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땅 빌려줬더니 암석 채취해 팔아 넘겨…축구장 면적 2개 넓이 훼손
입력 2021.06.14 (19:09) 수정 2021.06.14 (19:49) 뉴스7(제주)
[앵커]
최근 자치경찰이 2공항 예정지 일대를 비롯해 투기 목적의 임야 훼손 사례를 무더기 적발했는데요,
KBS는 이 같은 산림과 임야 불법 훼손을 막기 위해 혀를 내두르게 하는 임야 훼손 현장과 수법을 기획 보도를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감자 농사를 짓겠다며 건물 2, 3층 높이로 땅을 깎아내고 커다란 돌을 파내 판매한 현장을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5살 부 모 씨가 감자를 심겠다며 모 재단으로부터 임대한 임야입니다.
감자는 온데간데없고 대형 굴착기와 거대한 암석만 수북이 쌓여있습니다.
땅의 한쪽 면은 면도날로 베어낸 듯 매끈하게 잘려나갔습니다.
부 씨가 굴착기 기사와 짜고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중장비를 동원해 도로를 뚫고, 평탄화 작업을 하며 임야 16,000여㎡를 훼손한 겁니다.
산지 훼손도 모자라 이처럼 판매 목적으로 암석을 불법으로 절토하기도 했는데요.
확인된 것만 2만여 톤, 시가로 9,200만 원 상당입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불법 진입로를 이용해 덤프트럭에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암석 4,000여 톤, 1,300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순호/제주자치경찰단 기획수사팀장 : "공간정보 시스템을 활용해서 과거 형상하고 현재 형상을 비교해서 훼손된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드론 수색과 현장 수사 활동을 통해서 적발하게 됐습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이들을 산지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재단 측은 부 씨와 계약을 해지하고, 수사결과를 토대로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
최근 자치경찰이 2공항 예정지 일대를 비롯해 투기 목적의 임야 훼손 사례를 무더기 적발했는데요,
KBS는 이 같은 산림과 임야 불법 훼손을 막기 위해 혀를 내두르게 하는 임야 훼손 현장과 수법을 기획 보도를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감자 농사를 짓겠다며 건물 2, 3층 높이로 땅을 깎아내고 커다란 돌을 파내 판매한 현장을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5살 부 모 씨가 감자를 심겠다며 모 재단으로부터 임대한 임야입니다.
감자는 온데간데없고 대형 굴착기와 거대한 암석만 수북이 쌓여있습니다.
땅의 한쪽 면은 면도날로 베어낸 듯 매끈하게 잘려나갔습니다.
부 씨가 굴착기 기사와 짜고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중장비를 동원해 도로를 뚫고, 평탄화 작업을 하며 임야 16,000여㎡를 훼손한 겁니다.
산지 훼손도 모자라 이처럼 판매 목적으로 암석을 불법으로 절토하기도 했는데요.
확인된 것만 2만여 톤, 시가로 9,200만 원 상당입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불법 진입로를 이용해 덤프트럭에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암석 4,000여 톤, 1,300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순호/제주자치경찰단 기획수사팀장 : "공간정보 시스템을 활용해서 과거 형상하고 현재 형상을 비교해서 훼손된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드론 수색과 현장 수사 활동을 통해서 적발하게 됐습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이들을 산지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재단 측은 부 씨와 계약을 해지하고, 수사결과를 토대로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
- 땅 빌려줬더니 암석 채취해 팔아 넘겨…축구장 면적 2개 넓이 훼손
-
- 입력 2021-06-14 19:09:54
- 수정2021-06-14 19:49:39

[앵커]
최근 자치경찰이 2공항 예정지 일대를 비롯해 투기 목적의 임야 훼손 사례를 무더기 적발했는데요,
KBS는 이 같은 산림과 임야 불법 훼손을 막기 위해 혀를 내두르게 하는 임야 훼손 현장과 수법을 기획 보도를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감자 농사를 짓겠다며 건물 2, 3층 높이로 땅을 깎아내고 커다란 돌을 파내 판매한 현장을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5살 부 모 씨가 감자를 심겠다며 모 재단으로부터 임대한 임야입니다.
감자는 온데간데없고 대형 굴착기와 거대한 암석만 수북이 쌓여있습니다.
땅의 한쪽 면은 면도날로 베어낸 듯 매끈하게 잘려나갔습니다.
부 씨가 굴착기 기사와 짜고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중장비를 동원해 도로를 뚫고, 평탄화 작업을 하며 임야 16,000여㎡를 훼손한 겁니다.
산지 훼손도 모자라 이처럼 판매 목적으로 암석을 불법으로 절토하기도 했는데요.
확인된 것만 2만여 톤, 시가로 9,200만 원 상당입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불법 진입로를 이용해 덤프트럭에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암석 4,000여 톤, 1,300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순호/제주자치경찰단 기획수사팀장 : "공간정보 시스템을 활용해서 과거 형상하고 현재 형상을 비교해서 훼손된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드론 수색과 현장 수사 활동을 통해서 적발하게 됐습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이들을 산지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재단 측은 부 씨와 계약을 해지하고, 수사결과를 토대로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
최근 자치경찰이 2공항 예정지 일대를 비롯해 투기 목적의 임야 훼손 사례를 무더기 적발했는데요,
KBS는 이 같은 산림과 임야 불법 훼손을 막기 위해 혀를 내두르게 하는 임야 훼손 현장과 수법을 기획 보도를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순서로 감자 농사를 짓겠다며 건물 2, 3층 높이로 땅을 깎아내고 커다란 돌을 파내 판매한 현장을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55살 부 모 씨가 감자를 심겠다며 모 재단으로부터 임대한 임야입니다.
감자는 온데간데없고 대형 굴착기와 거대한 암석만 수북이 쌓여있습니다.
땅의 한쪽 면은 면도날로 베어낸 듯 매끈하게 잘려나갔습니다.
부 씨가 굴착기 기사와 짜고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중장비를 동원해 도로를 뚫고, 평탄화 작업을 하며 임야 16,000여㎡를 훼손한 겁니다.
산지 훼손도 모자라 이처럼 판매 목적으로 암석을 불법으로 절토하기도 했는데요.
확인된 것만 2만여 톤, 시가로 9,200만 원 상당입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불법 진입로를 이용해 덤프트럭에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암석 4,000여 톤, 1,300만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순호/제주자치경찰단 기획수사팀장 : "공간정보 시스템을 활용해서 과거 형상하고 현재 형상을 비교해서 훼손된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드론 수색과 현장 수사 활동을 통해서 적발하게 됐습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이들을 산지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재단 측은 부 씨와 계약을 해지하고, 수사결과를 토대로 손해배상 청구 등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허수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7(제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