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사망사고 50% 이상이 ‘떨어짐’…“얼마나 더 죽어야”

입력 2021.06.23 (21:28) 수정 2021.06.2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북지역에서 노동자들의 떨어짐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떨어짐사고는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사고가 되풀이되는 이유, 서윤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끊어져 버린 안전줄.

이 줄을 몸에 걸고 크레인 해체작업을 하다 20미터 아래로 떨어져 숨진 노동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얼마 전 다른 현장에서는 지붕 보수작업 중에 추락한 노동자가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전국의 건설현장에서 떨어짐으로 세상을 떠난 노동자는 5천7백10명.

해마다 건설업 사고 사망자의 50~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원인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현장에서는 떨어짐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로,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꼽습니다.

도급에 재도급이 이뤄지면서 안전과 관련된 비용이 줄어들어 관리 감독을 형식적으로 한다는 겁니다.

[건설업 노동자/음성변조 : "안전팀이 겸직으로 한두 명이 있기는 있는데 '안전고리를 걸든 안 걸든 일단 안전벨트는 매라'는 거죠. 고리를 걸어야 효과가 있는 건데. 보여주기식이 상당히 많다고 봐야겠죠."]

특히 소규모 현장일수록 안전장비를 지급하지 않는 등 사고 위험이 크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건설업 떨어짐 사고 사망자의 70%가량이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인 현장에서 발생했습니다.

여전히 안전보다 비용을 우선하는 곳이 적지 않다는 겁니다.

[손진우/노동안전보건연구원 상임 활동가 : "공사 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것(추락방지시설)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관행들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일하더라도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이 사회가 방관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계는 위험한 작업만큼은 다단계 하도급을 하지 못 하도록 하고, 안전조치가 안 돼 있을 때에는 노동자가 작업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설 사망사고 50% 이상이 ‘떨어짐’…“얼마나 더 죽어야”
    • 입력 2021-06-23 21:28:20
    • 수정2021-06-23 22:02:28
    뉴스9(전주)
[앵커]

전북지역에서 노동자들의 떨어짐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떨어짐사고는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사고가 되풀이되는 이유, 서윤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끊어져 버린 안전줄.

이 줄을 몸에 걸고 크레인 해체작업을 하다 20미터 아래로 떨어져 숨진 노동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얼마 전 다른 현장에서는 지붕 보수작업 중에 추락한 노동자가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전국의 건설현장에서 떨어짐으로 세상을 떠난 노동자는 5천7백10명.

해마다 건설업 사고 사망자의 50~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원인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현장에서는 떨어짐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로,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꼽습니다.

도급에 재도급이 이뤄지면서 안전과 관련된 비용이 줄어들어 관리 감독을 형식적으로 한다는 겁니다.

[건설업 노동자/음성변조 : "안전팀이 겸직으로 한두 명이 있기는 있는데 '안전고리를 걸든 안 걸든 일단 안전벨트는 매라'는 거죠. 고리를 걸어야 효과가 있는 건데. 보여주기식이 상당히 많다고 봐야겠죠."]

특히 소규모 현장일수록 안전장비를 지급하지 않는 등 사고 위험이 크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건설업 떨어짐 사고 사망자의 70%가량이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인 현장에서 발생했습니다.

여전히 안전보다 비용을 우선하는 곳이 적지 않다는 겁니다.

[손진우/노동안전보건연구원 상임 활동가 : "공사 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것(추락방지시설) 자체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관행들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일하더라도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이 사회가 방관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계는 위험한 작업만큼은 다단계 하도급을 하지 못 하도록 하고, 안전조치가 안 돼 있을 때에는 노동자가 작업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