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기획]④ 소나기만 피해가는 ‘대책’…반복되는 ‘재난’

입력 2021.06.17 (19:15) 수정 2021.06.17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형 재난이 생기면 모두 앞다퉈 대책을 쏟아내는데 왜 재난은 늘 되풀이되는 걸까요?

KBS부산이 준비한 재난기획,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재난 대책, 얼마나 내실 있게 추진되고 있는지, 정민규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곳곳이 물에 잠기며 부산 도심은 마비가 됐습니다.

쏟아지는 신고 전화에 119 역시 먹통이 됐습니다.

평상시보다 56배 많은 3천백여 건의 전화가 한꺼번에 몰려 신고 접수도 할 수 없었습니다.

[구경민/침수 피해 주민/지난해 7월 : "막상 진짜 내가 당하니까 당황스럽더라고요. 할 데가 전화밖에 없는 거니까. (119에) 전화를 했는데 전화 통화가 안 되니까 그 부분이 제일 당황스럽죠."]

평소 22대로 운영하던 전화 접수대를 급히 67대로 늘렸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올해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조형제/부산소방재난본부 상황분석팀장 : "인명피해 관련 긴급신고 대응에 주력하기 위해서 비긴급신고, 재산피해 관련 비긴급신고는 유관 기관 이송을 통한 해결로 해소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소방청은 지난해 신고가 폭주하면 가까운 시도 119상황실이 함께 대응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또, 예산이 문제입니다.

7년 전, 우장춘 지하차도 참사 때도 119 비상 접수와 백업센터 구축 계획을 세웠지만 흐지부지됐습니다.

역시 예산이 없어섭니다.

문제는 단순히 신고 전화를 많이 받는대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현장 대응 인력의 체계적인 훈련이 없다면 정작 실제 닥쳐온 재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부산시의회는 재난 현장의 대응 역량을 키우겠다며 조례를 만들었지만, 그뿐입니다.

가상의 환경에서 재난 대응 교육을 하겠다고 했지만 부산에는 시설 자체가 없는 상황.

'재난현장 대응역량 강화센터' 구축 계획도 예산 문제로 시행 시기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류상일/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 : "소위 말하는 땜질식의 그런 대책들만 제시하고, 향후 몇 년 지나고 나서 그 대책들이 정말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보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냥 흉내만 내는 거죠."]

대책 수립은 재난 예방을 위한 시작일뿐 끝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난기획]④ 소나기만 피해가는 ‘대책’…반복되는 ‘재난’
    • 입력 2021-06-17 19:15:50
    • 수정2021-06-17 19:51:48
    뉴스7(부산)
[앵커]

대형 재난이 생기면 모두 앞다퉈 대책을 쏟아내는데 왜 재난은 늘 되풀이되는 걸까요?

KBS부산이 준비한 재난기획,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재난 대책, 얼마나 내실 있게 추진되고 있는지, 정민규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7월, 집중호우로 곳곳이 물에 잠기며 부산 도심은 마비가 됐습니다.

쏟아지는 신고 전화에 119 역시 먹통이 됐습니다.

평상시보다 56배 많은 3천백여 건의 전화가 한꺼번에 몰려 신고 접수도 할 수 없었습니다.

[구경민/침수 피해 주민/지난해 7월 : "막상 진짜 내가 당하니까 당황스럽더라고요. 할 데가 전화밖에 없는 거니까. (119에) 전화를 했는데 전화 통화가 안 되니까 그 부분이 제일 당황스럽죠."]

평소 22대로 운영하던 전화 접수대를 급히 67대로 늘렸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올해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조형제/부산소방재난본부 상황분석팀장 : "인명피해 관련 긴급신고 대응에 주력하기 위해서 비긴급신고, 재산피해 관련 비긴급신고는 유관 기관 이송을 통한 해결로 해소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소방청은 지난해 신고가 폭주하면 가까운 시도 119상황실이 함께 대응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또, 예산이 문제입니다.

7년 전, 우장춘 지하차도 참사 때도 119 비상 접수와 백업센터 구축 계획을 세웠지만 흐지부지됐습니다.

역시 예산이 없어섭니다.

문제는 단순히 신고 전화를 많이 받는대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현장 대응 인력의 체계적인 훈련이 없다면 정작 실제 닥쳐온 재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부산시의회는 재난 현장의 대응 역량을 키우겠다며 조례를 만들었지만, 그뿐입니다.

가상의 환경에서 재난 대응 교육을 하겠다고 했지만 부산에는 시설 자체가 없는 상황.

'재난현장 대응역량 강화센터' 구축 계획도 예산 문제로 시행 시기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류상일/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 : "소위 말하는 땜질식의 그런 대책들만 제시하고, 향후 몇 년 지나고 나서 그 대책들이 정말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보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냥 흉내만 내는 거죠."]

대책 수립은 재난 예방을 위한 시작일뿐 끝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