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일요일이어도 괜찮아”…대체휴일 확대법안 추진

입력 2021.06.04 (19:10) 수정 2021.06.04 (19: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21년 올해 휴일 수는 지난해보다 이틀, 재작년보다는 사흘이 적은데, 공휴일이 유독 주말과 겹치는 날이 많기 때문입니다.

국회에선 이렇게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경우 그 다음 평일을 쉬게 해주는 대체공휴일제, 확대 법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빠르면 이번 광복절부터도 적용될 수도 있는데, 사회적 논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노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당장 모레 현충일은 일요일.

그 뒤로 남은 광복절과 개천절, 한글날과 크리스마스까지도 올해는 모두 토요일 아니면 일요일입니다.

이럴 경우, 그 다음 월요일을 대체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법안이 여러 건 제출돼 국회에서 논의 중입니다.

지금은 설과 추석, 어린이날에만 대체공휴일이 생기는데 이 범위를 모든 휴일로 넓히는 겁니다.

명분은 내수 진작과 경제 활성화입니다.

지난해 광복절이 토요일이었을 때 그 다음 월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는데, 4조 2천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를 거뒀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앞으로 백신 접종이 확대돼 외부 활동이 그나마 자유로워지고 이때 대체 공휴일이 늘면 식당, 숙박업 같은 코로나 피해 업종에서 소비 진작과 고용 유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강병원/민주당 국회의원 : "잘 쉬어야 일도 잘할 수 있고 국내 경기도 좋아집니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손실보상금 지급, 대체 공휴일 확대로 경기 회복, 수출 증대의 과실을 국민과 함께 누리도록 합시다."]

관련 법안은 여야 의원 여럿이 제출했고, 여야 간 이견도 없어 서두르면 이번 달 국회를 통과해 광복절부터 적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재계 쪽에선 법률 검토 중으로 아직 특별한 입장은 없다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인건비가 늘어난다는 우려가 있어 사회적 논의는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 박찬걸/영상편집:안영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복절, 일요일이어도 괜찮아”…대체휴일 확대법안 추진
    • 입력 2021-06-04 19:10:36
    • 수정2021-06-04 19:44:39
    뉴스 7
[앵커]

2021년 올해 휴일 수는 지난해보다 이틀, 재작년보다는 사흘이 적은데, 공휴일이 유독 주말과 겹치는 날이 많기 때문입니다.

국회에선 이렇게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경우 그 다음 평일을 쉬게 해주는 대체공휴일제, 확대 법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빠르면 이번 광복절부터도 적용될 수도 있는데, 사회적 논의도 필요해 보입니다.

노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당장 모레 현충일은 일요일.

그 뒤로 남은 광복절과 개천절, 한글날과 크리스마스까지도 올해는 모두 토요일 아니면 일요일입니다.

이럴 경우, 그 다음 월요일을 대체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법안이 여러 건 제출돼 국회에서 논의 중입니다.

지금은 설과 추석, 어린이날에만 대체공휴일이 생기는데 이 범위를 모든 휴일로 넓히는 겁니다.

명분은 내수 진작과 경제 활성화입니다.

지난해 광복절이 토요일이었을 때 그 다음 월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했는데, 4조 2천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를 거뒀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앞으로 백신 접종이 확대돼 외부 활동이 그나마 자유로워지고 이때 대체 공휴일이 늘면 식당, 숙박업 같은 코로나 피해 업종에서 소비 진작과 고용 유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강병원/민주당 국회의원 : "잘 쉬어야 일도 잘할 수 있고 국내 경기도 좋아집니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손실보상금 지급, 대체 공휴일 확대로 경기 회복, 수출 증대의 과실을 국민과 함께 누리도록 합시다."]

관련 법안은 여야 의원 여럿이 제출했고, 여야 간 이견도 없어 서두르면 이번 달 국회를 통과해 광복절부터 적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재계 쪽에선 법률 검토 중으로 아직 특별한 입장은 없다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인건비가 늘어난다는 우려가 있어 사회적 논의는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촬영기자:최연송 박찬걸/영상편집:안영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