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전초 기지화?…‘기대 반 우려 반’

입력 2021.05.31 (21:42) 수정 2021.05.31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전환은 피해갈 수 없는 흐름이지만, 세심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막연한 기대감으로는 장밋빛 청사진에 그칠 우려도 큰데요.

계속해서 안태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RE300은 소비 전력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 에너지 자립을 이루는 RE100의 확장 개념으로, 200% 초과 생산해 지역에서 소비하고 남은 에너지를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전북과 전남, 광주를 전초 기지로 삼아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을 높이고, 나아가 탄소 중립 실현에 앞장서겠다는 취지인데,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 제주도입니다.

전력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지난해에만 일흔 차례 넘게 풍력 발전기를 강제로 멈춰 세웠습니다.

전력이 부족해도 문제지만, 남는 전기를 그냥 흘려보내는 경우에도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려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자력과 화력 발전 등에 치우친 지금의 전력 계통을 개선하지 않는 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은 청사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호영/민주당 의원 : "재생에너지는 변동성 문제로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대안을 이제 고민해야 하죠. 유럽에서는 ESS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 물을 전기 분해하는 그린 수소를 통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고민을 하고 있죠."]

남아도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다른 지역에 보내려면, 송전 설비를 새로 갖춰야 하는데, 이미 경험했듯 대규모 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전국이 골고루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려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정부 정책 방향과 배치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병/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우리가 생산하는 전기를 외부에서 쓰면서 우리 지역 안에서의 갈등은 커지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스스로 모든 지역이 RE100이 되어야 하지, RE300, RE500 해서 외부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권역으로 묶여 있지만, 상대적으로 산업 기반이 취약한 전북이 광주, 전남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기 위한 치밀한 대응 전략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재생에너지 전초 기지화?…‘기대 반 우려 반’
    • 입력 2021-05-31 21:42:26
    • 수정2021-05-31 22:08:56
    뉴스9(전주)
[앵커]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전환은 피해갈 수 없는 흐름이지만, 세심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막연한 기대감으로는 장밋빛 청사진에 그칠 우려도 큰데요.

계속해서 안태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RE300은 소비 전력의 100%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 에너지 자립을 이루는 RE100의 확장 개념으로, 200% 초과 생산해 지역에서 소비하고 남은 에너지를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전북과 전남, 광주를 전초 기지로 삼아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을 높이고, 나아가 탄소 중립 실현에 앞장서겠다는 취지인데,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 제주도입니다.

전력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지난해에만 일흔 차례 넘게 풍력 발전기를 강제로 멈춰 세웠습니다.

전력이 부족해도 문제지만, 남는 전기를 그냥 흘려보내는 경우에도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려 대규모 정전 사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자력과 화력 발전 등에 치우친 지금의 전력 계통을 개선하지 않는 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은 청사진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안호영/민주당 의원 : "재생에너지는 변동성 문제로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대안을 이제 고민해야 하죠. 유럽에서는 ESS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 물을 전기 분해하는 그린 수소를 통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고민을 하고 있죠."]

남아도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다른 지역에 보내려면, 송전 설비를 새로 갖춰야 하는데, 이미 경험했듯 대규모 송전탑 건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전국이 골고루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려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정부 정책 방향과 배치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재병/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우리가 생산하는 전기를 외부에서 쓰면서 우리 지역 안에서의 갈등은 커지는 문제들이 있습니다. 스스로 모든 지역이 RE100이 되어야 하지, RE300, RE500 해서 외부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은 재생에너지 전환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권역으로 묶여 있지만, 상대적으로 산업 기반이 취약한 전북이 광주, 전남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기 위한 치밀한 대응 전략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안태성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