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민주당 가상자산TF 출범…“시장참여자 보호 위한 입법 마련”
입력 2021.06.23 (10:26) 수정 2021.06.23 (10:31) 정치
민주당은 오늘(23일) 국회에서 가상자산 TF 제1차 회의를 열고,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를 보호하고, 관련 사업 육성을 위해 입법안 마련에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

민주당 박완주 정책위의장은 TF 회의 전 모두발언을 통해 가상자산 시장 신규투자가 청년층 중심으로 이뤄져 이들에게 투자손실이 집중될 수 있다면서, 당내 다양한 의견을 빠르게 취합하고 국회 차원의 대안을 마련해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유동수 가상자산 TF 단장도 유사수신 등 정부의 가상자산 관련 불공정거래 단속 등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제도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속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최근 가상자산 거래 가격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소위 ‘먹튀’ 등 거래 참여자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하고, 가장자산 이용자 보호와 산업적 측면까지 다 고려한 법과 제도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TF에는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국무조정실, 경찰청 등 가상자산 관련 정부 부처 관계자도 함께 참석했으며, 국회에서 발의된 가상자산 법안에 대해 정부 측과 의견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 유동수 “시세차익 손익은 투자자의 책임”

유동수 가상자산 TF 단장은 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가상자산을 한 번이라도 거래한 사람이 623만 명이나 되는 등 규모가 워낙 커지고 있어서, 더 이상 두면 안 되겠다, 이용자 보호 제도를 조금 더 촘촘히 보완해야 한다는 생각에 TF를 꾸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등록제로 할지 인가제로 할지를 확정하지는 않았고, 관련 법안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유동수 단장은 또 “가상자산 채굴을 금지한 중국, 인도 등의 사례와 미국, 일본 등의 가상자산 보호제도 등을 살피며 두루두루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유 단장은 최근 가상자산 가격 급락으로 인해 구제대책을 검토했냐는 질문에는 “처음부터 본인 책임하에 투자하라고 한 만큼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사기나 불법 의사수신행위로 인한 피해가 생각보다 많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히 단속하겠지만 시세 차익에 의한 손익 부분은 투자자의 책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민주당 가상자산TF 출범…“시장참여자 보호 위한 입법 마련”
    • 입력 2021-06-23 10:26:37
    • 수정2021-06-23 10:31:53
    정치
민주당은 오늘(23일) 국회에서 가상자산 TF 제1차 회의를 열고, 가상자산 시장 참여자를 보호하고, 관련 사업 육성을 위해 입법안 마련에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

민주당 박완주 정책위의장은 TF 회의 전 모두발언을 통해 가상자산 시장 신규투자가 청년층 중심으로 이뤄져 이들에게 투자손실이 집중될 수 있다면서, 당내 다양한 의견을 빠르게 취합하고 국회 차원의 대안을 마련해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유동수 가상자산 TF 단장도 유사수신 등 정부의 가상자산 관련 불공정거래 단속 등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제도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속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최근 가상자산 거래 가격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소위 ‘먹튀’ 등 거래 참여자의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하고, 가장자산 이용자 보호와 산업적 측면까지 다 고려한 법과 제도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TF에는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국무조정실, 경찰청 등 가상자산 관련 정부 부처 관계자도 함께 참석했으며, 국회에서 발의된 가상자산 법안에 대해 정부 측과 의견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 유동수 “시세차익 손익은 투자자의 책임”

유동수 가상자산 TF 단장은 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가상자산을 한 번이라도 거래한 사람이 623만 명이나 되는 등 규모가 워낙 커지고 있어서, 더 이상 두면 안 되겠다, 이용자 보호 제도를 조금 더 촘촘히 보완해야 한다는 생각에 TF를 꾸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등록제로 할지 인가제로 할지를 확정하지는 않았고, 관련 법안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유동수 단장은 또 “가상자산 채굴을 금지한 중국, 인도 등의 사례와 미국, 일본 등의 가상자산 보호제도 등을 살피며 두루두루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유 단장은 최근 가상자산 가격 급락으로 인해 구제대책을 검토했냐는 질문에는 “처음부터 본인 책임하에 투자하라고 한 만큼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사기나 불법 의사수신행위로 인한 피해가 생각보다 많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히 단속하겠지만 시세 차익에 의한 손익 부분은 투자자의 책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