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故 이선호 대책위, 항만운영사 고용 형태 등 전수조사 촉구
입력 2021.06.14 (17:54) 수정 2021.06.14 (18:45) 사회
故 이선호 군 산재사망사고 대책위원회가 항만운영사들의 고용 형태와 근로 조건 등에 대한 전수 조사를 촉구했습니다.
대책위는 오늘(14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을 전수 조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이 군의 아버지 이재훈 씨는 평택항에서 8년 동안 똑같은 일을 하며 작업반장 역할까지 해왔지만, 정규직은 커녕 아직 일용직 노동자"라며 "더 놀라운 것은 이 씨가 일당에서 매일 소개료와 식대를 떼였다는 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책위에 따르면 인력공급 노동자들은 사실상 정규직처럼 근무를 해도 주휴수당은 물론 연차휴가나 퇴직금도 제대로 받을 수 없고, 4대 보험도 지역가입자로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위는 동방과 인력공급 업체 사이의 계약 관계와 근로 조건 등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 전수 조사, 부실 항만 관리감독 개선을 위한 항만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요구했습니다.
대책위는 오늘(14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을 전수 조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이 군의 아버지 이재훈 씨는 평택항에서 8년 동안 똑같은 일을 하며 작업반장 역할까지 해왔지만, 정규직은 커녕 아직 일용직 노동자"라며 "더 놀라운 것은 이 씨가 일당에서 매일 소개료와 식대를 떼였다는 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책위에 따르면 인력공급 노동자들은 사실상 정규직처럼 근무를 해도 주휴수당은 물론 연차휴가나 퇴직금도 제대로 받을 수 없고, 4대 보험도 지역가입자로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위는 동방과 인력공급 업체 사이의 계약 관계와 근로 조건 등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 전수 조사, 부실 항만 관리감독 개선을 위한 항만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요구했습니다.
- 故 이선호 대책위, 항만운영사 고용 형태 등 전수조사 촉구
-
- 입력 2021-06-14 17:54:05
- 수정2021-06-14 18:45:37

故 이선호 군 산재사망사고 대책위원회가 항만운영사들의 고용 형태와 근로 조건 등에 대한 전수 조사를 촉구했습니다.
대책위는 오늘(14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을 전수 조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이 군의 아버지 이재훈 씨는 평택항에서 8년 동안 똑같은 일을 하며 작업반장 역할까지 해왔지만, 정규직은 커녕 아직 일용직 노동자"라며 "더 놀라운 것은 이 씨가 일당에서 매일 소개료와 식대를 떼였다는 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책위에 따르면 인력공급 노동자들은 사실상 정규직처럼 근무를 해도 주휴수당은 물론 연차휴가나 퇴직금도 제대로 받을 수 없고, 4대 보험도 지역가입자로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위는 동방과 인력공급 업체 사이의 계약 관계와 근로 조건 등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 전수 조사, 부실 항만 관리감독 개선을 위한 항만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요구했습니다.
대책위는 오늘(14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을 전수 조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이 군의 아버지 이재훈 씨는 평택항에서 8년 동안 똑같은 일을 하며 작업반장 역할까지 해왔지만, 정규직은 커녕 아직 일용직 노동자"라며 "더 놀라운 것은 이 씨가 일당에서 매일 소개료와 식대를 떼였다는 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책위에 따르면 인력공급 노동자들은 사실상 정규직처럼 근무를 해도 주휴수당은 물론 연차휴가나 퇴직금도 제대로 받을 수 없고, 4대 보험도 지역가입자로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책위는 동방과 인력공급 업체 사이의 계약 관계와 근로 조건 등 5대 항만운영사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4대 보험 가입현황 전수 조사, 부실 항만 관리감독 개선을 위한 항만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요구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김용덕 기자 kospirit@kbs.co.kr
김용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