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4%로 상향…기준금리는 동결
입력 2021.05.27 (09:59)
수정 2021.05.27 (1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로 올려잡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2월 전망치(3.0%)보다 1%p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최근 빠른 글로벌 경기 회복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는 예상 밖 수출 호조, 국내 소비 심리 회복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 지속, 백신 접종 확대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국내 경제도 민간 소비가 부진에서 벗어나고 고용 상황도 개선 움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 힘입어 앞으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한은의 예상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4%를 기록한다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0년(6.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게 됩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5%에서 3.0%로 0.5%포인트 상향 조정했습니다.
아울러 원유,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3%에서 1.8%로 올려 잡았습니다.
다만, 성장률과 물가전망치를 올려잡으면서도 기준금리는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수출과 투자는 기대 이상으로 좋지만, 민간 소비와 고용 시장 등은 아직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당장 금리를 올려 경기를 위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해지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고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상황에 달려 있다"며, "금리 정상화는 서둘러도 안되지만 지연 부작용도 크기 때문에 경제 회복 속도 등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2월 전망치(3.0%)보다 1%p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최근 빠른 글로벌 경기 회복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는 예상 밖 수출 호조, 국내 소비 심리 회복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 지속, 백신 접종 확대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국내 경제도 민간 소비가 부진에서 벗어나고 고용 상황도 개선 움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 힘입어 앞으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한은의 예상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4%를 기록한다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0년(6.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게 됩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5%에서 3.0%로 0.5%포인트 상향 조정했습니다.
아울러 원유,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3%에서 1.8%로 올려 잡았습니다.
다만, 성장률과 물가전망치를 올려잡으면서도 기준금리는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수출과 투자는 기대 이상으로 좋지만, 민간 소비와 고용 시장 등은 아직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당장 금리를 올려 경기를 위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해지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고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상황에 달려 있다"며, "금리 정상화는 서둘러도 안되지만 지연 부작용도 크기 때문에 경제 회복 속도 등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4%로 상향…기준금리는 동결
-
- 입력 2021-05-27 09:59:38
- 수정2021-05-27 12:38:55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로 올려잡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2월 전망치(3.0%)보다 1%p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최근 빠른 글로벌 경기 회복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는 예상 밖 수출 호조, 국내 소비 심리 회복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 지속, 백신 접종 확대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국내 경제도 민간 소비가 부진에서 벗어나고 고용 상황도 개선 움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 힘입어 앞으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한은의 예상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4%를 기록한다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0년(6.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게 됩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5%에서 3.0%로 0.5%포인트 상향 조정했습니다.
아울러 원유,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3%에서 1.8%로 올려 잡았습니다.
다만, 성장률과 물가전망치를 올려잡으면서도 기준금리는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수출과 투자는 기대 이상으로 좋지만, 민간 소비와 고용 시장 등은 아직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당장 금리를 올려 경기를 위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해지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고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상황에 달려 있다"며, "금리 정상화는 서둘러도 안되지만 지연 부작용도 크기 때문에 경제 회복 속도 등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2월 전망치(3.0%)보다 1%p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최근 빠른 글로벌 경기 회복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는 예상 밖 수출 호조, 국내 소비 심리 회복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주요국의 경기부양책 지속, 백신 접종 확대로 세계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국내 경제도 민간 소비가 부진에서 벗어나고 고용 상황도 개선 움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런 상황에 힘입어 앞으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한은의 예상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4%를 기록한다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0년(6.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게 됩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5%에서 3.0%로 0.5%포인트 상향 조정했습니다.
아울러 원유,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3%에서 1.8%로 올려 잡았습니다.
다만, 성장률과 물가전망치를 올려잡으면서도 기준금리는 연 0.5%로 동결했습니다.
수출과 투자는 기대 이상으로 좋지만, 민간 소비와 고용 시장 등은 아직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당장 금리를 올려 경기를 위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해지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고 수요 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상황에 달려 있다"며, "금리 정상화는 서둘러도 안되지만 지연 부작용도 크기 때문에 경제 회복 속도 등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