개선되고 소비심리가 회복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7.3% 증가했습니다. 또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14.1% 늘어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가구 및 조명 항목이 48%나 늘며 오름세를 주도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생활이 늘면서 나타난 변화로 보입니다.
반면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모임 등이 줄면서 오락·문화는 1년 전보다 9.4% 감소했고, 교통 항목도 2.9% 줄었습니다. 음식·숙박 소비도 2.4% 감소했지만 지난 분기에 비해 감소 폭은 다소 둔화됐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7만 3천 원으로 1.3% 감소했습니다.
비소비지출이 줄면서 1분기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 1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8%, 소폭 증가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은 109만 2천 원으로 0.9% 감소했고, 흑자율도 31.1%로 2020년 1분기보다 0.5%p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를 미루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늘었을 거라는 일부의 예상과는 다소 다른 통계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분기 가계 근로·사업소득↓…가계 흑자액도 감소
-
- 입력 2021-05-20 12:03:04

올해 1분기 가구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1년 전보다 모두 줄었습니다. 대신 정부의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이전 소득이 크게 늘어 총소득이 감소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277만 8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또 사업소득은 1.6% 줄어든 76만 7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가계 전체 소득의 약 81%를 차지합니다.
이자나 배당 수입을 포함하는 재산소득 역시 14.4% 줄어든 3만 3천 원이었습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음식, 숙박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데다 자영업 업황이 부진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해석했습니다.
가계의 근로와 사업, 재산 소득이 모두 감소했지만 이전소득은 16.5% 증가해 72만 3천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계소득 가운데 16.5%를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특히 정부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공적 이전소득은 27.9%나 증가해 49만 7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적 이전 소득은 1년 전보다 2.4% 감소했습니다.
가계가 직접 벌어들이는 돈이 줄었지만 이전 소득이 늘면서, 총소득은 0.4% 증가한 438만 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즉 2, 3, 4분위에서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었습니다. 2분위는 37%, 3분위는 29.5%, 4분위는 48.2%씩 각각 늘었습니다.
통계청은 "3, 4차 재난지원금이 소상공인 중심으로 지급되면서 자영업자 가구 비중이 높은 2·3·4분위의 공적 이전소득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상위 20%(-3.9%)와 하위 20%(-3.2%)에서 공통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도 특징적입니다. 상위 20%인 5분위의 경우 재산소득도 -28.8%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1분기 우리 가계의 소득은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지출은 다소 증가했습니다.
가계지출은 329만 2천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0.8% 증가했고, 특히 소비지출은 1.6% 늘어난 241만 9천 원이었습니다. 올해 초 내수가 개선되고 소비심리가 회복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7.3% 증가했습니다. 또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14.1% 늘어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가구 및 조명 항목이 48%나 늘며 오름세를 주도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생활이 늘면서 나타난 변화로 보입니다.
반면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모임 등이 줄면서 오락·문화는 1년 전보다 9.4% 감소했고, 교통 항목도 2.9% 줄었습니다. 음식·숙박 소비도 2.4% 감소했지만 지난 분기에 비해 감소 폭은 다소 둔화됐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7만 3천 원으로 1.3% 감소했습니다.
비소비지출이 줄면서 1분기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 1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8%, 소폭 증가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은 109만 2천 원으로 0.9% 감소했고, 흑자율도 31.1%로 2020년 1분기보다 0.5%p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를 미루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늘었을 거라는 일부의 예상과는 다소 다른 통계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통계청이 오늘(20일) 발표한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277만 8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3% 감소했습니다. 또 사업소득은 1.6% 줄어든 76만 7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가계 전체 소득의 약 81%를 차지합니다.
이자나 배당 수입을 포함하는 재산소득 역시 14.4% 줄어든 3만 3천 원이었습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음식, 숙박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한 데다 자영업 업황이 부진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해석했습니다.
가계의 근로와 사업, 재산 소득이 모두 감소했지만 이전소득은 16.5% 증가해 72만 3천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계소득 가운데 16.5%를 차지하는 금액입니다. 특히 정부 재난지원금 등이 포함된 공적 이전소득은 27.9%나 증가해 49만 7천 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적 이전 소득은 1년 전보다 2.4% 감소했습니다.
가계가 직접 벌어들이는 돈이 줄었지만 이전 소득이 늘면서, 총소득은 0.4% 증가한 438만 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즉 2, 3, 4분위에서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었습니다. 2분위는 37%, 3분위는 29.5%, 4분위는 48.2%씩 각각 늘었습니다.
통계청은 "3, 4차 재난지원금이 소상공인 중심으로 지급되면서 자영업자 가구 비중이 높은 2·3·4분위의 공적 이전소득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
상위 20%(-3.9%)와 하위 20%(-3.2%)에서 공통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도 특징적입니다. 상위 20%인 5분위의 경우 재산소득도 -28.8%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1분기 우리 가계의 소득은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지출은 다소 증가했습니다.
가계지출은 329만 2천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0.8% 증가했고, 특히 소비지출은 1.6% 늘어난 241만 9천 원이었습니다. 올해 초 내수가 개선되고 소비심리가 회복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7.3% 증가했습니다. 또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14.1% 늘어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가구 및 조명 항목이 48%나 늘며 오름세를 주도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생활이 늘면서 나타난 변화로 보입니다.
반면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모임 등이 줄면서 오락·문화는 1년 전보다 9.4% 감소했고, 교통 항목도 2.9% 줄었습니다. 음식·숙박 소비도 2.4% 감소했지만 지난 분기에 비해 감소 폭은 다소 둔화됐다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87만 3천 원으로 1.3% 감소했습니다.
비소비지출이 줄면서 1분기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51만 1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8%, 소폭 증가했습니다.
다만 여기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가계 흑자액은 109만 2천 원으로 0.9% 감소했고, 흑자율도 31.1%로 2020년 1분기보다 0.5%p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를 미루면서 가계의 소비 여력이 늘었을 거라는 일부의 예상과는 다소 다른 통계입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박예원 기자 air@kbs.co.kr
박예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