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이나 8.15 광복절이 되면, 부산에서도 독립운동가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추모행사가 열리는데요. 공식 추모공간이 독립운동가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부산광복기념관'입니다.
1876년 부산항 개항부터 1945년 8.15 광복까지 일제 침략과 부산지역 독립 투쟁 역사가
기록된 곳인데, 숭고한 민족정신과 부산의 광복·독립투쟁 역사를 알리고자 지난 1999년 6월에 지어졌습니다.
하지만 부산광복기념관은 접근성이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부산 보수산의 중턱, 민주공원 내 외딴 곳에 있어서 시민들의 발길이 닿기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내부 추모공간마저 비좁습니다. 기념관 2층에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등 부산지역 독립운동가 451명의 위패가 안치돼 있습니다. 그런데 위패봉안소 내부는 불과 30㎡. 고시원 방 3개 정도의 공간입니다.
매년 3.1절과 8.15 광복절이 되면 부산의 공식 추모행사가 치러지는데, 내부가 너무 좁아, 정작, 독립운동가 유족들마저 이 추모공간 안에 들어와서 헌화조차 제대로 못 하는 실정입니다.
공식 추모행사 때 유족만 최소 100여 명이 찾는데, 헌화나 헌향이라도 하려면 1시간 넘게 기다려야 합니다.

전시 유물의 규모와 상태도 아쉽습니다.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보안이 취약하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부산의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이 광복관에 숨겨둔 유물을 기증하지 않고 있습니다.
기증 유물이나 유품이 없다 보니 사실상, 부산의 독립운동사 연구도 멈췄습니다. 시설 운영에 쓸 돈도 거의 없습니다. 당연히, 전문 학예사도 없습니다.
그래서 역사 프로그램 운영이나 기획 전시도 사라졌습니다. 볼거리 전시 유품들은 20년 넘게, 개관 때 그대로입니다.

이런 열악한 상황이 알려지자, 광복기념관을 확장 이전하자는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국가보훈처와 부산시, 광복회 부산시지부는 여러 세대 후손들이 언제라도 찾아 추모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독립운동기념공원'을 짓자는 데 공감하고, 이제 막 연구용역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건립 후보지입니다. 부산시가 부산대 연구팀에 의뢰해 후보지 곳곳을 물색 중입니다.
부산시민공원과 수미르공원, 열린행사장, 동래사적공원은 물론 55보급창, 에코델타시티, 범천기지창까지 후보지에 올랐지만, 조건에 딱 맞는 후보지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건립 비용도 난제입니다. 국가보훈처와 부산시가 조율을 거쳐 국비와 시비를 어떻게 분담할지, 숙제가 남았습니다.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의 투쟁과 헌신, 이를 기억하기 위한 노력이 늦게나마, 부산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그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이 절실합니다.
촬영기자: 김기태 그래픽: 최유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좁고 외딴 ‘부산광복기념관’…시민 발길도 끊겨
-
- 입력 2021-06-23 09:05:34

3.1절이나 8.15 광복절이 되면, 부산에서도 독립운동가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추모행사가 열리는데요. 공식 추모공간이 독립운동가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부산광복기념관'입니다.
1876년 부산항 개항부터 1945년 8.15 광복까지 일제 침략과 부산지역 독립 투쟁 역사가
기록된 곳인데, 숭고한 민족정신과 부산의 광복·독립투쟁 역사를 알리고자 지난 1999년 6월에 지어졌습니다.
하지만 부산광복기념관은 접근성이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부산 보수산의 중턱, 민주공원 내 외딴 곳에 있어서 시민들의 발길이 닿기 쉽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내부 추모공간마저 비좁습니다. 기념관 2층에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등 부산지역 독립운동가 451명의 위패가 안치돼 있습니다. 그런데 위패봉안소 내부는 불과 30㎡. 고시원 방 3개 정도의 공간입니다.
매년 3.1절과 8.15 광복절이 되면 부산의 공식 추모행사가 치러지는데, 내부가 너무 좁아, 정작, 독립운동가 유족들마저 이 추모공간 안에 들어와서 헌화조차 제대로 못 하는 실정입니다.
공식 추모행사 때 유족만 최소 100여 명이 찾는데, 헌화나 헌향이라도 하려면 1시간 넘게 기다려야 합니다.

전시 유물의 규모와 상태도 아쉽습니다.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보안이 취약하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부산의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이 광복관에 숨겨둔 유물을 기증하지 않고 있습니다.
기증 유물이나 유품이 없다 보니 사실상, 부산의 독립운동사 연구도 멈췄습니다. 시설 운영에 쓸 돈도 거의 없습니다. 당연히, 전문 학예사도 없습니다.
그래서 역사 프로그램 운영이나 기획 전시도 사라졌습니다. 볼거리 전시 유품들은 20년 넘게, 개관 때 그대로입니다.

이런 열악한 상황이 알려지자, 광복기념관을 확장 이전하자는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국가보훈처와 부산시, 광복회 부산시지부는 여러 세대 후손들이 언제라도 찾아 추모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독립운동기념공원'을 짓자는 데 공감하고, 이제 막 연구용역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큰 걸림돌은 건립 후보지입니다. 부산시가 부산대 연구팀에 의뢰해 후보지 곳곳을 물색 중입니다.
부산시민공원과 수미르공원, 열린행사장, 동래사적공원은 물론 55보급창, 에코델타시티, 범천기지창까지 후보지에 올랐지만, 조건에 딱 맞는 후보지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건립 비용도 난제입니다. 국가보훈처와 부산시가 조율을 거쳐 국비와 시비를 어떻게 분담할지, 숙제가 남았습니다.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의 투쟁과 헌신, 이를 기억하기 위한 노력이 늦게나마, 부산에서도 시작됐습니다.
그 결실을 볼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이 절실합니다.
촬영기자: 김기태 그래픽: 최유리
-
-
노준철 기자 argos@kbs.co.kr
노준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