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들, 중국 집단견제·지구촌 백신보급 촉진 결의

입력 2021.06.14 (09:42) 수정 2021.06.14 (0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7개국 G7 정상들이 2년 만에 머리를 맞댄 자리에서 서방과 지구촌이 직면한 공통적 난제의 해결을 결의했습니다.

기존 국제질서를 급속도로 변형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공동전선을 구축하기로 하고,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보건 파탄과 경기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도 제시했습니다.

G7 정상들은 현지시간으로 13일 영국 콘월의 카비스 베이에서 열린 정상회의 뒤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의제설정을 주도한 이번 정상회의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서방식 민주주의 부흥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들 정상은 중국의 홍콩 자치권 훼손, 신장(新疆)웨이우얼 자치구 인권탄압 논란, 대만 민주주의 위협 등을 거론하며 공동의 공세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성명은 구체적으로 중국에 신장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존중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홍콩반환협정 및 홍콩 기본법이 보장하는 홍콩의 권리와 자유, 고도의 자치를 보장해야 한다는 요구도 내놨습니다.

정상들은 또 공세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는 코로나19의 기원도 규명하기로 결의했습니다.

G7 정상은 "적절하고 투명하며 전문가가 이끄는 과학에 기반을 둔 조사"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재조사를 촉구했습니다.

현재 지구촌 최대 난제인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의 종식을 위해 정상들은 백신 보급을 촉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들 국가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코로나19 백신 10억회분을 추가로 확보해 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프리카에서의 백신 생산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제거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그러나 성명은 그러나 백신 지식재산권 한시적 면제와 관련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 논의에 적극 참여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선에서 그쳤고 국가별 백신 기부 규모나 구체적인 일정 등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G7 정상들은 미래에 또 발생할지도 모를 팬데믹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보건안보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행동에 즉각 나서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정상회의를 주재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화학무기 통제를 위한 시스템처럼 향후 대규모 발병 시 조사 수행 권한을 가진 글로벌 기구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G7 정상들은 또 지난주 G7 재무장관들이 다국적 기업의 조세 회피를 막기 위해 글로벌 법인세 최저 세율을 적어도 15%로 두기로 합의한 안을 승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G7 정상들, 중국 집단견제·지구촌 백신보급 촉진 결의
    • 입력 2021-06-14 09:42:54
    • 수정2021-06-14 09:46:46
    국제
주요 7개국 G7 정상들이 2년 만에 머리를 맞댄 자리에서 서방과 지구촌이 직면한 공통적 난제의 해결을 결의했습니다.

기존 국제질서를 급속도로 변형하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공동전선을 구축하기로 하고,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보건 파탄과 경기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도 제시했습니다.

G7 정상들은 현지시간으로 13일 영국 콘월의 카비스 베이에서 열린 정상회의 뒤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의제설정을 주도한 이번 정상회의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서방식 민주주의 부흥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들 정상은 중국의 홍콩 자치권 훼손, 신장(新疆)웨이우얼 자치구 인권탄압 논란, 대만 민주주의 위협 등을 거론하며 공동의 공세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성명은 구체적으로 중국에 신장의 인권과 기본적인 자유를 존중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홍콩반환협정 및 홍콩 기본법이 보장하는 홍콩의 권리와 자유, 고도의 자치를 보장해야 한다는 요구도 내놨습니다.

정상들은 또 공세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는 코로나19의 기원도 규명하기로 결의했습니다.

G7 정상은 "적절하고 투명하며 전문가가 이끄는 과학에 기반을 둔 조사"가 필요하다며 코로나19 기원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재조사를 촉구했습니다.

현재 지구촌 최대 난제인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의 종식을 위해 정상들은 백신 보급을 촉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들 국가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코로나19 백신 10억회분을 추가로 확보해 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프리카에서의 백신 생산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제거하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그러나 성명은 그러나 백신 지식재산권 한시적 면제와 관련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 논의에 적극 참여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선에서 그쳤고 국가별 백신 기부 규모나 구체적인 일정 등은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G7 정상들은 미래에 또 발생할지도 모를 팬데믹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보건안보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행동에 즉각 나서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정상회의를 주재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화학무기 통제를 위한 시스템처럼 향후 대규모 발병 시 조사 수행 권한을 가진 글로벌 기구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G7 정상들은 또 지난주 G7 재무장관들이 다국적 기업의 조세 회피를 막기 위해 글로벌 법인세 최저 세율을 적어도 15%로 두기로 합의한 안을 승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